- 1. 서비스업동향과, 2018년 3월 온라인쇼핑 동향 및 1분기 온라인 쇼핑 동향, 통계청, 2018.
- 2. 이채원, 온라인 판매채널에서 소상공인의 판매경험에 과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전공, 석사학위논문, 2018.
- 3. https://www.retaildive.com/news/why-amazon-is-betting-big-on-brick-and-mortar/431499/, 2018.12.28.
- 4. http://fortune.com/2018/11/27/jeff-bezos-net-worth-amazon-cyber-monday/, 2018.12.28.
- 5.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805151814011&code920501, 2018.6.1.
- 6. 시장조사국 국제거래지원팀, 해외구매 이용 및 피해실태_보도자료, 한국소비자원, 2018.
- 7. https://www.ajunews.com/view/20180705163026025, 2018.10.3.
- 8. 임동우, "플랫폼전략의 양면성 시장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09-139, 2013.
- 9. http://www.etnews.com/20180527000022, 2018.6.1
- 10. http://www.sedaily.com/NewsView/1ONKBOUZOF, 2018.5.13.
- 11.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no2018070302102369607001, 2018.10.3.
- 12. https://news.joins.com/article/22638571, 2018.5.13.
- 13. 소상공인정책과, 소상공인 간편결제 피칭대회 개최, 중소벤처기업부, 2018.
- 14. http://www.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461494, 2018.5.13.
- 15.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795771, 2018.5.13.
- 16. 문지현, 인터넷(비중확대/Initiate) 플랫폼 혁명, 미래에셋대우, 2017.
- 17. S. Kaplan and Sawhney, "M, E-hubs: 플랫폼 선택 the new B2B(business-to-business) marketplaces," Harvard business review, Vol.78, No.3, pp.97-103, p.214, 2000.
- 18. 전기흥, 적나, "인터넷 쇼핑 시 고려 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 . 중 소비자의 비교연구," 상품학연구, 제25권, 제4호, pp.139-151, 2007.
- 19. 권해익, "온라인 쇼핑사이트 채널만족 및 지속사용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세무회계학회지, 제30권, pp.167-189, 2011.
- 20. B. S. Ong, "Online Shoppers' Perceptions and Use of Comparison-Shopping Site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Promotion Management, Vol.17, No.2, pp.207-227, 2011. 상세보기
- 21. DMC 미디어,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이용실태, DMC Report 보고서, 2015.
- 22. 채송화, 경쟁이 심화되는 간편결제서비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7.
- 23. http://www.segyefn.com/newsView/20180525003359, 2018.8.3.
- 24. 남정기, 간편 결제서비스 재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25. 김부용, 중국 모바일 결제시장의 현황과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17.
- 26. en-core Planning & Marketing Team, 결제서비스 전쟁 리포트, En-core report, 2018.
- 27. 이주열, 2017년 지급수단 이용행태 조사결과, 한국은행, 2018.
- 28. 금융위원회, 여전법 시행령 개정(입법예고), 금융감독원, 2017.
- 29.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no2018060702101231037001, 2018.8.3.
- 30. 하준석, 강문식, 이동만, "간편 결제 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7권, 제6호, pp.157-180, 2017.
- 31. 진로, 이동명,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수용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1-13, 2017.
- 32. 김소담, 임재익, 양성병, "과업기술적합도 모형을 활용한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이용의도의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85-201, 2016. 원문보기 상세보기
- 33. 장태락, 이종호,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7권, 제6호, pp.203-218, 2016.
- 34. 조진호,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에 대한신뢰, 고객만족, 지속적 이용의도 간의 관계 분석: 신뢰와 고객만족의 다중매개효과와 사용자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산업혁신연구, 제34권, 제1호, pp.99-126, 2018.
- 35. S. Moss, H. Prosser, H. Costello, N. Simpson, P. Patel, S. Rowe, S. Turner, and C. Hatt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AS ADD Checklist for detecting psychiatric disorders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42, No.2, pp.173-183, 1998. 상세보기
- 36. Ling (Alice) Jiang, Zhilin Yang, and M. J. Jun,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online shopping convenience," Journal of Service Management, Vol.24, No.2, pp.191-214, 2013. 상세보기
- 37. 권해익, 이헌철, 권장기, "온라인 오픈마켓의 고객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세무회계학회지, 제27권, 제27호, pp.167-184, 2010.
- 38. http://www.ebaycbt.co.kr/Contents/View?id10785, 2018.5.2.
- 39. 이익현, 오픈마켓에서 사이트와 개별판매자에 대한 구매자 만족과 충성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플랫폼 선택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40. 소상공인학회, 오픈마켓 소상공인 수수료 체계 실태 및 정책적 시사점 연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장, 2014.
- 41. 이영철, 최영재, "모바일 커머스 (M-Commerce) 대학생 이용자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4호, pp.382-418, 2012. 상세보기
- 42. 최낙환, 이창원, 김종호, "온라인 개인 커뮤니티 몰입에 대한 개인적 동일시와 사회적 동일시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과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600-617, 2006.
- 43. 이국용,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이용자 몰입행동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18권, 제5호, pp.1869-1901, 2005.
- 44. 이정섭, 이유정, 조규비, 온라인 유통분야 공정거래정착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2018.
- 45. Fred D. Davis, Richard P. Bagozzi, and Paul R. Warshaw,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35, No.8, pp.903-1028, 1989. 상세보기
- 46. Payakkapong, Aroonothai, Dusadee Yeolao, and Wanpen Worawongpongsa, "Sellers' Behavior in E-commerce: 플랫폼 선택 플랫폼 선택 SME Exporters in Thai Fashion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Vol.12, No.1, pp.69-78, 2017.
- 47. 이비, 이종호, "nfc 기능을 활용한 모바일 결제서비스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중국시장을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제17권, 제1호, pp.49-68, 2016.
[초보가능] NFT 만들기 팔기 (2) NFT 플랫폼 선택 및 메타마스크 지갑 생성
이번 포스팅에서는 앞선 포스팅에 이어 두번째로 NFT 만들기에 대해서 NFT 플랫폼 선택 방법 및 장단점 그리고 전자지갑인 메타마스크 지갑 만들기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참고로 이번 포스팅은 “NFT 만들기 팔기 시리즈”로 아래와 같이 4가지 포스팅으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NFT 만들기 플랫폼 선택 팔기 (2) NFT 플랫폼 선택 및 메타마스크 지갑 생성
실은 대부분 찾아보면 굉장히 수수료가 많이 드는 오픈씨 이더리움 기반으로 설명을 하는 경우가 많아 이번 시리즈에서는 오픈씨 폴리곤 기반 이더리움을 통한 NFT 민팅 및 리스팅 방법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플랫폼 명이나 가상화폐 이름 등 관련 용어가 생소할 수 있는데 우선 차근차근 아래 세션에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선 NFT 거래 플랫폼 종류와 장단점, 그리고 NFT 민팅 플랫폼은 무엇이 있는지 정리하고 메타마스크 지갑 생성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NFT 거래 플랫폼 선택
우선 NFT 작품 거래 플랫폼 선택이 필요한데요,
여러가지 NFT 거래 플랫폼이 존재하며 그 중 유명한 곳으로는 오픈씨(OpenSea), 래리플(Rarible), SuperRare, Nifty Gateway, Foundation 등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오픈씨(OpenSea, https://opensea.io/ )와 래리블(Rarible, https://rarible.com/ ) 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으로 NFT를 생성할 때 특별한 가스비(gas fee)가 없는 특징이 있습니다.
두 플랫폼 모두 “lazy miniting”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인데요, 일단 NFT를 생성하고 팔기 위한 리스팅(listing) 하기 전까지는 블록체인에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그러므로 특별한 가스비(gas fee)가 들지는 않지만 실제로 팔려고 sell을 누르고 리스팅(listing) 을 하려고 하면 가스비(gas fee)가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픈씨나 래리블에서는 작품을 판매 시 2.5%정도의 비용을 가져갑니다.
이번 시리즈 – NFT만들기에서는 오픈씨가 NFT 작품거래 플랫폼 중에서 가장 사용자가 많으며, 사용하기도 용이하기 때문에 오픈씨를 통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참고로 21년 3분기에는 전체 NFT 거래량의 97%가 오픈씨에서 일어났다는 통계 근거도 있습니다.플랫폼 선택
NFT 민팅 플랫폼 선택
NFT 작품 거래 플랫폼으로 오픈씨를 선택했다면 오픈씨를 기반으로한 민팅 플랫폼을 선택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민팅 플랫폼으로는 오픈시, 크래프터 스페이스, 크래프트 맨십이 존재합니다. 참고로 NFT화(민팅) 하는 과정에 있어 작품을 NFT화 하는 것(민팅)과 판매를 개시하는 것(리스팅)은 별개의 부분으로 나눠지는데요, 오픈씨에서는 민팅과 리스팅을 모두 진행이 가능합니다.
NFT를 거래할 수 있는 지갑의 종류 또한 앞서 선택한 NFT 거래 플랫폼과 NFT 민팅 플랫폼에 의해 정해집니다.
단, NFT민팅 플랫폼을 크래프터 스페이스나 크래프트 맨십을 선택했다면 클레이튼 기반의 카이카스 지갑을 사용해야 합니다. 오픈씨를 민팅 플랫폼으로 선택했다면 이더리움 또는 폴리곤 플랫폼 선택 기반 이더리움의 메타마스크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위의 이미지와 같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장 초보자가 익숙한 오픈씨를 NFT 마켓플레이스, 민팅 및 리스팅 플랫폼으로 사용하고 메타마스크 폴리곤 기반으로 NFT 만들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방법의 장점으로는 당연히 NFT 시장이 큰 오픈씨(Opensea)를 활용한다는 점이 있고요, 수수료가 없다는 특징이 있는 반면에 폴리곤 기반 이더리움 전환이 귀찮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메타마스크 가입 및 메타마스크 지갑 만들기
우선 메타마스크에 가입 및 메타마스크 지갑 생성을 위해서는 크롬 브라우저가 필요합니다. 크롬 브라우저의 확장 프로그램으로 진행하는 것이 매우 수월합니다.
1. 크롬 웹브라우저 실행 > 크롬 웹스토어 접속 > Metamask 검색
크롬 웹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크롬 웹스토어에 접속해줍니다. 참고로 웹스토어는 여기 링크를 통해 접속이 가능합니다.
웹스토어에 접속하여 좌측 상단의 스토어 검색에서 Metamask를 검색한 다음 우측 하단에 있는 여우 모양의 아이콘으로 된 확장 프로그램을 선택합니다.
2. Metamask 페이지 > “Chrome에 추가” 누르기
Metamask 페이지가 나타나면 오른쪽 상단의 Chrome에 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참고로 유사한 확장 프로그램이 많으므로 매우 유의해야하는데요, 아래와 같은 제공업체가 맞는지 아이콘과 앱 이름이 맞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3. 환영 메시지 > “시작하기” 누르기
메타마스크 크롬 확장프로그램으로 설치가 완료 되면 아래와 같은 환영 메세지 화면이 나오고 여기에서 “시작하기”를 선택합니다.
혹시라도 아래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면 크롬 우측 상단에 있는 퍼즐 모양 버튼을 클릭해서 메타마스크를 바로 선택해서 진입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4. Metamask 첫 페이지 > “지갑 생성” 누르기
Metamask가 처음이세요? 화면이 나타나면 “지갑 가져오기”와 “지갑 생성” 선택이 가능한데, 여기에서 “지갑 생성”을 눌러줍니다.
5. MetaMask 개선 참여 > 아무거나 선택
처음 접속할 경우 “MetaMask 개선에 참여”라는 페이지가 나타나는데요, 꼭 동의함을 누르지 않아도 됩니다. 아무거나 선택해줍니다.
6. 8자리 이상 비밀번호 만들기
8자리 이상의 비밀번호를 만들고 이용약관에 동의합니다.
7. 지갑보호하기 내용 확인 > 비밀 복구 구문 기록해두기
비밀 복구 문구 라는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에서 화면 중간에 있는 검은색 자물쇠로 되어 있는 영역을 눌러주면 12개의 단어가 나타납니다. 이 단어들을 본인 만이 아는 공간에 따로 기록해둡니다.
가능하다면 컴퓨터 내부에 저장하면 해킹이나 피싱 위험이 높으므로 가능하면 손으로 따로 종이에 메모해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여기서 나타난 12개의 단어는 어느 누구에게도 알려주면 안됩니다.
8. 비밀 백업 구문 확인해주기
자물쇠 버튼의 아이콘을 눌러 나타난 12개의 단어를 기록해 놓았다면
아래와 같이 비밀 문구 확인 페이지가 나오는데 여기에서는 선택했던 단어 12개를 차례대로 선택합니다.
9. 축하합니다. 문구 확인 > “모두 완료” 누르기
아래와 같이 축하합니다. 문구가 나타나면 메타마스크 지갑 생성, 메타마스크 계정 생성이 완료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메타마스크 지갑 만들기가 가능합니다. 참고로 NFT나 암호화폐를 거래할때는 보통 ‘0x’로 시작하는 메타마스크 지갑주소를 사용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위와 같이 NFT 플랫폼 종류와 장단점, 그리고 NFT 민팅 플랫폼은 무엇이 있는지 정리하고 메타마스크 지갑 생성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위와 같이 메타마스크 지갑 생성이 완료되었다면 다음 포스팅에서는 NFT 거래 플랫폼과 NFT 민팅 플랫폼으로 선택한 오픈씨에 메타마스크 지갑을 연동하고 수수료가 무료인 폴리곤 마켓 연동 방법 및 거래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플랫폼 선택
통합 개발 환경(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이란 공통된 개발자 툴을 하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로 결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입니다. 일반적으로 IDE는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소스 코드 편집기: 시각적 신호를 활용한 구문(Syntax) 강조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여 소프트웨어 코드를 작성하도록 돕는 텍스트 편집기로서, 언어별 자동 완성 기능과 코드 작성 중 버그 검사를 제공합니다.
- 로컬 빌드 자동화: 컴퓨터 소스 코드를 바이너리 코드로 컴파일링하고, 바이너리 코드를 패키징하고 자동화 테스트를 실행하는 등 간편하고 반복 가능한 태스크를 개발자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의 로컬 빌드를 생성할 때 자동화해주는 유틸리티입니다.
- 디버거: 원본 코드에 있는 버그 위치를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는 다른 프로그램을 테스트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개발자들이 IDE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IDE를 사용하면 설정 프로세스의 일환으로 여러 유틸리티를 수동으로 설정하고 통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발자들이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을 신속하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들은 각각의 유틸리티가 동일한 워크벤치에 나타날 때 서로 다른 툴을 사용하는 방법을 개별적으로 학습하느라 시간을 허비하지 않아도 됩니다. 특히 새로운 개발자가 온보딩할 때 IDE를 사용하여 팀의 표준 툴 및 워크플로우를 익힐 수 있어 유용합니다. 사실상 IDE의 기능 대부분은 전체 문자열을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지능형 코드 완성 및 자동화된 코드 생성과 같이 시간 절감을 위한 기능입니다.
다른 일반적인 IDE 기능들은 개발자들이 워크플로우를 체계화하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기 위한 기능입니다. IDE는 코드가 작성된 대로 구문 분석하여 인적 오류로 인한 버그를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 유틸리티가 단일 GUI로 표현되기 때문에 개발자들은 애플리케이션 간에 전환할 필요 없이 동작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구문 강조 또한 대부분의 IDE에서 공통된 기능으로, 시각적 신호를 사용하여 텍스트 편집기에서 문법을 구별합니다. 일부 IDE는 추가적으로 클래스 및 개체 브라우저는 물론 특정 언어에 대한 클래스 계층 다이어그램을 포함합니다.
IDE를 포함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각 개발자들이 Vim 또는 Emacs같은 경량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유틸리티를 수동으로 통합함으로써 필수적으로 각자의 IDE를 구축할 수도 있습니다. 일부 개발자들의 경우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고도의 커스터마이제이션 및 제어 능력의 이점을 실현합니다. 그러나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는 현대적인 IDE의 시간 절감, 환경 표준화 및 자동화 기능이 다른 고려 사항보다 우선시 됩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엔터프라이즈 개발 팀은 특정 활용 사례에 최적화되도록 사전 설정된 IDE를 선택하므로, IDE 도입 여부가 아니라 어떤 IDE를 채택할 것인지가 중요합니다.
주요 IDE 유형
IDE의 다양한 기술 및 비즈니스 활용 사례가 있으며, 이는 마찬가지로 독점 및 오픈소스 IDE 옵션도 많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IDE 간의 가장 중요한 차별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원되는 언어의 수: 일부 IDE는 하나의 언어만 지원하여 특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 더욱 적합합니다. 그 예인 IntelliJ는 주로 Java IDE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IDE는 Java, XML, Python 등을 지원하는 Eclipse IDE와 같이 한 번에 광범위한 언어를 지원합니다.
- 지원되는 운영 체제(OS): 개발자의 운영 체제에 따라 실행 가능한 IDE가 제한되며(클라우드 기반 IDE인 경우 제외), 개발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운영 체제(Android 또는 iOS)를 사용하는 최종 사용자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추가적인 제약을 받습니다.
- 자동화 기능: 대부분의 IDE가 텍스트 편집기, 빌드 자동화 및 디버거라는 3가지 주요 기능을 포함하지만, 많은 IDE는 리팩토링, 코드 검색 및 지속적인 통합 및 지속적인 배포(CI/CD) 툴과 같은 추가 기능도 지원합니다.
- 시스템 성능에 미치는 영향: 개발자들이 메모리 사용량이 많은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IDE의 메모리 공간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
- 플러그인 및 확장 기능: 일부 IDE는 개발자들의 요구 사항 및 선호 사항에 맞춰 워크플로우를 커스터마이징하는 기능을 포함합니다.
모바일 개발 플랫폼 선택 IDE
거의 모든 업계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용으로 설계된 애플리케이션의 치솟는 인기에 영향을 받았고, 많은 기업들은 전통적인 웹 애플리케이션과 더불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주요 요소 중 하나는 플랫폼 선택입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iOS, Android 및 웹 페이지용으로 개발되는 경우에는 여러 운영 체제에 대한 교차 플랫폼 지원을 제공하는 IDE를 활용하여 시작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IDE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oftware-as-a-Service, SaaS)로 제공되는 IDE는 로컬 개발 환경과 달리 여러 특별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그중 하나는 모든 SaaS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고 로컬 환경 및 종속 요소를 플랫폼 선택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발자들이 프로젝트를 신속하게 시작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또한 팀원들의 환경 전반에 표준화 수준을 제공하므로 일부 시스템에서만 작동하는 문제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발자 환경은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어떤 코드도 개별 개발자들의 컴퓨터에 상주하지 않으므로 지적 재산 및 보안 문제를 해결해 줍니다.
프로세스가 로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다양합니다. 빌드 실행 및 제품군 테스팅 같은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컴퓨팅 집약적인 워크로드이므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동안에는 워크스테이션 사용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SaaS IDE는 로컬 시스템의 컴퓨팅 리소스를 독점하지 않고도 장기간 실행되는 작업을 디스패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IDE는 일반적으로 플랫폼에 국한되지 않아 다양한 클라우드 벤더에 대한 연결을 지원합니다.
플랫폼 선택
Oracle APEX는 Oracle Database의 일부로 실행되는 단일 확장가능 플랫폼에서 앱 구축에 필요한 모든 도구를 제공합니다. Oracle APEX의 이점과 오늘 바로 탁월한 앱 구축을 시작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십시오.
Oracle APEX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Oracle은 초창기부터 "클라우드"를 사용해 왔으며, 선구적으로 "로우코드"를 채택했습니다. 19년간 해당 분야에 종사해 왔으며, 오래 전에 구축된 앱도 여전히 실행 가능합니다. 다음 앱 구축에 Oracle APEX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십시오.
단순한 유행이 아닙니다. 선언적 프로그래밍이라 불리는 방식은 업계에서 로우코드 개발로 널리 채택되었습니다. APEX가 모든 사항을 충족하고 개발자들의 공감을 얻어 선호하는 로우코드 플랫폼이 된 이유를 살펴봅니다. 또한 APEX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코딩이 아니라 당면한 문제에 집중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독보적인 경험을 통해 고객에게 필요한 구성요소를 파악합니다. 데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안, 접근성, 모니터링 및 글로벌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18년간 실적을 입증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어려운 부분은 Oracle에 맡기시고 간편하게 성과를 얻으십시오. 미리 정의된 모든 기능에 대해 알아 보십시오.
Oracle APEX는 단순한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설치 직후부터 무지연 데이터 액세스, 우수한 성능 및 확장성을 보장합니다. 이 아키텍처와 관련하여 Oracle APEX에서 Oracle REST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과, and how the Oracle APEX 엔진이 페이지를 렌더링하여 데이터에 무지연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앱은 비즈니스와 직결됩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배치 전략을 선택해야 합니다. Oracle은 초창기부터 클라우드를 사용해 왔지만, 클라우드만을 기반으로 하지 않습니다. Oracle APEX는 Oracle Database Cloud Services 범위 전반은 물론 고유의 전용 클라우드 또는 타사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노트북의 VM으로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Oracle Database를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어디서든 Oracle APEX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Autonomous Database
Oracle Autonomous Database와 Oracle APEX는 뛰어난 데이터 관리와 입증된 로우코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탁월한 조합을 제공합니다.
Oracle 제공
Oracle APEX는 Oracle Database에서 완전하게 지원되는 무료 제공 기능입니다. 즉, Oracle Database를 보유했다면 이미 Oracle APEX도 보유한 것이며, Oracle Database의 모든 기능에 기본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Oracle 제공의 의미를 알아보고 사용 가능한 모든 이점과 기능에 대해 알아봅니다.
[유니콘 차이나](46) 알리바바에 선택받은 중국 물류 플랫폼, 어디?
[유니콘 차이나](45) “등록 회원 수만 1억여 명” 中 마트 업계 ‘마이더스의 손’
현재글 [유니콘 차이나](46) 알리바바에 선택받은 중국 물류 플랫폼, 어디?
[유니콘 차이나](47) 플라잉카 출시 가시화될까? 중국 플라잉카 유니콘의 매서운 독주
2011년 설립된 환스 로지스틱스(環世物流集團, Worldwide Logistics Group)는 글로벌 팀원 2000여 명에 육박하는 국가 5A급 물류기업이다. 해당 기업은 트랜스포트 토픽 ‘2022 Top Freight Forwarders’ 순위에서 세계 해운 컨테이너 운송 물량 세계 15위, 국제 항공 운송 물량 세계 34위에 올랐다.
환스 로지스틱스는 국제 해운 컨테이너를 포함해 일반 화물, 벌크 화물, 국제 항공 운송, 국제 육로 운송, 플랫폼 선택 화학공업 물류, 엔지니어링 프로젝트 물류, 국제 전자상거래 물류, 창고 저장 부두 서비스 등 제품 라인을 갖추고 있어 글로벌 고객사들에 국제 통합물류 서비스를 제공한다.
환스 로지스틱스는 중국 7대 항구에 직영체제를 갖추고, 국제 본부는 싱가포르에 두고 미국, 영국, 한국, 태국, 인도 등 전 세계 6개 대륙을 아우르는 25개 해외지사와 2300여 개 누적 제휴 해외 에이전트를 보유하고 있다.
뉴노멀을 향한 물류업계의 스마트화
2020년 9월 환스 로지스틱스는 다장쥐(CargoGM, 大掌櫃)와 합병을 통해 새로운 환스 로지스틱스로 재탄생했다. 환스 로지스틱스는 알리바바 물류 자회사 차이냐오(CAINIAO, 菜鳥物流), 시노베이션벤처스(Sinovation Ventures, 創新工場), 윈치파트너스(YUNQI Partners, 雲啓資本) 등 투자 기관을 포함해 수천만 달러의 투자도 받았다. 동시에 차이냐오는 다장쥐에 공식적으로 지분 10.33%를 투자했다.
[사진 Worldwide Logistics Group]
2015년에 설립된 다장쥐는 디지털 및 지능형 물류 소프트웨어 제공 업체로 국제 물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CargoGM.com) 운영 서비스 업체로 중국 국제 물류 SaaS(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제공 업체 및 산업 인터넷 서비스의 선구자이다.
국제 물류 업계와 업·다운스트림 기업에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와 모바일 인터넷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지능화 SaaS 소프트웨어와 물류 자원 거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류 기업이 자신의 스마트화된 비즈니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업무의 온라인화, 효율화, 자동화를 실현하며 지역별 마케팅 서비스와 운영 관리 능력을 구축하고 글로벌 마케팅 서비스 네트워크를 효율적이고 자유롭게 비즈니스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합병 후 환스 로지스틱스는 SaaS 시스템과 글로벌 물류 서비스 능력의 완벽한 결합을 통해 전통적인 화물 운송의 스마트화 구축을 완료했다.
물류업에 스마트화가 필요한 이유
클라우드 서비스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고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세계의 물류기업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아마존도 웹서비스(AWS)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중화를 이뤄낸 게 대표적이다.
터키 대표 물류기업 옵로그(OPLOG)는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물류 시스템을 제공한다. 딜로이트에 따르면 2017년 옵로그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출시하고 4년간 4564%의 성장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옵로그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중 하나인 SaaS를 통해 고객사에게 물류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게끔 하고, 수출입을 하는 고객사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활용해 비용을 50% 절감하고 있다고 한다.
환스 로지스틱스는 디지털 기술과 글로벌 물류 서비스 능력, 고객 수요의 효과적인 결합을 통해 항공운송업 업·다운스트림의 각 세부 영역의 자원과 네트워크를 연계해 각 물류 서비스 공급업체, 선주, 항공사 및 해외 대행 플랫폼 등과 체계적으로 연계하여 고객에게 통합 물류 연결 서비스를 제공한다.
향후 더욱 기대되는 '환스 로지스틱스'
환스 로지스틱스의 미래 3대 핵심 키워드는 ▲다구역 ▲다항로 ▲다산품이다. 비즈니스 프로세스는 스마트화, 구성 플랫폼 선택 요소화, 온라인 및 표준화를 실현하고 고객에게 전 과정에 걸쳐 시각적인 지능화 물류 솔루션을 제공하여 비즈니스 규모를 향상시키고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환스 로지스틱스와 차이냐오는 다국적 물류 플랫폼 원야오테크(Flying Fish Tech, 文鰩科技)를 설립했다. 원야오테크는 알리바바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중소 고객에게 중점을 둔 물류서비스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환스 로지스틱스는 글로벌화 구축과 물류 솔루션에서 차이냐오의 투자가치에도 부합하면서 알리바바의 전략적 파트너로 국제무역 수출 및 해외 B2B 물류 플랫폼의 지원을 하고 있다.
ScienceON Chatbot
온라인 쇼핑 플랫폼 및 간편결제서비스 선택 시 판매자가 고려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원문보기 KCI 플랫폼 선택 원문보기 인용
Which Online Shopping Platforms and Payment Options are Favored by Korean Online Seller?: Focusing on Online Shopping Platforms' and Payment Options' Characteristics
온라인 쇼핑 시장 경쟁이 심화되면서 온라인 쇼핑 플랫폼 사업자간 경쟁은 판매자 확보 경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온라인 쇼핑 플랫폼 가운데 판매자들이 선호하는 플랫폼이 무엇이며, 선호하는 플랫폼에 따라 플랫폼 선택 시 고려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모바일을 통한 온라인 쇼핑의 보편화로 간편결제서비스 이용이 증가함에 주목하여, 판매자들이 선호하는 간편결제서비스와 선호하는 서비스에 따라 서비스 선택 시 고려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판매자들은 온라인 쇼핑 플랫폼 선택 플랫폼 선택 시 명성, 결제편리성, 검색편리성을, 간편결제서비스 선택 시에는 사용편리성, 결제편리성, 수수료를 주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선호하는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 따라 명성, 검색편리성, 수수료, 결제편리성 요인에 대해, 선호하는 간편결제서비스에 따라 사용편리성, 보안성 요인에 대해 고려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sellers' preference of online shopping platform and simple payment service among the Korean domestic online shopping platforms and analyze which factors they consider depending upon their preferred platform and servic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reputation, ease of payment, and ease to navigate of online shopping platform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in choosing the online shopping platform. Also, the usability, ease of payment and service fee of simple payment service are influencing factors to select simple payment service for sellers. Meanwhile, the result confirms that the degree of reputation, ease to navigate, service fee, and ease of payment differs on each selected online shopping platform. Also, the degree of usability and security in simple payment service is different between each chosen simple payment services.
표 / 그림 (4) 모든 표/그림 보기 슬라이드로 보기
1996년 데이콤의 인터파크를 시작으로, 대형 종합쇼핑몰과 전문몰, 소규모 쇼핑몰 등의 형태로 성장해왔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G마켓, 옥션 등의 양면성 비즈니스 플랫폼 시장인 오픈마켓이 등장하고, 2010년대부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 보편화로 소비자들의 온라인 쇼핑 접근성이 더욱 높아지면서 온라인 쇼핑 시장은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게 되었다
4% 증가했으며, 이는 2001년 1월 온라인 쇼핑 통계 조사가 시행된 이후 분기별 거래액 기준 역대최고치인 것으로 나타났다[1]. 온라인 쇼핑은 1996년 데이콤의 인터파크를 시작으로, 대형 종합쇼핑몰과 전문몰, 소규모 쇼핑몰 등의 형태로 성장해왔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G마켓, 옥션 등의 양면성 비즈니스 플랫폼 시장인 오픈마켓이 등장하고, 2010년대부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 보편화로 소비자들의 온라인 쇼핑 접근성이 더욱 높아지면서 온라인 쇼핑 시장은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게 되었다[2]. 온라인 쇼핑 시장의 성장은 국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통적인 오프라인 유통 업체인 신세계가 2014년 1월 SSG닷컴을 출범하면서 온라인 쇼핑 시장에 진입하였고, 2018년 1월에는 이커머스 사업에 1조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예고하였다. 또한 오프라인 유통업계 1위인 롯데쇼핑 역시 계열사별로 운영 중인 8개의 온라인 쇼핑몰을 2020년부터 통합 운영하여 2022년까지 온라인거래규모 2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처럼 무섭게 성장한 온라인 쇼핑 플랫폼의 영향으로 온라인 쇼핑 시장이 오프라인 시장의 파이를 점차 대체하기에 이르자, 오프라인 기반 사업자들은 쇼핑 시장에서의 생존을 위해 역으로 온라인 쇼핑 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한다. 국내에서도 전통적인 오프라인 유통 업체인 신세계가 2014년 1월 SSG닷컴을 출범하면서 온라인 쇼핑 시장에 진입하였고, 2018년 1월에는 이커머스 사업에 1조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예고하였다. 또한 플랫폼 선택 오프라인 유통업계 1위인 롯데쇼핑 역시 계열사별로 운영 중인 8개의 온라인 쇼핑몰을 2020년부터 통합 운영하여 2022년까지 온라인거래규모 2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5]. 이와 같이 오프라인 유통 업체들이 온라인 쇼핑 시장에 새로운 경쟁자로 떠오르는 한편, 거대한 크로스보더(cross-border) 사업자 또한 국내 온라인 쇼핑 시장을 위협하고 있다.
간편결제서비스는 초기 이용 시 카드 정보를 입력해놓으면 이후에는 별도의 입력이나 공인인증서 확인 절차 없이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 간단한 인증만으로 쉽고 빠르게 결제가 가능한 서비스를 말한다[21]. 간편결제서비스 시장은 모바일 쇼핑 시장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데[22], 역으로 간편결제서비스가 전자상거래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견인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47)
- 1. 서비스업동향과, 2018년 3월 온라인쇼핑 동향 및 1분기 온라인 쇼핑 동향, 통계청, 2018.
- 2. 이채원, 온라인 판매채널에서 소상공인의 판매경험에 과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전공, 석사학위논문, 2018.
- 3. https://www.retaildive.com/news/why-amazon-is-betting-big-on-brick-and-mortar/431499/, 2018.12.28.
- 4. http://fortune.com/2018/11/27/jeff-bezos-net-worth-amazon-cyber-monday/, 2018.12.28.
- 5.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805151814011&code920501, 2018.6.1.
- 6. 시장조사국 국제거래지원팀, 해외구매 이용 및 피해실태_보도자료, 한국소비자원, 2018.
- 7. https://www.ajunews.com/view/20180705163026025, 2018.10.3.
- 8. 임동우, "플랫폼전략의 양면성 시장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플랫폼 선택 한국산업경영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09-139, 2013.
- 9. http://www.etnews.com/20180527000022, 2018.6.1
- 10. http://www.sedaily.com/NewsView/1ONKBOUZOF, 2018.5.13.
- 11.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no2018070302102369607001, 2018.10.3.
- 12. https://news.joins.com/article/22638571, 2018.5.13.
- 13. 소상공인정책과, 소상공인 간편결제 피칭대회 개최, 중소벤처기업부, 2018.
- 14. http://www.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461494, 2018.5.13.
- 15.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795771, 2018.5.13.
- 16. 문지현, 인터넷(비중확대/Initiate) 플랫폼 혁명, 미래에셋대우, 2017.
- 17. S. Kaplan and Sawhney, "M, E-hubs: the new B2B(business-to-business) marketplaces," Harvard business review, Vol.78, No.3, pp.97-103, p.214, 2000.
- 18. 전기흥, 적나, "인터넷 쇼핑 시 고려 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 . 중 소비자의 비교연구," 상품학연구, 제25권, 제4호, pp.139-151, 2007.
- 19. 권해익, "온라인 쇼핑사이트 채널만족 및 지속사용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세무회계학회지, 제30권, pp.167-189, 2011.
- 20. B. S. Ong, "Online Shoppers' Perceptions and Use of Comparison-Shopping Site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Promotion Management, Vol.17, No.2, pp.207-227, 2011. 상세보기
- 21. DMC 미디어,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이용실태, DMC Report 보고서, 2015.
- 22. 채송화, 경쟁이 심화되는 간편결제서비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7.
- 23. http://www.segyefn.com/newsView/20180525003359, 2018.8.3.
- 24. 남정기, 간편 결제서비스 재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25. 김부용, 중국 모바일 결제시장의 현황과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17.
- 26. en-core Planning & Marketing Team, 결제서비스 전쟁 리포트, En-core report, 2018.
- 27. 이주열, 2017년 지급수단 이용행태 조사결과, 한국은행, 2018.
- 28. 금융위원회, 여전법 시행령 개정(입법예고), 금융감독원, 2017.
- 29. http://www.dt.co.kr/contents.플랫폼 선택 html?articleno2018060702101231037001, 2018.8.3.
- 30. 하준석, 강문식, 이동만, "간편 결제 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7권, 제6호, pp.157-180, 2017.
- 31. 진로, 이동명,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수용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1-13, 2017.
- 32. 김소담, 임재익, 양성병, "과업기술적합도 모형을 활용한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이용의도의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85-201, 2016. 원문보기 상세보기
- 33. 장태락, 이종호,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7권, 제6호, pp.203-218, 2016.
- 34. 조진호,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에 대한신뢰, 고객만족, 지속적 이용의도 간의 관계 분석: 신뢰와 고객만족의 다중매개효과와 사용자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산업혁신연구, 제34권, 제1호, pp.99-126, 2018.
- 35. S. Moss, H. Prosser, H. Costello, N. Simpson, P. Patel, S. Rowe, S. Turner, and C. Hatt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AS ADD Checklist for detecting psychiatric disorders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42, No.2, pp.173-183, 1998. 상세보기
- 36. Ling (Alice) Jiang, Zhilin Yang, and M. J. Jun,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online shopping convenience," Journal of Service Management, Vol.24, No.2, pp.191-214, 2013. 상세보기
- 37. 권해익, 이헌철, 권장기, "온라인 오픈마켓의 고객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세무회계학회지, 제27권, 제27호, pp.167-184, 2010.
- 38. http://www.ebaycbt.co.kr/Contents/View?id10785, 2018.5.2.
- 39. 이익현, 오픈마켓에서 사이트와 개별판매자에 대한 구매자 만족과 충성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40. 소상공인학회, 오픈마켓 소상공인 수수료 체계 실태 및 정책적 시사점 연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장, 2014.
- 41. 이영철, 최영재, "모바일 커머스 (M-Commerce) 대학생 이용자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4호, pp.382-418, 2012. 상세보기
- 42. 최낙환, 이창원, 김종호, "온라인 개인 커뮤니티 몰입에 대한 개인적 동일시와 사회적 동일시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과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600-617, 2006.
- 43. 이국용,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이용자 몰입행동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18권, 제5호, pp.1869-1901, 2005.
- 44. 이정섭, 이유정, 조규비, 온라인 유통분야 공정거래정착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2018.
- 45. Fred D. Davis, Richard P. Bagozzi, and Paul R. Warshaw,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35, No.8, pp.903-1028, 1989. 상세보기
- 46. Payakkapong, Aroonothai, Dusadee Yeolao, and Wanpen Worawongpongsa, "Sellers' Behavior in E-commerce: SME Exporters in Thai Fashion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Vol.12, No.1, pp.69-78, 2017.
- 47. 이비, 이종호, "nfc 기능을 활용한 모바일 결제서비스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중국시장을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제17권, 제1호, pp.49-68, 2016.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 ScienceON : 원문보기
- KCI : KCI 원문보기
- DOI : 10.5392/JKCA.2019.19.05.443 [무료]
- Korea Open Access Journals : 저널
- DBPia : 저널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