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세션 일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20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AWS re:Invenet 2020 등록 시작 – 올해 AWS re:Invent는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11월 30일 부터 12월 18일까지 클라우드 기술을 배울 수 있는 무료 클라우드 컨퍼런스에 지금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분을 위한 국내 AWS 고객사들이 참여하는 한국어 세션 트랙 및 re:Invent 기간 동안 한국 시간으로 매일 아침 AWS 전문가와 함께 신규 서비스 및 행사 이모저모에 대한 한국어 라이브가 진행됩니다.

대한변호사협회는 언제나 국민곁에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을 전부 개정함에 있어 관련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 등으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자 아래와 같이 공청회를 개최합니다.

◈일 시 : 2018년 9월 28일(금) 13:00~18:00

◈ 장 소 : 은행회관 국제회의실(서울 중구 소재)

ㅇ 13:00 ~ 13:10 개회사

ㅇ 13:10 ~ 15:20 세션 1(경쟁법제, 절차법제)

ㅇ 15:20 ~ 15:40 휴식

ㅇ 15:40 ~ 17:40 세션 2(기업집단법제)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첨부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전부개정안 공청회 개최 안내 1부.

협회는 '변호사 윤리연수'를 아래와 같이 실시하니, 수강을 희망하는 회원은 신청 및 수강료 입금을 하시기 바라며, 동 연수는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동 연수는 변호사 의무연수 중 윤리연수 1시간 인정- 아 래 -▣ 일 시 : 2018. 10. 10.(수) 19:00 ~ 20:00(1시간)▣ 강 사 : 이호일 변호사(대한변협 윤리이사)▣ 장 소 : 변호사연수원(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24, 삼원타워 14층)▣ 수강료 : 10,000원(김밥제공)▣ 수강인원 : 150명▣ 입금계좌 : 신한은행 140-008-760263 예금주 : 대한변호사협회(*꼭 동 계좌번호로 입금바랍니다. / 신청 변호사명으로 입금, 법인명으로 입금 시 협회로 연락 필수 - 입금자 확인이 되지 않을 시 취소처리함)▣ 신청방법①공문 하단의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해서 신청②신청 변호사명으로 수강료 송금③익일에 협회 홈페이지(https://biz.koreanbar.or.kr)에서 승인여부 확인※ 유의사항①이번 연수는 윤리연수 1시간만 인정되니, 윤리연수 2시간 인정이 필요한 회원께서는 다음 연수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②신청인원이 많을 경우 신청기한(2018. 10. 9.(화) 18:00) 이전에 마감될 수 있습니다.③조기 마감될 경우 별도의 대기신청을 받지 않으며, 10. 4.(목) 18:00까지 수강료를 입금하지 않은 신청자는 10. 5.(금) 오전 09:30에 자동취소 처리할 예정이니, 조지 마감으로 인해 신청하지 못한 회원은 10. 5.(금) 오전 10:00 이후에 신청바랍니다.④연수 실시 전일 18:00까지 연수 신청 취소 시 수강료 전액 환불 가능하나, 이후에 취소하거나 불참하는 경우 환불 불가(연수 종료 1~2주 후에 환불 예정)⑤연수 취소: 거래 세션 일정 협회 홈페이지(https://biz.koreanbar.or.kr)를 통한 인터넷 접수⑥연수 당일 주차비 지원이 불가하니, 이 점 양해부탁드립니다.⑦수강료 영수증은 당일 현장에서 배부하며, 전자계산서가 필요할 경우 구글 서식 작성(http://goo.gl/forms/slrKVG0K12)후 메일로 사업자 등록증 송부.

안녕하십니까, 사법정책연구원은 사법제도 및 재판제도 등의 개선에 관한 연구업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2014. 3. 10. 출범한 대법원 산하의 연구기관입니다. 사법정책연구원에서는 2019년도에 수행할 연구 제를 발굴·선정하기 위하여 각계각층의 전문가와 국민들로부터 소중한 의견을 듣는다고 합니다. 사법정책연구원이 사법제도 및 재판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서, 본연의 역할과 기능에 걸맞은 연구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2019년도 연구주제"를 2018. 10. 12.까지 제안 받는다고 하니,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사법정책연구원(원장 : 강현중)은 2014년 3월 10일 각계의 높은 관심 속에 출범한 후, 미년 연구주제를 국민 일반을 대상으로 하여 공모하여 왔습니다. 제안된 연구주제를 토대로 금년에도 “2018 연구계획”을 수립하여 연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첨부파일 참조). 그동안, 사법정책연구원 설립되어 실질적으로 출범하는데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주시고, 응원해주신 데 대하여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이제, 사법정책연구원에서는 2019년도에 수행할 연구과제를 발굴·선정하기 위하여, 정부부처, 연구기관, 관련 학회, 학계, 언론계, 시민단체 등 각계각층의 전문가와 국민들로부터 소중한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사법정책연구원이 사법제도 및 재판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서, 본연의 역할과 기능에 걸맞는 연구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2019년도 연구주제”를 제안해 주셨으면 합니다. 제안하시는 방법은 첨부된 「연구주제 신청양식」에 내용을 기재하신 후, 2018. 10. 12.까지 이메일([email protected])또는 팩스(031-920-3584)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안하신 의견에 대해서는 연구계획에 최대한 반영하여 추진할 예정이며, 2019년도 연구과제로 선정되신 분께는 소정의 기념품을 전해 드릴 계획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연구기획실(031-920-3520) 또는 연구지원과(031-920-3583)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주메뉴 닫기

한반도국제평화포럼((KGFP: Korea Global Forum for Peace)은 대한민국 통일부가 주최하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관한 1.5 트랙 다자 국제포럼으로서, 2010년 창설된 이래 한반도의 항구적인 자유번영 및 평화구축을 주제로 매년 전 세계 20여개 국가의 한반도․북한 문제에 관한 연구자들 및 정부 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해 왔습니다.

올해 한반도국제평화포럼은 『전환기 시대 한반도의 통일비전과 남북관계』를 주제로, 7.4 남북공동성명 50주년 및 新정부 출범을 맞이하여, 변화된 국제정세下 북핵 해법과 한반도의 긴장완화 및 안정적 관리 방안 등을 모색하고, 남북관계 정상화와 공동번영을 위한 남북관계의 새로운 비전을 선제적으로 모색하고자 하오니, 관심이 있는 통일・북한 관련 국내외 기관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 행사 개요
o 일시・장소 : 2022년 8월 30일(화) ~ 9월 1일(목)/밀레니엄 힐튼 호텔(서울)
o 주제 : 전환기 시대 한반도의 통일비전과 남북관계
- 소주제 : ①글로벌 중추 국가 대한민국의 대전략과 통일 비전 ②남북관계 정상화와 공동번영 ③북한 비핵화와 김정은 체제 변화 ④국민적 합의와 정책 연속성 확보

□ 참가 신청
o 신청방법 : 기관장 명의 공문 제출(전자문서 또는 이메일)
o 제출기간 : 2022년 5월 6일(금) ~ 5월 25일(수)
o 제출서류 : 신청공문 1부, 세션(회의) 기획안(별첨2 양식참고) 1부
o 지원내역 : △회의장 임대·장비료 △동시통역 △연회・식사 △후원기관 등록 △발간물 로고 광고 게재 △홍보부스 공간 제공(다만, 발제 토론자 초청 경비는 기관 자부담)

□ 심사 및 결과 통지
○ 심사결과는 KGFP 자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5월말 개별 통지)
○ 기획안은 KGFP 자문위원회 검토 결과에 따라 조정(통폐합, 수정 등) 가능

AWS 주간 소식 모음 – 2021년 9월 20일 :: Amazon Connect용 콘택트 렌즈, 한국어 포함 8개 언어 지원 추가 등

안녕하세요! 여러분~ 올해도 풍성한 한가위가 찾아왔습니다. 건강히 가족들과 좋은 시간 거래 세션 일정 보내세요. 휴일에도 어김없이 매주 월요일 마다 지난 주 업데이트된 국내 AWS관련 콘텐츠를 정리해 드리는 AWS 주간 소식 모음입니다. AWS 클라우드에 대한 새로운 소식을 확인하시는데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AWS Builders – “Graviton2” 특집 거래 세션 일정 세션 (9월 28일)

AWS Graviton2 특집 세션에서는 최신 고객 사례를 기반으로 Graviton2 도입 효과에 대해서 발표하고, EC2, 컨테이너, AWS 관리형 서비스 기반의 AWS Graviton2 서비스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드립니다. AWS Graviton2 프로세서는 훨씬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하여 고객이 워크로드의 성능과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 (9월 30일)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는 AWS 공인 강사가 진행하는 1일 무료 클라우드 교육 행사로 AWS 클라우드 개념, 핵심 AWS 서비스, 그리고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응용 분야 및 산업에서 혁신을 이루고 AWS 클라우드에서 성공을 가속화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립니다.

AWS코리아 블로그

주요 AWS 최신 뉴스

주요 AWS 제품별 블로그(영문)

  • [게임기술] Amazon GameLift, AWS Serverless, C++를 이용한 온라인 멀티플레이어 게임 구축 방법(2021-09-15)
  • [게임기술] Amazon Lookout for Metrics 및 Game Analytics Pipeline Solution으로 게임의 이상 징후 감지(2021-09-13)
  • [공공유저] AWS Startup Ramp, 한국과 동남아시아에서 정식 공개(2021-09-14)
  • [관리도구] Amazon Athena 및 Amazon QuickSight를 사용하여 Microsoft SQL Server 라이선스 활용도 쿼리 및 시각화(2021-09-16)
  • [관리도구] Ryanair가 EC2 Image Builder를 사용하여 이미지 배포를 관리하는 방법(2021-09-16)
  • [관리도구] DevOps 및 CCOE(Cloud Center of Excellence)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AWS의 규정 준수 표준화(2021-09-14)
  • [네트워크] IGMP v2와 AWS Transit Gateway를 이용한 Doppelio 멀티캐스트 IoT 디바이스 자동화 테스트(2021-09-18)
  • [네트워크] AWS Content Delivery Network Edge Week에 참여하세요!(2021-09-14)
  • [데이터베이스] Amazon Aurora PostgreSQL 벤치 마크 테스트 자동화(2021-09-15)
  • [데이터베이스] IntelliJ, PyCharm 또는 DataGrip IDE를 사용하여 데스크톱에서 Amazon Keyspaces에 연결(2021-09-14)
  • [데이터베이스] Send webhooks to SaaS applications from Amazon Aurora via Amazon EventBridge(2021-09-14)
  • [보안/인증] 클라우드의 재해 복구 규정 준수, 2부: 구조화된 접근 방식(2021-09-15)
  • [보안/인증] 클라우드의 재해 복구 규정 준수, 1부: 일반적인 오해(2021-09-15)
  • [보안/인증] 관리형 DNS 방화벽 및 네트워크 방화벽을 사용하여 원격 인력 보호(2021-09-14)
  • [빅데이터] Amazon FinSpace에서 Amazon Redshift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일 거래 활동 분석(2021-09-14)
  • [생산성] AWS Lambda와 Amazon EventBridge를 이용한 이벤트 기반 Amazon Chime Webhook(2021-09-18)
  • [생산성] Amazon Chime SDK 메시징으로 iOS 및 Android 채팅 애플리케이션 구축(2021-09-16)
  • [아키텍처] Starburst on AWS로 클라우드 인프라 비용 및 성능 최적화(2021-09-18)
  • [인공지능] Amazon SageMaker로 사기 결제 탐지 훈련(2021-09-18)
  • [인공지능] Amazon Comprehend를 사용하여 문서에서 명명된 엔터티를 추출하는 사용자 지정 문서 주석(2021-09-16)
  • [인공지능] Amazon Transcribe를 사용하여 스트리밍 트랜스크립션에서 PII 식별 및 수정 도입(2021-09-15)
  • [오픈소스] Amazon Managed Service for Prometheus에 대한 AWS Lambda 지표 지원, 이제 OpenTelemetry용 AWS Distro에서 사용 가능(2021-09-15)
  • [컴퓨팅] 신규 Amazon EC2 T3 전용 호스트로 비용 최대 70% 최적화(2021-09-15)
  • [컴퓨팅] AWS Lambda로 서버리스 GIF 생성기 구축: 2부(2021-09-14)
  • [컨테이너] Amazon EKS용 Container Insights, OpenTelemetry Collector용 AWS Distro 지원(2021-09-18)
  • [컨테이너] CDK 및 OPA/Conftest를 사용하여 CI/CD에서 Amazon EKS 예방 제어를 자동화하는 방법(2021-09-17)
  • [파트너] MongoDB Atlas on AWS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2021-09-18)

AWS Industry Week 온라인 컨퍼런스

생명공학 및 헬스케어,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여행 및 관광산업, 금융, 그리고 제조에서의 산업별 글로벌 트렌드를 알아보고, 클라우드를 통해 비즈니스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는 다양한 고객 사례를 전달드립니다.

AWS 코리아의 주요 이벤트 일정과 지난 행사 모음은 3개월 일정 안내 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AWS 공인 교육 일정은 공인 교육 센터 및 프로그램별 일정 을 통해 확인하시면 됩니다.

AWS 관련 새 소식을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매주 업데이트 되는 AWS 주간 소식 모음 을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좀 더 빠르게 새소식을 접하시고 싶다면, 이메일 구독 신청 을 하시거나, 트위터 나 페이스북 을 팔로우 하세요!

AWS 주간 소식 모음 – 2020년 11월 9일

안녕하세요! 여러분~ 매주 월요일 마다 지난 주 업데이트된 국내 AWS관련 콘텐츠를 정리해 드리는 AWS 주간 소식 모음입니다. AWS 클라우드에 대한 새로운 소식을 확인하시는데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혹시 빠지거나 추가할 내용이 있으시면, 저에게 메일 주시면 다음 중에 추가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AWS re:Invenet 2020 등록 시작 – 올해 AWS re:Invent는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11월 30일 부터 12월 18일까지 클라우드 기술을 배울 수 있는 무료 클라우드 컨퍼런스에 지금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분을 위한 국내 AWS 고객사들이 참여하는 한국어 세션 트랙 및 re:Invent 기간 동안 한국 시간으로 매일 아침 AWS 전문가와 함께 신규 서비스 및 행사 이모저모에 대한 한국어 라이브가 진행됩니다.

AWS Cloud Week – Industry Edition에서 산업군 별 최신 클라우드 성공 사례와 기술을 배우고, 생동감 넘치는 온라인 프로그램을 경험해 보세요.


위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AWS코리아 블로그

  • Amazon CloudWatch 경보 및 OpsCenter 신규 통합 기능 출시(2020-11-07)
  • Amazon MQ 업데이트 — 신규 RabbitMQ 메시지 브로커 서비스 출시(2020-11-06)
  • 기계 학습 및 고성능 컴퓨팅(HPC)을 위한 GPU 기반 Amazon EC2 P4 인스턴스 신규 출시(2020-11-04)
  • Application Load Balancer 기능 업데이트 — 종단간 HTTP/2 및 gRPC 지원(2020-11-02)

AWS 최신 뉴스

  • Amazon EventBridge, 이벤트 재생 지원 도입(2020-11-06)
    Amazon EventBridge는 이제 Event Replay를 지원하므로 개발자가 과거 이벤트를 쉽게 재생할 수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이벤트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내구성과 확장 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벤트 재생을 통해 개발자는 Amazon EventBridge를 사용하여 코드 오류에서 신속하게 복구 할 수 있다는 확신과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확장하여 새로운 기능을 추가 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할 수 있습니다. 재생 시 개발자는 이벤트 버스 또는 하나 이상의 규칙을 재생하도록 선택하고 재생되는 이벤트의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추가 할 수 있습니다. 익숙한 필터 패턴을 규칙으로 사용하여 각 이벤트 버스에 대해 하나 이상의 아카이브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보존 기간을 최소 1 일 또는 무기한으로 선택하여 각 아카이브에 대한 보존 정책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AWS Transit Gateway의 IP 멀티 캐스트 지원(2020-11-06)
    AWS Transit Gateway의 IP 멀티 캐스트를 사용하면 VPC 기반 멀티 캐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구축하고 연결된 수천 개의 데이터를 배포 할 수 있습니다. 멀티 캐스트는 여러 사용자에게 동시에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합니다. 뉴스 기사 및 주식 시세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구독 데이터를 구독자 그룹에 스트리밍 하는 데 선호 되는 프로토콜입니다. IP 멀티 캐스트를 지원하는 AWS Transit Gateway를 사용하면 고객이 클라우드에서 멀티 캐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구축하고 최대 수백 명의 수신기까지 멀티 캐스트 구성을 쉽게 모니터링, 관리 및 확장 할 수 있습니다.
  • Amazon Redshift, 오픈 소스 JDBC 및 Python 드라이버 발표(2020-11-05)
    Amazon Redshift JDBC 및 Python 드라이버는 이제 오픈 소스이며 Apache-2.0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자 커뮤니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릴리스를 통해 고객은 드라이버 구현에 대한 향상된 가시성을 확보하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제 사용자는 관련 AWS GitHub 리포지토리에서 두 드라이버의 코드를 찾아보고, Git Pull Requests를 통해 드라이버 기능 향상을 제출하고, 검토를 위해 문제를보고 할 수 있습니다.
  • EC2 스팟 인스턴스에 대한 인스턴스 재조정 권장 사항 출시(2020-11-04)
    EC2 스팟 인스턴스가 2 분 인스턴스 중단 알림을 받을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EC2 스팟 인스턴스에서 실행 중인 워크로드를 사전에 재조정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스팟 인스턴스가 중단 될 위험이 높을 때 알려 주는 신호 인 “EC2 인스턴스 재조정 권장 사항”이라는 새로운 기능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신호는 2 분 스팟 인스턴스 중단 알림보다 빨리 도착할 수 있으므로 중단 위험이 높은 신규 또는 기존 스팟 인스턴스로 워크로드를 사전에 재조정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작업 체크 포인트를 일찍 시작하여 인스턴스가 중단되기 전에 가능한 한 많은 상태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는 재조정 권장 사항을받은 스팟 인스턴스에 대한 새 작업을 예약하지 못하도록하여 작업 완료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Amazon CloudWatch, Metrics Explorer 출시(2020-11-04)
    Amazon CloudWatch는 태그별 운영 상태 및 성능 지표의 필터링, 집계 및 시각화를 지원하는 태그 기반 대시보드 도구인 Metrics Explorer를 출시합니다. Metrics Explorer는 고객에게 유연한 문제해결 경험을 제공하여 고객이 태그 기반 애플리케이션 상태 대시보드를 빌드하고 상관 관계를 식별하고 운영 테이터를 분석하여 문제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러한 태그 기반 대시보드는 리소스 변화에 따라 최신 상태를 유지하며 고객이 근본 원인을 식별하고 애플리케이션 또는 환경에 경보가 발생하면 해당 문제를 빠르게 격리하도록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AWS 리소스 태그를 프로덕션 또는 테스트와 같은 환경에 할당하여 RDS 인스턴스 플릿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태그를 통해 CPU 사용률과 같은 운영 지표를 슬라이스하여 환경 내에서 해당 태그와 관련된 RDS 인스턴스의 상태 및 성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Metrics Explorer를 사용해 생성한 성능 그래프를 대시보드에 저장하여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할 때 해결할 수 있습니다.
    Metrics Explorer를 사용하면 기존 AWS 리소스 태그 또는 EC2 및 Lambda 리소스 속성을 태그로 사용하여 지표를 슬라이스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유형과 같은 리소스 속성을 기준으로 지표를 집계하고 가용 영역당 하나의 그래프를 시각화하거나 태그를 기준으로 지표를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그래프에 지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 Amazon Kinesis Data Streams 데이터 최대 1 년까지 저장 가능(2020-11-04)
    스트리밍 데이터를 최대 1년까지 장기간 보존하면 Amazon Kinesis Data Streams에 보존 된 실시간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 모두에 동일한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 저장소로 이동하거나 새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지 않고도 금융 거래, 마케팅 개인화 및 추천 모델을위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훈련 할 수 있습니다. 장기 보존을 사용하여 HIPAA 및 FedRAMP를 포함한 특정 데이터 보존 규정을 충족 할 수도 있습니다. 추가 스토리지 또는 컴퓨팅 리소스를 프로비저닝하지 않고 저장 및 검색된 데이터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합니다.
  • Amazon Honeycode, 새로운 앱 템플릿 3 개 출시(2020-11-02)
    Amazon Honeycode는 프로그래밍 없이도 팀에서 작업을 관리하는 데 사용할 모바일 및 웹 앱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3개의 앱 템플릿을 도입했습니다. Honeycode 앱 구축자는 이제 Honeycode의 기존 템플릿 라이브러리 외에도 지원자 추적, 즉석 여론 조사, 협업 브레인스토밍을 위핸 앱 템플릿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템플릿은 처음부터 새로 시작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앱을 구축하거나 더 많은 앱 예제를 모색하는 Honeycode 구축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지원자 추적 앱은 팀이 고용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채용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 앱을 사용하면 후보와의 인터뷰 일정을 잡고 인터뷰 대상으로부터 피드백을 쉽게 수집할 수 있습니다. 협업 브레인스토밍 앱을 사용하면 팀이 협력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쉽게 브레인스토밍할 수 있습니다. 팀과 함께 앱을 사용하여 민주적으로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피드백을 공유하며 뛰어난 아이디어를 모읍니다. 즉석 여론 조사 앱은 여러 그룹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여론 조사 프로세스를 간소화합니다. 팀이나 조직 내에서 사용하면 새로운 여론 조사를 즉각적으로 시작하고 다른 사용자로부터 빠르게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Honeycode 구축자가 팀의 요구 사항에 맞게 템플릿을 사용자 지정하면 팀에 사용자를 초대하고 앱을 공유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WS IoT SiteWise의 새로운 시각화 기능 소개(2020-11-02)
    AWS IoT SiteWise는 산업 장비에서 손쉽게 데이터를 대규모로 수집, 저장, 구성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관리형 서비스로, 이제 SiteWise Monitor에서 다음과 같은 3개의 새로운 시각화 옵션을 지원합니다. 1) 상태 차트를 사용하면 , ≤, ≥, 및 = 연산자를 사용하여 조건 임계값을 구성하고 임계값에 색상을 지정하는 것만으로도 장비의 실시간 상태를 그리드로 시각화하거나 과거 상태를 타임라인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2) 산점도를 사용하면 기간 경과에 따라 측정된 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산점도는 프로세스, 장치 및 장비에서 거래 세션 일정 제공되는 운영 데이터의 전체 분포를 시간에 따라 차트로 작성하여 명확하게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3) 추세선을 사용하면 선형, 분산형 및 막대형 차트에 추세선을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실시간 데이터와 과거 데이터에서의 점진적 이동 및 변동을 직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AWS 제품별 블로그(영문)

  • [게임 기술] AWS Cloud9을 사용하여 Game Analytics 파이프 라인 스키마 사용자 지정(2020-11-04)
  • [개발자] Modular AWS SDK for JavaScript의 Middleware Stack 소개(2020-11-03)
  • [개발자] .NET 용 AWS SDK 버전 1 지원 종료 안내(2020-11-02)
  • [공공 영역] Amazon S3, 오픈 데이터, ArcGIS를 사용한 서버리스 GIS 개발하기(2020-11-06)
  • [관리 도구] AWS Systems Manager를 사용하여 Amazon WorkSpaces에 소프트웨어 배포하기(2020-11-06)
  • [관리 도구] AWS Systems Manager 포트 전달 세션으로 웹 애플리케이션로드 시간 개선 방법(2020-11-05)
  • [데이터베이스] Amazon Elasticsearch Service를 사용하여 Amazon DocumentDB (MongoDB 호환 가능) 데이터에 대한 전체 텍스트 검색 쿼리 실행하기(2020-11-06)
  • [미디어] AWS 기반 기계 학습을 사용하여 방송 비디오 모니터링 자동화(2020-11-06)
  • [빅 데이터] Amazon S3 Find and Forget으로 데이터 레이크에서 데이터 삭제 요청 처리(2020-11-05)
  • [산업별] AWS re:Invent 2020 가이드 – 여행 및 숙박 산업 종사자용(2020-11-05)
  • [산업별] AWS re:Invent 2020 가이드 – 자동차 산업 종사자용(2020-11-04)
  • [아키텍처] AWS WAF를 사용하여 가짜 크롤러 봇을 식별하고 차단하는 방법(2020-11-04)
  • [아키텍처] Architecting for Reliable Scalability(2020-11-03)
  • [인공 지능] Amazon SageMaker Studio 노트북에 사용자 지정 컨테이너 이미지 가져 오기(2020-11-06)
  • [인공 지능] AWS DeepComposer Chartbusters 챌린지, Keep Calm and Model On 발표(2020-11-05)
  • [인공 지능] Amazon Kendra에 사용자 지정 데이터 소스 추가(2020-11-05)
  • [인공 지능] Slack, Amazon AppFlow, Amazon Comprehend를 활용 한 지능형 티켓 라우팅 솔루션 생성(2020-11-03)
  • 거래 세션 일정
  • [인공 지능] Amazon SageMaker Ground Truth를 사용한 ML 워크 플로 용 실시간 데이터 레이블링 파이프 라인(2020-11-02)
  • [오픈 소스] ROS 2로 로봇 개발의 미래 구축(2020-11-05)
  • [오픈 소스] OpenTelemetry를 사용한 분산 추적(2020-11-04)
  • [오픈 소스] AWS Lambda Powertools Java로 서버리스 모범 사례 단순화(2020-11-04)
  • [컴퓨팅] Amazon MQ를 AWS Lambda의 이벤트 소스로 사용하기(2020-11-05)
  • [컴퓨팅] EC2 Auto Scaling을위한 새로운 용량 재조정 기능을 거래 세션 일정 사용하여 스팟 인스턴스 수명주기를 사전에 관리하기(2020-11-05)
  • [컴퓨팅] 서버리스 랜드 구축 : 1 부 – 콘텐츠 집계 자동화(2020-11-03)
  • [컨테이너] AWS App Mesh를 사용하여 Amazon EKS 용 카나리아 배포로 파이프 라인 생성(2020-11-04)
  • [파트너] VMware Cloud on AWS에 적합한 DNS 아키텍처 선택(2020-11-03)
  • [파트너] AWS Client VPN을 Azure Active Directory와 통합하는 방법(2020-11-02)

AWS 코리아의 주요 이벤트 일정과 지난 행사 모음은 3개월 일정 안내 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AWS 공인 교육 일정은 공인 교육 센터 및 프로그램별 일정 을 통해 확인하시면 됩니다.

AWS 관련 새 소식을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매주 업데이트 되는 AWS 주간 소식 모음 을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좀 더 빠르게 새소식을 접하시고 싶다면, 이메일 구독 신청 을 하시거나, 트위터 나 페이스북 을 팔로우 하세요!

주식공부 (7) 시장관리제도 / 써킷브레이커, 사이드카 / VI / 매매거래정지

주가지수가 일정수준 이상 급락하는 경우 시장참여자들에게 투자판단의 시간Cooling-off Period를 제공하기 위해 주식시장 전체의 매매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제도로 발동요건은 3단계로 나뉘며, 발동요건에 따라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발동, 각 단계별로 1일 1회에 한하여 발동된다.

써킷브레이커 발동요건 및 역사

CB발동사례는 표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추가로 2020년 3월 코로나 하락장에 유가증권+코스닥 콜라보로 CB가 두번이상씩 걸렸다.

※ 프로그램매매란? 주식시장과 파생상품시장의 가격차이를 이용하여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주식포트폴리오를 매도/매수함과 동시에 주가지수선물을 매도/매수한다.

프로그램매매 호가의 일시정지제도로 파생상품시장에서 선물가격이 급등락할경우, 프로그램매매가 주식시장에 와서 설치고 다니니깐 그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제도로 발동시 프로그램 매매호가의 효력을 5분동안 정지시킨다.

1일 1회만 발동되며, 발동요건으로는

- 코스피 : 코스피200선물 가격이 기준가 대비 5%이상 +-되는 거래 세션 일정 경우가 1분간 지속되는 경우

- 코스닥 : 코스닥150선물 가격이 기준가 대비 6%이상 +-되고 동시에 코스닥150지수가 3%이상 +- 1분간 지속되는 경우

이 사이드카의 제도 의의는 '선물시장에서의 급등락을 가지고 현물시장에 와서 깝치지 말아라' 하는 것이다.

*변동성 완화장치 Volatility Interuuption VI

개별종목에 대한 가격완화장치로, 주문실수나 수급불균형 등에 의한 순간적인 가격 급변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다.

개별종목이 이례적으로 주가가 급변하면 VI가 발동하게 되고 VI가 발동하면 단일가매매로 전환하여 단기간의 냉각기간Cooling-off Period를 부여한다.

미국은 굉장히 free한 나라이기 때문에 VI가 없는데 유럽국가 등에서는 가격제한폭같은 직접적인 가격규제를 두지 않고 VI를 통해 간접적인 가격규제를 한다.

호가접수직전의 체결가격을 기준으로 1~6%의 가격범위를 정하고(종목 및 세션별로 차등) 잠정체결가격이 이 가격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거래 세션 일정 2분간 단일가매매방식으로 전환발동!

호가접수직전 단일가매매 체결가격(ex시가)을 기준으로 10%의 가격범위를 설정하고 잠정 체결가격이 이 가격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발동!

동적VI와는 달리 종목 및 세션별로 등락% 차등을 두지 않고 무조건 10%시 발동되며 동적VI와 마찬가지로 발동되면 2분간 단일가매매로 거래한다.

변동성완화장치 VI 발동예시

동적 VI는 정규시장에서 시초가를 정하는 단일가매매를 제외하고 접속매매+후반단일가매매+시간외단일가매매에서 적용되고, 정적VI는 전후단일가매매를 포함한 정규시장 전체에서 적용되지만 시간외시장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만약 이미 단일가매매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동적VI가 적용된다? 그럼 단일가매매시간을 2분 더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한다.

주식 매매시장 시간 참조

투자자에게 기업정보를 충분히 주지시킬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거나 매매거래의 폭주 등으로 인하여 시장에서 정상적인 매매체결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종목의 매매거래를 일시정지 시킨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