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ASAS
Cited 0 time in Cited 0 time in
This study describes how the weights of performance measures varies depending on business strategy types, such as defenders, prospectors, analyzers, and reactors. A Balanced Scorecard has been widely used for measuring a corporate performance to incorporate financial and non-financial measures simul-taneously. Because such performance measurements are related to the compensation and promotion of employees, research of weights of performance measures would be instrumental. Our test results 지표 전략 demonstrate that the weights of the business performance measures differ in the four perspectives-financial, customer, internal process, and learning and growth. Furthermore, there is evidence that the weights of performance measures vary depending on business strategy. Our study results can be used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빨간연필 빨간연필
스토캐스틱(Stochastic Oscillator)를 이용하여 투자전략을 세우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시장 움직임에 대한 스토캐스틱 지표의 민감도는 지표 생성 기간을 조정하거나 결과의 이동 평균을 취함으로써 줄일 수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지표는 0–100 범위의 값을 사용하여 과매 수 및 과매도 거래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스토캐스틱 지표는 주로 차트의 추세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최근 N일간의 최고가와 최저가의 범위 내에서 현재 가격의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한 지표입니다.
스토캐스틱 지표는 Fast와 Slow 두가지가 있고, 각각의 %K, %D를 구합니다. Fast 지표는 주가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아주 짧은 주기의 단타를 하시는 활용하시면 좋고, 보통은 Slow 지표를 매매에 활용하게 됩니다.
스토캐스틱 지표의 사용 방법
스토캐스틱 지표는 대부분의 HTS 또는 MTS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으며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되는 표준 기간은 14일이지만 특정 분석한 상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지표는 현재 종가에서 해당 기간의 최저값을 빼서 해당 기간의 최고값과 최저값의 차이로 나눈 다음 100을 곱하여 계산됩니다. 예컨데, 14일 최고가가 15,000원, 최저값이 12,500원, 현재 종가는 14,500원이라면, 스토캐스틱 지표는 (14,500-12,500) / (15,000-12,500) * 100으로 이를 계산하면 80이 됩니다.
현재 가격을 표준 기간의 범위와 비교함으로써 스토캐스틱 지표는 가격이 최근 고가 또는 저가 근처에서서 마감되는 일관성을 갖습니다. 값이 80이면 자산이 과매수 직전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상대적 강도 지수(Relative Strength Index)와 스토캐스틱 지표의 차이점
상대적 강도 지수(Relative Strength Index, RSI)와 스토캐스틱 지표는 모두 기술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가격 모멘텀 지표입니다. 종종 함께 사용되지만 각각 다른 이론적 배경이 있으며, 계산방법도 다릅니다.
스토캐스틱 지표는 종가가 현재 추세와 같은 방향에 가깝게 마감되어야한다는 가정에 근거합니다. 한편, RSI는 가격 움직임의 속도를 측정하여 과매수 및 과매도 수준을 추적합니다. 일반적으로 지표 전략 RSI는 추세 시장에서 더 유용하고 횡보 또는 고르지 않은 시장에서는 스토캐스틱 지표가 유용합니다.
스토캐스틱 지표를 이용한 트레이딩 기법
- 과매수, 과매도 이용 기법
- 일반적으로 (20%, 80%)를 기준으로, %K가 20% 이하면 과매도 구간으로 보고 매수 포지션을 잡고, %K가 80% 이상이면 과매수 구간으로 보고 매도 포지션을 잡는다. - %K와 %D 교차를 이용한 매매기법
- %K선이 %D선을 상향 돌파 (골든 크로스) 하면 매수
- 과매도 구간(%K 20% 이하)에서 골든 크로스면 확률 상승
- %K선이 %D선을 하향 돌파 (데드 크로스) 하면 매도
- 과매수 구간 (%K 80% 이상) 에서 데드 크로스면 확률 상승 - 기준선 활용
- %K선과 %D선이 기준선(보통 50%)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하향 돌파하면 매도
스토캐스틱 지표 한계
스토캐스틱 지표의 주요 한계는 잘못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지표에 의해서 거래를 했지만, 실제로 가격이 뒤따르지 않아 결국 지표 전략 거래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불안정한 시장 상황에서 이것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가격 추세를 필터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매도 또는 매수 신호가 추세와 같은 방향 일 때만 트레이딩 신호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파이썬을 이용한 스토캐스틱 지표 계산
파이썬을 이용해서 위에서 설명한 스토캐스틱 지표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우선 분석이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Import 하겠습니
주식 데이터 로드
야후 파이낸스(yfinance)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나그닥의 한 종목 데이터를 가져오겠습니다. 야후 파이낸스 라이브러리가 없다면, '!pip 지표 전략 install yfinance'를 통해서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 예시로 위해서 클린 에너지 퓨엘(Clean Energy Fuels, NYSE: CLNE) 데이터를 사용하겠습니다.지표 전략
스토캐스틱 지표 계산 함수
일자(n, m, t)에 따른 Stochastic Fast와 Stochastic Slow를 계산하는 함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상대적 강도 지수(RSI) 계산
비교를 위해서 상대적 강도지수도 함께 계산해 보겠습니다. 상대적 강도 지수에 대한 설명은 주식 시장의 기술 지표 분석(feat. 파이썬)을 참고해 주세요. 이번 예시에서는 상대적 강도 지수의 계산 window를 14일로 하겠습니다.
기술 지표를 계산해서 DataFrame에 추가
주가 데이터 시각화
스토캐스틱 FAST와 RSI 시각화
스토캐스틱 SLOW와 RSI 시각화
지금은 매도 타이밍?
스토캐스틱 Fast와 Slow 모두 값이 높게 나오네요. RSI도 거의 80에 가까운 수치니, 기술 지표 상으로 지금은 Clean Energy Fuels을 매수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상황이긴 합니다. 저는 며칠전 거의 상투일때 매수를 했네요ㅠㅠ 하지만, 클린 에너지는 바이든 정부의 정책 기조 이기 때문에 2년 정도 묵혀둔다면 충분히 상승하지 않을까. 기대하며 매수 타이밍을 기다려보겠습니다.
개도국 정부경쟁력 지표의 ODA 전략 적용방안
Most literature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focus 지표 전략 on analyzing effectiveness of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 evaluating success of such projects. This paper aims to apply the government competitiveness model to analyze government capacity of developing countries, and evaluate whether current ODA profile sufficiently meets the needs of developing countries. The government competitiveness model – different from widely used concep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at envelops developed countries’ viewpoints on a country – takes both time and space into account in analyzing the role of a government, and allows us to compare different countries without neglecting their particularities. Based on the model, this paper devises a new set of indices associated with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the end, the goal is to propose a more practical and effective alternative decision-making process that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can benefit when it selects future priority partner countries and ODA projects. (The rest omitted)
이 기사는 2022년 03월 03일 14:5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NH농협은행은 전략적으로 기업여신과 외환, 퇴직연금 확대를 노리고 있다. 경영전략을 수치화해 각 영업점에 영업목표로 하달한 2022년 핵심성과지표(KPI)의 주요 평가지표로 이 세 가지 요소가 전면에 등장했다.
농협은행은 지난해 가계대출 성장세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금융 당국의 경고 및 제재를 받기도 했다. 이 영향으로 올해 가계여신 대신 기업여신을 중심으로 자산성장을 노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 그동안 경쟁사 대비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던 외환과 퇴직연금 시장에서도 경쟁을 본격화해 수익기반을 확실히 다진다는 전략이다.
농협은행의 KPI 평가 배점표는 단순하다. 크게 고객KPI, 사업KPI, 재무KPI 등 세 가지 항목으로 나뉘어 있다. 각 평가항목에는 다시 하위 평가지표인 핵심사업, 전략사업, 정책사업 등이 배치돼 있다. 해당 평가 기간의 전략 목표 및 영업점 형태별로 다양한 미션을 부여한다.
올해 농협은행의 영업전략 핵심은 기업금융과 외환, 퇴직연금 등 세 가지 요소로 압축된다. 형태를 뛰어넘어 전 영업점에 해당 목표를 부여했다. 더불어 금리 인상기를 맞아 저원가성 조달을 위한 핵심예금 조달을 전 영업점에 미션으로 하달됐다.
우선 영업본부의 경우 핵심사업과 전략사업에만 배점이 있다. 정책사업은 펼치지 않는다는 뜻이다. 핵심사업에선 우량기업여신, 신규여신손익, 핵심예금 등 3가지 요소를 복합적으로 평가해 점수를 매긴다. 총점은 70점인데 우량기업여신에 대한 배점이 30점으로 높다.
전략사업에는 총 140점을 배점했다. 이 가운데 외환과 신용카드에 각 40점을 배점했다. 이외 퇴직연금에는 30점을 배점했다. 추가로 경영전략 등 지표를 충족해야 만점을 받을수 있다.
리테일, 시군지부, 지역영업부, 금융센터 등은 올해 사업KPI 배점과 평가지표가 똑같다. 최전선에서 일반 고객 및 조합원들을 상대하는 일선 영업점들인 만큼 올해 농협은행의 전략 목표를 가장 충실하고 다양하게 수행해야 하는 곳들이다. 기업여신과 외환, 퇴직연금, 핵심예금 등 다양한 평가지표를 모두 소화해야 한다는 뜻이다.
모두 핵심사업에 대한 총점은 100점으로 같다. 세부적으로 우량기업여신 40점, 핵심예금 40점, 신규여신손익 20점 등이 배점돼 있다. 기업여신을 확대해 자산을 성장하고, 대출자산의 기초가 되는 예수금 확보를 위해 핵심예금을 늘리라는 주문이다.
전략사업도 배점이 총 150점으로 동일하다. 세부 평가지표인 외환과 신용카드에는 40점이 배점됐다. 퇴직연금과 경영전략에 각 30점씩 점수를 부여했다. 여신마진율관리에 10점을 배점에 영업점 단위에서부터 수익성 관리를 타이트하게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고객과 접점이 많은 영업점들인만큼 정책사업에 대한 배점도 추가했다. 특히 코로나19 등으로 은행들의 정책금융사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협은행은 서민금융 12점, 기술·관계형금융 18점을 각각 배점했다. 해당 영업성과를 끌어올리도록 유도하는 차원이다. 다만 지역영업부는 배점이 서민금융 10점, 기술·관계형금융 30점으로 조절했다.
리테일 영업점 등 일반 고객들을 상대하는 영점점과 다른 유형의 영업점들에 대한 사업KPI는 조금 다르다. 핵심사업 평가에서 기업금융이 제외되는가 하면, 정책사업 평가지표가 없는 곳도 존재한다. 각 영업점 현황에 맞춰 평가지표 및 배점이 조정된 모습니다.
공공금융 영업점은 사업KPI 배점이 총 220점이다. 이 가운데 핵심사업은 60점인데, 평가지표는 신규여신손익(20점)과 핵심예금(40점) 뿐이다. 전략사업은 150점이 배점돼 있다. 외환, 퇴직연금, 신용카드, 경영전략, 여신마진율관리 등 리테일 영업점과 동일하다. 정책사업은 기술·관계형금융을 제외하고 서민금융 성과만 평가한다.
공공직할 영업점은 사업KPI 배점이 180점으로 더 낮다. 핵심사업에 대한 배점은 40점으로 지표 전략 낮다. 평가지표도 핵심예금 하나 뿐이다. 전략사업에 140점이 배점돼 있는데, 외환과 퇴직연금, 신용카드, 경영전략 등 지표를 대폭 축소했다. 정책사업은 별도 평가하지 않는다.
기업전문 영업점의 경우 사업KPI 배점이 295점으로 일반 리테일 영업점보다 높다. 이 가운데 핵심사업에 110점이 배점돼 있다. 특히 우량기업여신에 50점을 배점해 관련 영업활동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다. 신규여신손익 20점, 핵심예금 40점 등 전략 목표도 충족해야 한다.
전략사업 평가는 리테일 영업점과 동일하다. 총 배점은 150점으로 외환 40점, 퇴직연금 30점, 신용카드40점, 경영전략30, 여신마진율관리 10이 각각 배점돼 있다. 정책사업에선 기술·관계형금융 만 충족하면 된다. 배점은 35점이다.
디지털 영업점은 사업KPI 배점이 320점으로 가장 높다. 전략사업에 100점이 배점돼 있다. 우량기업여신 40점, 신규여신손익 20점, 핵심예금 40점 등 다른 영업점들과 똑같은 목표를 부여받았다. 전략사업도 120점으로 평가지표 및 배점이 다른 영업점과 비슷하다. 외환 40점, 퇴직연금 30점, 신용카드 40점, 여신마진율관리 10점 등이다.
다만 디지털 영업점에 특화된 KPI가 별도로 존재한다. 정책사업 대신 디지털전환(DT) 실적을 평가하기 위해 별도 평가지표를 설계했다. 주로 고객들의 디지털금융 이용실적을 KPI 평가와 연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자창구(PPR) 40점, 바이오인증 30점, 방문예약 30점 등 일반 영업점과 전혀 다른 형태의 평가를 진행한다.
퀀트 가이드 - 주가 지표와 퀄리티 지표
퀀트로써 전략을 지표 전략 짜려고 보면, 특히 퀀트에 입문하시는 입문하시는 분들이 전략을 짜려고 보면, 여러가지 지표를 많이 접하시게 됩니다.
대표적인게 P로 시작해 R로 끝나는 지표들, PER, PBR, PSR 등이 있고, ROE나 ROA같은 지표들도 있지요.
가치투자에 기반한 전략을 수립하는 퀀트들은 보통 이런 이 지표들을 적절히 잘 혼합해서 최적의 수익률을 가져다주는 포트폴리오를 산출해내는 전략을 수립하려고 하지요.
전략을 수립할 때 무슨 지표들을 결합해야 최적의 수익률을 낼까? 하는 질문에 답을 내려면, 대충이라도 지표를 합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어림짐작이라도 가능해야됩니다.
입문자분들이 가장 어려워 하는 부분 중 하나지요.. 지표들이 어떤 특징을 갖는지, 그 지표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이해 했다고 하더라도 지표가 합쳐지면 어떤 시너지를 내는가? 를 생각해보는 것은 정말 어렵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시너지 효과를 대충 어림짐작으로라도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지.. 그 방법을 지표 전략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주가 지표, 퀄리티 지표
전략에 사용 가능한 지표들을 구분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합니다. 그 중 하나는, 지표들을 주가 지표와 지표 전략 퀄리티 지표로 나누는 겁니다.
주가 지표란, 간단히 말하면 주가, 혹은 시가총액이 지표를 산출할 때 고려되는 지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P 시작해 R로 끝나는 모든 지표들은 "시가총액 대비" 어떤 재무제표 값으로 계산이 되지요. PER은 시가총액 대비 순이익, PBR은 시가총액 대비 장부가치.. 이런 식으로 말입니다.
이 주가 지표는 "주가가 기업의 가치대비 싼가? 비싼가?"를 알려주는 지표가 됩니다. 즉, 주가가 가치대비 저평가, 고평가 되었는지를 말해주는 지표들이지요.
반대로 퀄리티 지표란, 주가, 시가총액이 지표를 계산하는 수식에 포함되지 않는 지표, 다시 말해 주가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게 ROE, 배당률 같은 것이 있습니다. 이들은 주가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수치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이들 지표는 기업이 우량한지? 기업의 사업성이 어떤지?를 알려줄 수 있지만, 기업의 "주가가" 싼 지, 비싼 지를 알려줄 수 없습니다.
이제 주가 지표와 퀄리티 지표에 대해 어느정도 감을 잡으셨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명민하신 독자분들은 이 2개를 어떻게 조합해야 될 지 벌써 감이 오는 분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
- 1개 이상의 주가 지표와 퀄리티 지표 전략 지표를 재량 껏 혼합해서 전략을 짜야하고,
- 퀄리티 지표들만 결합해서 전략을 짜는 것은 절대로 안됩니다.
주가 지표는 무조건 한 개 이상은 전략에 포함되어야 하는 이유는 주가가 저평가 되어 있는지, 고평가 되어 있는지를 반드시 알아야 되기 때문입니다.
퀄리티 지표들을 결합하면 정말 좋은 "기업"들을 골라 낼 수 있습니다. 정말 우량한 기업들만 골라낼 수 있지요. ROE도 짱짱하게 높고, 배당도 정말 잘하는, 그런 주식들 골라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기업의 주식이라도 주가가 고평가 되어 있으면 결국 투자로는 돈을 벌 수 없습니다. 그리고 퀄리티 지표들의 결합으로는 주가가 고평가 되어 있는지, 저평가 되어 있는지 절대 알 수 없기 때문에, 고평가된 지표 전략 주식을 매수하게 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사실, 시뮬레이션을 해보면, 퀄리티 지표를 아예 섞지 않고 주가 지표만 결합을 해도 수익률이 괜찮게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주가지표가 매우 중요하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퀄리티 지표를 잘만 섞으면, 어마어마한 수익률을 가져다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