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선택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20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재래시장 이용자의 선택속성이 선호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pdf 기타 데이터 / 5.06 MB / Adobe PDF

제주대학교 Repository

Alternative Title An effect of traditional market customer's choice attribute on the preference and revisit Abstract 재래시장은 상인의 고령화로 경영혁신 및 마케팅능력 등 경영관련 능력이 부족하고, 시장 구성 인원이라 볼 수 있는 이해관계자들 간의 입장에 따라 이해관계가 달라 구성원의 통일된 의사결정에 어려움이 많을 뿐 아니라 효율적인 운영이 어렵다.
그리고, 대형할인마트, 백화점의 등장과 더불어 이들의 서비스능력, 상품기획, 관리능력 등의 모든 면에서 뒤처지며 소비자의 소비패턴, 편의성 추구 등 소비자의 욕구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지역 재래시장에 대해 이용자들의 선택속성과 이용형태를 구조적으로 파악함과 동시에 재래시장 선호도, 행동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재래시장 선택속성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성별에 따라 선택속성에는 차이가 없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정보획득시간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왔는데 30분 이상 정보획득에 관여한 이들이 30분 미만으로 관여한 이들보다는 선택속성에 있어서 높은 값을 보이고 있었다.
연령에 따른 재래시장 선택속성의 차이를 보면 판매원서비스ㆍ매장분위기, 상품품질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품품질에 있어서 30대가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사후검증을 통해서 살펴본 결과로는 이용편의성, 가격할인에 있어서는 60대 이상이 선택속성 중요도에 높은 값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재래시장 고객층의 선택속성 중요도를 잘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이며, 특히 향후 미래고객이라 할 수 있는 젊은 층의 선택속성에 있어서 시장 선택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여 활성화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동행인에 따른 재래시장 선택속성 차이를 살펴보면 이용편의성, 판매원서비스ㆍ매장분위기, 상품품질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편의성에 있어서는 친구들과 동행하는 이들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판매원서비스ㆍ매장분위기, 상품품질에 있어서는 직장동료가 가장 높은 중요 선호도값을 나타냈다.
교통수단에 따른 재래시장 선택속성 차이를 살펴보면 이용편의성, 판매원서비스ㆍ매장분위기, 가격할인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판매원서비스ㆍ매장분위기는 여행사버스를 이용한 이들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가격할인요인에 있어서는 렌터카 이용객들이 가장 높은 값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현재 재래시장을 이용하는 이들이 보다 많은 체류시간과 선택속성의 중요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형마트와 같은 편리한 주차공간 시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선택속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로는 지역주민보다는 관광객들이 선택속성, 선호도, 행동에 있어서 보다 높은 값들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재래시장 선호도는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전반적 선호도가 만족에 영향을 주며, 제품별 중에는 식품구매 선호도가 만족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나왔다.
전반적 선호도는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주며, 식품구매 선호도와 생필품 선호도 또한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전반적 선호도, 식품구매, 생필품 선호도는 추천에 영향을 미치며, 이용하지 않겠다와 다른 시장으로의 전환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이는 대체적으로 동문재래시장이 다루고 있는 대부분의 제품이 의류나 가전제품에 비해 전반적으로 식품, 생필품 위주로 되어 있는 점을 감안해 보았을 때 이런 결과가 나오지 않았나라고 사료되며, 고객의 선호도를 보면 식품, 생필품 선호에 있어서 높은 값을 보이고 있는 점에서 보충적인 설명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기존의 재래시장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의 전환만이 재래시장이 점포로써 살아남을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재래시장은 주차공간 확보, 쇼핑환경의 쾌적성, 현대적인 이미지 창출, 복합문화공간 창출, 지역 향토 정취를 맛볼 수 있는 공간 등을 위해 더 다각적이고 효과적인 개성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해야 한다. 이에 영세상인들을 대상으로 국가나 자치단체의 지원이 절실하다. 이러한 재래시장의 대대적인 보수를 적극 지원하여 쾌적한 환경으로 많은 소비자들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재래시장의 경우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았을 때 가격만족도에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 또한 재래시장의 활성화방안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raditional market is the first place to the public for buying various grocery until 1980's in Korea. However, a few change of social atmosphere such as appearance of large discount store and increase of working women was a cause of the decline traditional markets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ason why customer didn't visit the traditional market on analyzing the choice attribute and type in use and to make an alternative plans. For specific aim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grasp the choice attribute of traditional market and customers' evaluation factors of preference by literature reviews.
Second, it is analyzed into the impact of the choice attribute of traditional market to behavior and the process affected on customer's preference by choice attribute.
Third, 시장 선택 시장 선택 preference and behavior are inspected by research model to examine traditional market customer's behavior.
Finally, the core strategy for traditional markets are developed by comparing a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residence and 시장 선택 tourists.
For the empirical study, literature reviews were operated about the theories of traditional market, consumer behavior, choice attribute and preference. The theoretical model of customer behavior was appealed consecutive steps of decision making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input and output variables. At the study of the customer's traditional market choice and preference,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eatures as the customer demands would be affected to the satisfactions and choice attribut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and a data for this was collected from Dong-Mun market which is famous in Jeju area from July 13th to 26th, 2009.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residence and tourists in 2 times. Finally, 22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for the analysis method, statistics package program was employed and also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onducted for the valuables o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it was partially significant on most hypothesis. However, Overall preference of traditional market was not affected to the switching intentions.
The implication which can be drawn from the results were these.
First, enlargement of parking space for customers, improvement of shopping environment, creation of complex space for culture and formation of modern image are needed to activate traditional market.
Second, retailers in market should increase their a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and operation of service program.
Furthermore, the resources of local cultures are added to the traditional market for attracting to the customers.
Due to conducted this survey in Jeju area, 시장 선택 시장 선택 it would not be generalized. Certainly, the present paper was limited in scope. Further studies on different large scale assessments are needed. Author(s) 김동근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855

Alternative Author(s) Kim, Dong Ke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관광경영학과 Advisor 조문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문제의 제기 1
2. 연구의 목적 2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3
1) 연구의 방법 3
2) 연구의 범위 3
Ⅱ. 이론적 고찰 5
1. 재래시장에 대한 이론적 고찰 5
1) 재래시장의 개념 및 기능 5
2) 재래시장의 일반 현황 8
3) 재래시장의 문제점 10
4) 재래시장에 대한 정부 정책방향 12
2. 소비자행동의 고찰 14
1) 소비자행동의 정의 14
2) 소비자행동의 특성 16
3) 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6
3. 재래시장선택 행동에 관한 이론적 고찰 20
1) 이용자의 재래시장선택동기 20
2) 이용자의 재래시장행동 21
4. 재래시장점포선택 및 선호도 25
1) 재래시장점포선택의 개념 25
2) 소비자의 점포선택 과정 26
3) 소비자의 점포선택에 관한 시장 선택 선행연구 32
4) 점포선호도의 개념 33
5) 점포선호도 관련 변수 고찰 35
5. 방문객의 만족도 및 행동 36
1) 방문객 만족도 개념과 필요성 36
2) 행동 38
Ⅲ. 조사 설계 43
1. 연구의 모형 및 가설설정 43
1) 연구모형 43
2) 연구가설 설정 44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44
1) 재래시장 선택속성 44
2) 재래시장 선호도 47
3) 재래시장 행동 47
3. 조사 설계 47
1) 설문지 구성 및 내용 47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48
Ⅳ. 실증 분석결과 50
1.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 50
2.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52
3. 가설의 검증 55
1) 가설Ⅰ의 검증 55
2) 가설Ⅱ의 검증 60
3) 가설Ⅲ의 검증 64
4. 분석결과의 요약 67
Ⅴ. 결론 69
1. 연구요약 69
2.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 71
참고문헌 72
ABSTRACT 77
설문지 7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Citation 김동근. (2010). 재래시장 이용자의 선택속성이 선호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Tourism Management

  • 공개 구분 공개

재래시장 이용자의 선택속성이 선호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pdf 기타 데이터 / 5.06 MB / Adobe PDF

(충주=국제뉴스) 김상민 기자 = 조길형 충북 충주시장이 전 세계적인 긴축재정 기조에 대응하는 효율적인 재정 운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조 시장은 11일 주재한 현안업무회의를 통해 "세계 경제의 침체 상황이 우려됨에 따라 정부에서도 재정 긴축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며 "정부예산 확보 여건에 미칠 영향을 세밀하게 분석해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우리시 내부적으로도 선택과 집중을 통해 재정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최대한 현 재정의 범위 내에서 시정을 꾸려가되 주요 현안이 중단없이 이어질 수 있도록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라"고 거듭 당부했다.

그는 도시 미관을 가꾸는 시민들의 노력에 힘을 보탤 것을 제시하기도 시장 선택 했다.

특히, "대소원면 봉숭아꽃잔치, 소태면 유휴지 꽃동산 조성 등 지역 주민들이 직접 나서서 터전을 아름답게 가꾸고 도시의 품격을 높이는 일에 열정을 보여주고 있다"며, "시에서도 관심을 갖고 제도적 지원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할 것"을 지시했다.

또한, "귀농·귀촌 인구를 중심으로 농촌 지역의 쓰레기 수거 시스템 개선을 요구하는 의견이 증가하고 있다"며 "농촌 생활구조의 특성과 도시형 폐기시스템의 장점을 접목한 표준모델을 만들고 주민들에게 안내해 적용하기까지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진행해 달라"고 주문했다.

조길형 시장은 "지역 외부로까지 관심을 갖고 큰 흐름을 읽어내야 발전의 호기를 잡을 수 있다"며 "넓은 시야와 세심한 손길로 주민과 함께 성장하는 민선 8기 충주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화관광형시장 선정된 전통시장 가보니~

작년 6월 중순에 지금 거주하는 서울 서대문구로 이사했다. 그런데 아직 동네 전통시장을 가본 적이 없었다. 코로나19로 식자재 대부분을 온라인 쇼핑몰에서 주문했고, 가끔 외출했다 귀가하는 길에 동네 마트에 가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하지만 지금은 사정이 달라졌다. 실외에서 마스크를 벗을 수 있어서 동네를 산책하는 게 한결 수월해졌다. 탁 트인 실외에서 마스크를 벗고 빠르게 걸으니 코로나19 이전처럼 제대로 운동하는 기분이 든다. 그러다 보니 발길 닿는 대로 걸어 다니고 있다. 며칠 전 길을 걷다 보니 어느새 발길이 전통시장 입구에 머물러 있었다.

독립문영천시장은 남문에서 북문으로 이어지는 일자형 구조의 시장이다.
독립문영천시장은 남문에서 북문으로 이어지는 일자형 구조의 시장이다.

독립문영천시장(이하 영천시장)을 알리는 아치형 출입구가 보였다. 이름처럼 독립문 가까이에 있다. 남문에서 북문까지 일자형 구조의 시장이다. 영천시장 북문으로 나오면 교차로가 있다. 교차로의 건널목을 건너면 독립문이 있고, 서대문형무소와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이 있다.

시장 선택
시장 안에
시장 안에 ‘2022년도 문화관광형시장’ 선정을 알리는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서대문역 방향에서 독립문 방향으로 연결됐다. 좌우에 가게가 즐비하다. 아주 오래된 전통시장이지만 내가 그동안 상상하고 있었던 그런 전통시장의 모습이 아니었다. 쾌적한 환경과 정돈된 가게를 보면서 감탄이 저절로 나왔다. 그러다 ‘2022년도 문화관광형시장’ 선정을 알리는 현수막이 내걸린 것을 보았다. ‘뭐가 달라도 다르다’라고 생각했는데 역시 준비된 시장이었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소상공인진흥공단과 함께 문화관광형시장을 선정하고 있다. 지역 문화, 관광자원을 연계하여 시장 고유의 특장점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시장이 활성화되어 고객들이 많이 유입되면 시장 상인들의 매출이 올라가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시장 바닥에
시장 바닥에 ‘금연전통시장’을 알리는 안내문이 있다.

영천시장은 처음엔 서대문형무소 근처에 떡과 이불을 팔던 가게에서 출발했다. 형무소에 면회 오는 사람들이 떡이나 이불을 사서 형무소 안에 들여보냈다. 그러다 1960년대 서대문형무소 주변이 재개발되면서 지금의 자리로 옮겨왔다. 서울을 대표하는 떡 도매시장으로 유명했던 영천시장이 벌써 50여 년 넘는 역사를 지닌 오래된 전통시장이 되었다.

주택가 인근에 있어 인근 주민들이 애용하는 서울의 대표적인 골목형 전통시장이다. 서울시는 서대문구 영천시장길 38 일대를 지난 2021년 ‘7월의 미래유산’으로 선정했다. 약 198개의 점포가 운영 중인 대규모 전통시장으로 점포의 40%가 떡볶이와 꽈배기 등 다양한 먹거리를 판매하고 있다.

문화관광형시장육성사업단이 꾸려져서 2년간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문화관광형시장육성사업단이 꾸려져서 2년간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영천시장이 문화관광형시장에 선정된 요인이 무엇일지 궁금했다. 마침 시장 입구에 문화관광형시장육성사업단 사무실이 있어서 방문했다. 김우남 사업단장이 궁금해하는 점들을 하나씩 알려줬다. 영천시장이 ‘2022문화관광형시장’으로 선정된 요인이 궁금했다.

우선 지원 요건이 갖춰져야 한다. 지원 요건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를 따른다. 첫째, 전통시장 및 상점가 중 상인 조직 및 특성화 역량을 보유한 곳을 대상으로 선정한다. 지난 2015년부터 서대문구청이 영천시장을 대상으로 종합지원사업을 수행해왔다.

스마트폰으로 독립문영천시장 전용몰에서 온라인 장보기도 가능하다.
스마트폰으로 독립문영천시장 전용몰에서 온라인 장보기도 가능하다.

또한 임대인, 임차인 간 상생 협약이 50% 이상 이루어져야 한다. 나중에 시장이 발전하게 되면 덩달아 건물주가 혜택을 볼 수 있다. 건물주인 임대인이 임대료를 한꺼번에 많이 올리면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으로 시장 상인들이 이곳에서 내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상인회 가입률, 상인회비 납부율, 온누리상품권 가맹률(취급률)이 각각 80% 이상이어야 한다. 영천시장은 앞서 언급한 지원 요건을 충족했다. 물론 시장 선택 그 과정에서 서대문구청과 상인회 등 이해관계자의 노력이 있었다.

화재 발생시 신고구역이 설정되어서 서대문소방서와 긴밀히 연계하고 있다.
화재 발생시 신고구역이 설정되어서 서대문소방서와 긴밀히 연계하고 있다.

소상공인진흥공단은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다다익선’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영천시장도 예외가 아니다. 다다익선 캠페인은 지난 2019년부터 전통시장 서비스 개선을 위해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결제 편의, 원산지·가격표시, 환경개선, 온누리상품권 유통, 화재·안전 등 5개 분야를 중심으로 실천해 왔다.

2022년 올해 추진하는 다다익선 2.0은 기존의 5개 실천 분야와 ESG 전략(환경·사회·지배구조)을 연결하고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결제 수단 활용도를 높여 고객의 결제 편의를 도모하면서 종이 영수증을 없애거나 비닐봉지 대신 장바구니를 이용하는 등 제로웨이스트 캠페인을 벌여서 전통시장도 ‘2050 탄소중립’에 따른 친환경에 동참하겠단 의지다.

문화관광형시장으로 선정되면 2년간 중기부의 예산을 지원받는다. 지역 특색(문학, 관광, 역사)과 연계한 관광 코스, 체험, 축제 등 문화 콘텐츠 개발, 시장의 대표상품을 개발, 또는 개발 완료된 대표상품의 홍보·마케팅, 판매 증대를 위한 특화사업, 시장 고유의 주제를 발굴하여 노후화된 시설·공용공간 등의 활용도 제고 및 고객 만족도 증대를 위한 디자인 재생 등을 추진한다.

시장의 중앙에 시장 알림판과 안내도를 비치해두고 있다.
시장의 중앙에 시장 알림판과 안내도를 비치해 두고 있다.

영천시장만의 특색은 뭐가 있을지 여쭤봤다. 시장통의 구조가 일자형이다. 서대문역 방향에서 독립문 방향으로 하나의 골목길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좌우를 살피면서 물건을 구경하기 좋다.

내가 그동안 다녀본 전통시장은 대부분 길이 사방으로 나 있어서 복잡해 보였다. 내가 원하는 가게나 물품을 찾기가 쉽지 않아서 여러 번 시장 안을 헤맸던 적도 많았다. 이곳은 일자형 구조인데다 시장의 입구 및 중간에 안내도를 배치해두고 있다. 시장 안이 복잡하다면 안내도를 보아도 가게를 찾아가기 어려울 텐데 이곳은 달랐다.

시장이 종합쇼핑몰처럼 다양한 업종의 가게가 입점해 있다.
종합쇼핑몰처럼 다양한 업종의 가게가 입점해 있다.

또한 시장 안 점포의 구성이 다양하게 구색을 갖추고 있다. 종합쇼핑몰과 흡사하다. 대부분 전통시장하면 먹거리를 떠올릴 만큼 식자재가 압도적으로 많다. 이곳은 편의시설도 여럿 갖추고 있다. 시장 안에 문구점, 애견용품 가게, 약국, 병원, 카페 등이 있다. 또한 점포 시장 선택 뒤편에 음식점이 있어서 시장에서 한 끼의 식사도 가능하다. 따라서 남녀노소 누구든 시장에서 쇼핑하면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독립문영천시장 북문에서 교차로를 건너면 독립문이 있다.
독립문영천시장 북문에서 교차로를 건너면 독립문이 있다.

전통시장은 대형마트나 백화점보다 접근성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영천시장은 독립문역 교차로 부근에 있어서 시장으로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외지인이어도 버스나 전철 등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해서 시장을 방문하기 수월하다.

영천시장은 주변에 안산자락길이라는 자연경관, 독립문 등의 역사적 자원이 있다. 장을 보러 오는 지역 주민들뿐만 아니라 인근의 다양한 자원과 연계한다면 지금보다 시장을 찾는 사람들을 늘릴 수 있을 것이다.

영천시장을 둘러보니 현재의 시장도 청결하고 쾌적해서 좋은데, 문화관광형시장 사업이 진행된다면 또 어떻게 진화할지 기대가 된다. 매월 15일을 ‘영천데이’로 정해서 축제 같은 이벤트를 연다고 하니 매월 15일이 기다려진다.

금융시장 선택은 바이든 승리?

조 바이든

조 바이든(사진) 미국 민주당 후보의 대선 승리를 예견하는 신호일까. 금융 시장의 투자자들이 30년 만기 미국 국채를 시장 선택 팔아치우고, 중국 위안화를 사들이고 있다.

미 민주당 집권 땐 대규모 부양책
중국 겨냥한 일방적 관세도 변화
30년물 국채 팔고 위안화 값 뛰어

파이낸셜타임스(FT)는 6일(현지시간) “투자자들이 30년 만기 미국 국채를 던져버렸다”며 “대선과 시장 선택 의회 선거에서 민주당의 승리를 예상한 데 따른 것”이라고 보도했다.

대규모 재정 정책을 주장하는 민주당이 집권하면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을 쓸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국채 발행이 늘어나게 된다. 채권값은 하락(채권 금리 상승)한다. 때문에 민주당의 승리를 예상하는 투자자가 채권값 하락에 앞서 장기 국채를 팔아치우고 있다.

투자자들이 30년물 미국 국채의 매도에 나서면서 이날 30년물 국채 수익률은 장중 한때 1.6%까지 상승했다. 반면 2년 만기 국채(0.14%)와 5년 만기 국채(0.31%) 수익률은 크게 움직이지 않고 있다. 그 결과 5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과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의 격차(스프레드)는 1.27%포인트까지 벌어졌다. 201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커졌다. FT는 증시 전문가를 인용해 “민주당이 정권을 잡는 이른바 ‘블루 웨이브’는 더 많은 국채 공급을 의미하고 이는 곧 더 높은 이자율을 의미한다”고 보도했다.

월가의 분위기도 바이든 쪽으로 무게 중심을 옮겨가는 분위기다. 골드만삭스도 지난 5일 ‘시장전망보고서’에서 “민주당이 백악관과 의회를 모두 장악하면 재정 부양 패키지가 나올 여력이 커진다”며 “‘블루웨이브’가 미국 경제의 회복 속도를 빠르게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위안화 강세도 바이든과 민주당의 승리를 염두에 둔 흐름으로 풀이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6일 중국 역외 위안화 가치가 달러당 6.7136위안까지 오르며 1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미즈호은행의 수석 아시아 통화전략가인 켄 청킨타이는 SCMP와의 인터뷰에서 “시장은 바이든이 대통령에 당선되고 민주당이 (상원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바이든의 승리는 위안화에는 긍정적인 요인”이라고 밝혔다.

바이든이 중국을 겨냥한 트럼프의 무역정책이 미국의 농업과 제조업 분야를 해친다고 비판하며 일방적인 관세 철폐를 주장하는 만큼 바이든의 당선이 중국 쪽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 경제의 회복세도 위안화 가치를 끌어 올리고 있다. HSBC는 “해외 투자자 중국 채권 투자가 늘어나며 위안화 값은 연말에 달러당 6.7위안을 기록한 뒤 내년 말에는 달러당 6.6위안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Hanyang University repository

Title 전통시장 관광객의 추구편익과 선택속성, 만족간의 관계 연구 Author 정윤정 Advisor(s) 최승담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전통시장은 본래 자연발생적 또는 사회경제적 필요에 의해 조성되고, 상품 및 용역의 거래가 상호신뢰를 근거로 전통적인 방식으로 이뤄지는 장소이다(전통시장 특별법 제2조). 2015년 기준 전국에 1,439개가 위치하며 종사자수만 해도 35만명을 넘는 서민경제의 주요 축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대형마트, SSM 등의 업계 과다진입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고객들의 기호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상인들의 자생력 부족 등으로 전통시장은 쇠퇴의 길을 걷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정부는 과거 시설개선 위주의 지원에서 개별시장이 가진 특성을 바탕으로 시장경영혁신을 위한 각종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간, 전통시장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주로 전통시장 자체의 매력성과 기능, 성공요인 등에 대한 연구로서 소비자 행동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추구편익에 대한 연구와 추구편익과 전통시장 선택속성, 만족간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추구편익과 선택속성에는 어떤 요인이 있는지 알아보고 추구편익, 선택속성, 만족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만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시장 선택 활성화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설 1. 전통시장 관광객의 추구편익은 선택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전통시장 선택속성은 관광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을 세웠고, ‘17.5.5 ~ 5.7에 걸쳐 전주남부시장을 방문하는 관광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81부를 최종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가설 검증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통시장 관광객 추구편익은 선택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부분채택). 이를 선행연구와 비교해보면 김현지(2004)의 연구에서 일상생활을 탈피하여 휴식과 육체의 활력을 추구하는 휴식추구형 관광객이 부산의 전통적인 분위기를 원하는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전주남부시장 관광객의 휴식추구 편익이 주요혜택(볼거리, 즐길거리, 특유의 분위기 및 문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관광객 추구편익과 선택속성간의 관계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추구편익 중 문화적 경험을 추구하는 관광객과 다양한 활동을 추구하는 관광객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전통시장 고유의 콘텐츠를 발굴하여 확대하고 주변 관광지와 적극적으로 연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일상생활의 스트레스나 무료함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해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관광객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교통편 확충, 주차공간 정비, 편의시설 구비 등의 관광객에게 편의를 가져다주는 장치를 적극 마련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앞서 살펴본 다양한 선행연구에서는 시설개선 위주의 전통시장 지원정책이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통시장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시설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전통시장 선택속성은 관광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부분채택). 이를 선행연구와 비교해보면, 상품의 차별성이라는 특정요인이 전통시장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김철원·이태숙(2010)의 연구와 유사하게 본 연구에서도 전통시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다양성과 가격 적절성이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전통시장 선택속성과 만족간의 관계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관광객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광매력, 관련정보 속성을 강화해야 하는데, 관광매력 속성은 고유의 관광 콘텐츠 개발로 강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본 연구의 대상지인 전주남부시장 외에도 대구 서문시장, 부산 부평깡통시장처럼 야(夜)시장이 하나의 문화와 소비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는데, 기존 상인들이 영업을 마친 심야시간에 먹거리 중심의 야시장을 활성화 시킨다면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주남부시장 주요 방문 연령층은 20대(50.2%)으로 방문하고자 하는 시장에 대한 정보가 많을 경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청년상인 주도의 홍보 및 SNS활용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전통시장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전통시장 관광객의 추구편익과 전통시장 선택속성, 만족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는데, 이는 기존 연구에서 다룬 추구편익과 선택속성 구성요인을 전통시장에 적용하여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과 추구편익과 선택속성, 선택속성과 만족간의 관계별로 속성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야시장과 같은 시장 고유의 콘텐츠 개발이나 주변관광지 연계가 필요하고, 고객에게 편의를 도모하는 시설을 구비해야 한다는 정책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연구가설이 변수간의 관계가 완벽하게 지지되지 않은 부분채택이라는 한계점과 관광형시장임에도 불구하고 관광을 목적으로 방문하지 않은 방문객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변수의 설명력이 높지 않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속성별로 역할이 다르다는 것을 밝혀냈고, 전통시장이 관광자원으로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05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57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TOURISM[S](국제관광대학원) > INTERNATIONAL TOURISM(국제관광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