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습관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19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고양특례시청 전경. 사진제공=고양시

소노바그룹 포낙보청기,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 연속 1위

[세계비즈=박혜선 기자] 소노바그룹의 소비습관 포낙보청기가 보청기 브랜드평판 2022년 7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를 차지했다고 20일 밝혔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2년 6월 19일부터 2022년 7월 19일까지의 보청기 브랜드 빅데이터 183만1255개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보청기 브랜드 10개에 대한 브랜드 빅데이터 평판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

그 중 포낙보청기는 지난 4월 분석결과에 이어 연속 1위를 차지 했으며 포낙은 소비습관 참여지수 11만3102, 소통지수 11만9054, 커뮤니티지수 12만84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5만2997로 분석됐다고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밝혔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포낙 관계자는 "포낙은 스위스에서 1947년 설립된 이래 75년동안 최신 청각 솔루션을 연구, 제조해 선보이고 있는 기업"이라며 "다양한 난청 정도, 라이프스타일, 멀티미디어, 소음 및 먼 거리 청취환경에 따라 청취경험을 극대화하는 다양한 청각 보조기기와 보청기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20720518303 0511000000000 0 2022-07-20 16:10:22 2022-07-20 16:10:21 0 소노바그룹 포낙보청기,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 연속 1위 Cube 박혜선 8cd7702d-c12f-4bac-917e-9c9121857b7f ⓒ 세계비즈 & segye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소비습관 금지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끼리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점유율을 측정하여 분석했다. ​

건축제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로 구분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했다. ​

건축제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2년 7월 빅데이터 분석 순위는 금강공업, 삼목에스폼, 덕신하우징, 국영지앤엠, 이건홀딩스, 소비습관 뉴보텍, 제일테크노스, 대림통상, TKG애강, 프럼파스트, 대림B&Co, 윈하이텍, 와토스코리아 순이었다. ​

건축제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그래프=한국기업평판연구소)

건축제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금강공업(대표 전장열·이범호) 브랜드는 참여지수 55,571, 미디어지수 62,930, 소통지수 137,802, 커뮤니티지수 128,395, 시장지수 383,43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68,137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751,744와 비교하면 2.18% 상승했다. ​

2위 삼목에스폼(대표 엄석호) 브랜드는 참여지수 39,384, 미디어지수 46,053, 소통지수 88,077, 커뮤니티지수 45,348, 시장지수 509,50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28,371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830,204와 비교하면 12.27% 하락했다.​

​3위 덕신하우징(대표 소비습관 최영복)​​​ 브랜드는 참여지수 111,249, 미디어지수 132,571, 소통지수 110,921, 커뮤니티지수 133,927, 시장지수 183,00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71,672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687,978과 비교하면 2.37% 하락했다.​

​4위 국영지앤엠(대표 최재원)​ 브랜드는 참여지수 42,505, 미디어지수 57,622, 소통지수 146,051, 커뮤니티지수 107,소비습관 861, 시장지수 108,44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62,485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613,184와 비교하면 24.58% 하락했다.​​

5위 이건홀딩스(대표 안기명) 브랜드는 참여지수 39,014, 미디어지수 46,872, 소통지수 164,792, 커뮤니티지수 47,126, 시장지수 소비습관 160,15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57,958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398,804와 비교하면 14.83%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2년 7월 건축제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결과, 금강공업(대표 전장열·이범호) 브랜드가 1위로 분석됐다. 건축제품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 빅데이터 분석을 해보니 브랜드소비 7.52% 하락, 브랜드이슈 9.43% 하락, 브랜드소통 20.13% 상승, 브랜드확산 7.47% 하락, 브랜드시장 3.38%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편, 1979년 설립된 금강공업은 강관 및 건설용 가설자재를 생산하고 있다. 1992년 1,000만불 수출탑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으며, 2009년 3,000만불 수출의 탑 표창 수상 쾌거를 이뤘다.

MTN 퀵 메뉴

KB국민카드는 19일 학생증 체크카드를 발급한 회원의 데이터를 활용해 최근 4년간(2020년~올해 상반기)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체크카드 매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체크카드 이용건수 및 이용금액을 보면 중고생은 체크카드를 매달 12~15건 이용했고, 월 평균 이용금액은 2019년 상반기 8만8,000원에서 올해 상반기에는 11만6,000원으로 2019년 상반기 대비 31% 증가했다.

대학생은 매달 20~25건의 체크카드를 이용했다. 다만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아 지난 2020~2021년 상반기 이용금액은 2019년 상반기 대비 각각 5%, 4% 감소했다가 올해 상반기 들어 2019년 대비 10% 증가로 전환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 경험이 있는 중·고등학생은 65%, 대학생은 73%를 차지했다. 간편결제 이용금액 비중은 지난 2019년 중·고등학생 19%, 대학생 20%에서 점차 높아져 올해 상반기에는 모든 연령대에서 34%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중고등학생의 경우 음식점(30%), 전자상거래(24%), 편의점(8%) 순으로 체크카드 이용금액이 많았다. 대학생은 음식점(29%), 전자상거래(21%), 대중교통·택시(9%) 순으로 나타났다.

음식점 이용 시 배달 주문 비중이 높았고, 오프라인 음식점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선호하는 업종에 차이가 있었다.

중고등학생 중 남학생은 △배달·야식전문점(14%) △햄버거전문점(11%) △커피전문점(11%) △한식·백반집(5%) △치킨전문점(5%) △중국음식점(4%) 순으로 오프라인 음식점 이용 비중이 높았다. 여학생은 커피전문점(19%)을 가장 선호했고, 이어 △배달·야식전문점(13%) △마라·샹궈·훠궈전문점(7%) △떡볶이전문점(5%) △제과점(5%) △햄버거전문점(5%) 순이었다.

한편 남자 대학생은 △배달·야식전문점(11%) △한식·백반집(10%) △커피전문점(10%) △호프·맥주집(7%) △햄버거전문점(5%) △치킨전문점(4%) 순으로 이용 금액 비중이 높았다. 여자 대학생은 △커피전문점 △한식·백반집 △호프·맥주집 △제과점 △양식전문점 순으로 나타났다.

KB국민카드 데이터전략그룹 관계자는 "디지털 네이티브인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체크카드 이용성향과 소비 패턴을 통해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었다"며 "향후에도 금융의 시작을 체크카드로 시작하는 Z세대를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분석 작업을 꾸준히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2-07-14 23:59:00 종료)

모아시스 이벤트 모아시스 이벤트

고양특례시청 전경. 사진제공=고양시

고양특례시청 전경. 사진제공=고양시

【파이낸셜뉴스 고양=강근주 기자】 고양특례시는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 조례’를 12일 제정 공포했다.

이번 기본 조례는 올해 3월 시행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법적 위임사항과 시책 추진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제정됐다.

조례 골자는 2050 탄소중립 달성 비전을 비롯해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시행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설치 운영 △온실가스 감축시책 규정 △기후위기 대응사업 시행 △녹색기술 및 녹색산업 육성 △녹색생활 운동 지원 △탄소중립 지원센터 소비습관 설립 운영 등이다.

고양시는 이번 조례 제정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시책을 적극 추진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실현하기 위한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도를 운영해 기후위기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지원 사업 등을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녹색생활 성장을 위한 생산-소비 문화 확산을 위해 신용카드 등을 활용한 인센티브 부여를 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 시민이 함께하는 생활 속 탄소중립 실천 운동을 확산할 방침이다.

김남훈 환경정책과 팀장은 “조례 제정으로 탄소중립 사회 이행방안을 마련했다. 탄소중립 이행과 확산을 위한 녹색생활 운동-교육-홍보 등을 통해 일상에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생활 습관을 실천할 수 있도록 시민과 연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구재석 기자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2년 7월 저축은행 브랜드평판 분석결과, SBI저축은행이 1위를 기록했다. 저축은행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6월 저축은행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27,032,700개와 비교해보면 10.69%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3.76% 하락, 브랜드이슈 3.11% 상승, 브랜드소통 2.74% 하락, 브랜드확산 17.65% 상승, 브랜드소셜 46.44%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

    이어 "2022년 7월 저축은행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SBI저축은행 브랜드는 링크분석에서 '성장하다, 안전하다, 대출하다'가 높게 나왔고, 키워드 분석에서는 '파킹통장 , 사이다뱅크, 중금리대출'이 높게 분석됐다. 긍부정비율분석에서는 긍정비율 80.21%로 분석됐다."라고 브랜드 분석했다.

    저축은행 브랜드평판 2022년 7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SBI저축은행 2위 웰컴저축은행 3위 OK저축은행 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소비자들에게 사랑받는 44개 저축은행 브랜드에 대해 2022년 6월 13일부터 2022년 7월 13일까지 저축은행 브랜드 빅데이터 29,922,542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저축은행 브랜드 소비패턴을 분석했다. 지난 6월 저축은행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27,032,700개와 비교해보면 10.69%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분석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저축은행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와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소비습관 소셜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저축은행 브랜드평판 알고리즘은 브랜드와 소비자의 관계에 대한 가중치를 변화주면서 브랜드소비분석을 강화했다. ​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소비습관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를 평판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소비습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확산도를 측정할 수 있다. 브랜드 소비습관 영향력을 측정한 브랜드 가치평가 분석과 ESG 평가데이터도 포함했다. ​

    2022년 7월 저축은행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SBI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OK저축은행, 하나저축은행, 페퍼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스마트저축은행, KB저축은행, NH저축은행, IBK저축은행, 신한저축은행, 우리금융저축은행, 고려저축은행, 모아저축은행, DB저축은행, 키움저축은행, 상상인저축은행, 예가람저축은행, 대신저축은행, BNK저축은행, 한화저축은행, JT친애저축은행, 푸른저축은행, 유진저축은행, 스타저축은행, 애큐온저축은행, 대한저축은행, 더케이저축은행, 삼호저축은행, 유안타저축은행 순이었다.​

    저축은행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SBI저축은행 ( 대표 임진구, 정진문 ) 브랜드는 참여지수 376,852 미디어지수 704,851 소통지수 982,773 커뮤니티지수 402,069 소셜지수 572,39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038,944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3,116,838과 비교하면 2.50% 하락했다. ​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