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계약의 정의
모든 금융 혁신은 더 많은 레버리지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과, 리스크를 엮거나 세분화하여 투자자들을 위해 자산 가격을 더 효율적으로 메기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는 오랜 우스갯소리가 있습니다.
첫 주요 금융 혁신은 1400년대에 일어났던 부채와 주식의 분리였습니다. 리스크가 세분화되면서 채권자(저위험, 저수익)와 주주(고위험, 고수익)라는 두 분류의 리스크 보유자를 만들어냈죠.
지난 20년동안 금융 시장은 1,000배 빨라졌지만 대부분의 자본 흐름을 관장하는 금융 상품은 놀라울 정도로 그대로입니다. 부채, 보통주, 우선주, 선물, 옵션으로 이루어져 있죠.
금융증권화는 대규모 자본 배분의 선물계약의 정의 효율성을 향상시켰으나, 금융증권화되는 대부분의 대상 자산들은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구조화 금융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복잡한 금융 상품을 제공하는 대형 은행들은 언제나 위와 같은 수단들을 통해 익스포져를 헷징해왔습니다.
새로운 금융 상품의 경우 신용 부도 스와프와 자산 담보부 증권(CDO)의 인기가 지난 20년 동안 폭증했습니다. 이 둘 모두 리스크를 세분화하여 투자자들이 자신들의 권한과 자본에 대한 비용에 따라 더 효율적으로 자산 가격을 책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탈중앙화금융(디파이) 생태계는 맹렬한 기세로 새로운 금융 상품들을 실험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옵션(Hegic, Potion), 스팟(Uniswap, Balancer, Curve) 등 다양한 수단에 활용되는 풀링된 유동성 마켓 메이킹에 선물계약의 정의 대해 다양한 혁신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 10년 동안의 가장 중요한 금융 혁신은 BitMEX가 2016년에 소개하여 보편화된 무기한 선물 계약(perps)입니다. 합성 자산 거래를 활성화하는 다양한 금융 상품이 있지만 무기한 선물 계약이 가장 적절한 형태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실증적인 근거가 있습니다. 현재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perps 거래가 스팟 거래보다 매일 3-10배 많이 발생하고 있는 반면 다른 합성 상품은 스팟 거래량 보다 훨씬 적습니다. 시장에서 Perps가 합성 자산 거래에 최적화된 금융상품이라는 점을 명확하게 시사하고 있는 것이죠. 무기한 스왑 계약의 인기가 향후 10년 동안 모든 자산 종류에서 비약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0년 8월, 자사는 혜성처럼 등장한 Perpetual Protocol 혹은 Perp.fi라 불리는 이 AMM 프로토콜에 18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리드했습니다! 해당 라운드에 우리의 친구같은 Alameda Research, Three Arrows Capital, CMS Holdings, Zee Prime Capital, 그리고 Binance Labs까지 함께 참여하였죠. 또한, 크립토 업계에서 유명한 엔젤 투자자들인 Alex Pack, Andrew Kang, Tony Sheng, Calvin Liu, George Lambeth와 Regan Bozman 역시 투자하였습니다.
한달 전 출시한 Perp.fi는 지난 일주일간 3천 40만 달러에 이르는 거래량을 기록했습니다. 이 글이 쓰여진 시점에서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한 탈중앙화 거래소 중 6번째로 큰 규모인 것이죠. 이 프로젝트는 실행력에서 엄청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 이들은 메인넷 런칭 이후 1개월 간 어떤 진척을 보였는지를 정리한 글을 발간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모습 자체가 어떻게 Perp.fi가 급속도로 성장했는지 잘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The Perpetual Protocol
Perp.fi는 혁신적인 금융 상품입니다. 중앙화금융에서 무기한 계약 거래자들이 익숙해진 레버리지와 디파이에서 보증하는 간결함과 유동성을 모두 갖춰 중앙화금융과 디파이의 장점만을 결합했습니다.
기존 AMM들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것은 마켓 메이커들이 비영구적 손실과 자본 비효율성을 감수해야 한다는 점이었죠. Perp.fi는 마켓 메이커라는 주체 자체를 없앰으로써 두 문제점을 해결했습니다. Perp.fi에는 매수자만 있는 것이죠!
방법론에 대해서는 perp.fi 팀이 작성한 이 게시물에서 더 상세하게 알 수 있지만 이를 요약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Perp.fi는 가상 AMM(vAMM)에 의존합니다. vAMM과 반대로 거래하기에 앞서, 트레이더들은 가상 금고에 담보를 예치합니다. 여타 파생상품 거래소와 마찬가지로 USDT를 시작으로 유사한 담보물을 맡기죠. 담보가 예치되면 트레이더들은 중앙화 거래소에서 거래하듯이 무기한 선물계약의 정의 선물 계약을 거래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딱 한 가지 큰 차이점이 있죠. 중앙 호가창(CLOB)에 메이커들을 대상으로 거래를 하는 것이 아니라, perp.fi 트레이더들은 vAMM을 상대로 거래를 하게 됩니다. 이 vAMM은 Uniswap을 통해 널리 알려진 xy = k 커브를 그대로 사용하구요.
vAMM이 가상이기 때문에 k 역시 가상입니다. 즉, k 값은 거래량, 미지불 이자, 펀딩율, 기타 시장 데이터 등에 기반한 알고리즘을 통해 정해진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k 값이 증가하면 트레이더 입장에서는 슬리피지 발생이 줄어든다는 뜻이기도 하구요.
기타 perp 거래소(무기한 선물 계약 거래소)처럼 perp.fi 역시 트레이더들이 기대하는 모든 기능을 제공합니다. Perp.fi는 롱과 숏 주문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펀딩비(매수, 매도 포지션 균형을 위해 거래량이 큰 포지션 투자자들이 거래량이 적은 투자자들에게 지불하는 비용)를 사용합니다. V1은 담보 지표에 대한 가격 오라클로서 Chainlink를 이용합니다. Perp.fi의 펀딩비 관련 공식은 FTX와 동일하며, 선물거래에서 승리한 자가 이득을 가져가는 것을 담보하는 보험 펀드 역시 제공합니다.
Perp.fi는 PERP 토큰을 활용합니다. 이 토큰에는 몇 가지 기능이 있죠. 우선, PERP 보유자들은 프로토콜의 거버넌스에 참여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거래 수수료, 디지털 자산 상장, 보험 펀드 관리 등의 프로토콜 관련 파라미터를 관리하는 것을 뜻하죠. 그리고, PERP 보유자들은 보험 펀드가 고갈되었을 때 최후의 보루 역할을 합니다. 만약 이런 사태가 벌어지게 되면 프로토콜은 신규 PERP를 찍어내게 되고, 거래에서 승리한 트레이더들에게 지불할 수 있는 자금을 위해 신규 PERP를 경매하게 됩니다.
Perp.fi의 창립자인 Yenwen Feng과 Shao-Kang Lee는 지난 15년 간 7개의 회사를 창업해 본 연쇄 창업가들입니다. 이들은 아이폰이 생겨나기 전부터 모바일 어플 개발에 뛰어든 선구자들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최근 들어 크립토 분야에서 수년 간 창업을 하고 직접 무언가를 만들어내려 하기도 했죠. 파생상품 관련 금융 공학과 상품 디자인에 집착에 가까운 열정을 보인 이 둘은 DeFi의 복잡미묘함을 면밀히 공부했습니다. 그리고, vAMM 커브를 통해 무기한 선물 계약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 가능함을 깨닫게 되었죠.
우리는 지난 수개월 간 Perp.fi 팀과 긴밀하게 협력해왔습니다. 그들은 매우 성실하고 겸손한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그리고 훌륭한 팀을 결성했을 뿐 아니라, 이들을 지원하는 투자자들과 자문역을 맡은 이들 모두 뛰어난 사람들이란 점도 놀라웠습니다. 사업을 진행하는 매 단계마다 이 팀은 실용성과 배려심을 잃지 않았고, 실행력 역시 한치도 흐트러짐 없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Perpetual Protocol의 가장 좋은 점은 공개된 가격 정보에 따라 어떤 자산이건 상관없이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크립토와 원자재를 비롯한 그 어떤 자산 유형이든 상관없이 무기한 선물 계약 거래가 가능하다는 뜻이죠. 비허가성과 검열저항성이라는 측면에서 perp.fi는 금융 시장에 대한 접근권을 민주화하고, 수십억명의 지구촌 사람들에게 유동성을 보장하는 플랫폼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미래를 그려나가는 팀과 함께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Disclosure: 고지사항: 멀티코인 캐피털은 자사의 투자활동과 관련한 이해충돌을 식별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서면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준수해오고 있습니다. 해당 리포트에 명시된 자산에 대해서 멀티코인 캐피털은 "No Trade Policy"를 준수하며, 해당 글의 게시 이후 3일 간 해당 자산에 대한 거래를 행하지 않습니다. 멀티코인 캐피털은 $PERP 토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무기한 선물 계약이란 무엇인가요?
선물 계약이란 물품, 화폐 또는 다른 상품들을 미래의 특정 시간에 정해진 가격으로 사거나 판매하는 계약입니다.
전통적인 현물 시장과 달리 선물 시장에서는 거래가 즉시 ‘정산'되지 않습니다. 대신 두 거래 당사자는 미래의 특정 날짜에 정산하겠다는 계약을 거래합니다. 또한 선물 시장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상품이나 디지털 자산을 구매하거나 판매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를 대신하는 계약을 거래하게 되며, 자산(또는 현금)의 교환은 계약이 실행되는 미래에 이뤄집니다.
간단한 예로, 밀이나 금 같은 물리적 상품의 선물 계약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부 전통적인 선물 시장에서 이러한 계약들은 인도 대상으로 표시되며, 이는 상품이 실제로 배송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금이나 밀을 보관하고 운송해야 하며, 추가적인 비용(운송비로 알려진)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많은 선물 시장은 현금으로 정산을 하며, 이는 동등한 가치의 현금이 정산됨(실제 상품을 교환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선물 시장의 금이나 밀의 가격은 계약 정산 일자가 얼마나 남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시간 차이가 날수록, 더 많은 운송비용이 들며, 미래의 가격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현물 시장과 선물 시장의 잠재적 가격 차이가 더 커집니다.
사용자들은 왜 선물 계약을 거래하나요?
- 헤징과 위험 관리: 이는 선물이 발명된 주된 이유였습니다.
- 숏노출: 거래자는 자산을 보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자산의 실적에 반대로 선물계약의 정의 베팅할 수 있습니다.
- 레버리지: 거래자는 계좌 잔액보다 더 큰 포지션을 취할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의 무기한 선물 계약은 최대 20배 레버리지로 거래될 수 있습니다.
무기한 선물 계약이란 무엇인가요?
무기한 선물 계약은 특별한 형태의 선물 계약으로, 전통적인 형태의 선물과는 달리 만기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만큼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기한 선물 거래는 기초 지수 가격에 기반합니다. 지수 가격은 자산의 평균 가격으로 구성되며, 이는 주요 현물 시장과 상대적 거래량을 따릅니다.
따라서 전통적인 선물과는 달리, 무기한 계약은 현물 시장과 같거나 매우 비슷한 가격으로 거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통적인 선물과 무기한 계약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앞서 말한 ‘정산일'입니다.
개시 증거금이란 무엇인가요?
개시 증거금(Initial Margin)이란 레버리지 된 포지션을 시작하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최솟값입니다. 예를 들면, 개시 증거금 100 BNB(10배 레버리지)로 1000 BNB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시 증거금은 전체 주문의 10%가 될 것입니다. 개시 증거금은 레버리지 된 포지션을 보증하는 것이며, 담보금 역할을 합니다.
유지 증거금이란 무엇인가요?
유지 증거금(Maintenance Margin)이란 거래 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해서 보유해야 하는 최소 담보금입니다. 증거금 잔고가 해당 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마진콜(계좌에 자금을 추가할 것을 요구하는 것)을 받거나 청산됩니다. 대부분의 암호화폐 거래소는 청산을 진행합니다.
즉, 개시 증거금은 포지션을 시작할 때 사용하는 금액이며, 유지 증거금은 해당 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잔고를 의미합니다. 유지 증거금은 시장 가격과 계좌 잔고(증거금)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는 값입니다.
청산이란 무엇인가요?
담보금의 가치가 유지 증거금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선물 계정은 청산될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에서는 위험도와 각 사용자의 레버리지(사용자의 증거금과 순노출)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청산이 진행됩니다. 전체 포지션이 클수록 요구되는 증거금도 커집니다.
시장과 거래소에 따라 메커니즘이 다르지만, 바이낸스는 Tier 1 청산(50만 USDT 미만의 순노출)에 대해 0.5%의 명목 수수료를 부과합니다. 청산 후 계좌에 여유 자금이 있다면, 나머지는 사용자에게 반환됩니다. 만약 자금이 더 적게 있다면, 사용자는 파산 선고를 받습니다.
청산 시 추가 수수료를 지불하게 된다는 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청산 가격에 도달하기 전에 포지션을 정리하거나 담보금 잔액을 추가하여, 현재 시장 가격보다 청산 가격에 더 많은 여유를 둘 수 있습니다.
펀딩 비율이란 무엇인가요?
펀딩은 현재 펀딩 비율에 따라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의 정기적인 지불로 이뤄집니다. 펀딩 비율이 0(양수) 보다 높을 경우, 롱 거래자(계약 매수자)가 숏 거래자(계약 매도자)에게 지불해야 합니다. 반대로, 펀딩 비율이 음수일 경우, 숏 포지션이 롱에게 지불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펀딩 비율은 이자율과 프리미엄이라는 두 가지 요소에 기반합니다. 바이낸스 선물 시장에서는, 이자율이 0.03%로 고정되어 있으며, 프리미엄은 선물 시장과 현물 시장의 가격 차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펀딩 금액은 사용자 간에 직접적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바이낸스는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무기한 선물 계약이 (현물 시장보다 더 높은) 프리미엄으로 거래되고 있을 때, 펀딩 비율이 양수이므로 롱 포지션은 숏에게 지불해야 합니다. 이는 롱이 자신의 포지션을 종료하고 새로운 숏 포지션을 시작하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표시 가격이란 무엇인가요?
표시 가격은 실제 거래 가격(최종 가격)과 비교했을 때 계약의 실제 가치(적정 가격)의 추정 값입니다. 표시 가격 계산은 시장 변동성이 클 때 발생할 수 있는 부당한 청산을 방지합니다.
즉, 지수 가격이 현물 시장 가격과 연관된다면, 표시 가격은 무기한 선물 계약의 적정 가치를 나타냅니다. 바이낸스에서 표시 가격은 지수 가격과 펀딩 비율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실현되지 않은 PnL”을 계산하는 핵심 요소이기도합니다.
PnL이란 무엇인가요?
PnL은 손익(profit and loss)을 의미하며, 실현되거나 실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무기한 선물 시장에서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다면, PnL은 실현되지 않은 것이며 시장 움직임에 따라 PnL이 변화하고 있음을 뜻합니다. 포지션을 종료하게 되면, 실현되지 않은 PnL은 실현된 PnL(부분 혹은 전체)이 됩니다
실현된 PnL은 종료된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손익을 의미하기 때문에, 표시 가격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주문이 실행된 가격과 관련이 있습니다. 실현되지 않은 PnL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청산의 주요 요인이 됩니다. 즉, 표시 가격은 단지 미 실현된 선물계약의 정의 PnL 계산이 정확하고 공정하게 이뤄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보험 기금이란 무엇인가요?
간단히 말해서 보험 기금이란 손해를 보는 거래자들의 잔고가 0보다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막는 동시에, 이익을 보는 거래자들이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앨리스가 바이낸스 선물 계좌에 2,000 달러를 보유하고 있으며, 20 달러의 가격에 10배 레버리지로 BNB 롱 포지션을 취하는 데 이를 사용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참고로 앨리스는 바이낸스가 아니라 다른 거래자로부터 계약을 구매하며, 따라서 해당 거래의 반대편에는 동일한 금액의 숏 포지션을 보유한 밥이 있습니다.
10배 레버리지 때문에 앨리스는 1,000 BNB 포지션(20,000달러 상당)을 2,000 달러의 담보금과 함께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BNB 가격이 20달러에서 18달러로 하락하게 된다면, 앨리의 포지션은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습니다. 이는 그녀의 자산이 청산되고 2,000달러의 담보금을 완전히 잃게 됨을 의미합니다.
어떤 이유에서든 시스템에서 그녀의 포지션을 종료할 수 없거나 시장 가격이 더 떨어지게 된다면, 보험 기금이 활성화되어 해당 포지션이 종료될 때까지 손실금을 보장하게 됩니다. 앨리스가 청산을 당했으며, 잔고도 0이기 때문에 앨리스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게 없을 것이지만, 이는 밥이 자신의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보험 기금이 없다면, 앨리스의 잔액은 2천 달러에서 0으로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음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그녀의 유지 증거금이 최소 금액보다 낮아졌을 것이기 때문에 롱 포지션은 아마도 그전에 종료되었을 것입니다. 청산 수수료는 보험 기금으로 직접 전송되며, 나머지 자금은 사용자에게 돌아가게 됩니다.
즉, 보험 기금은 청산된 거래자들로부터 받게 된 담보금을 통해 파산한 계좌의 손실을 메우기 위한 메커니즘입니다. 정상적인 시장 상황에서는 사용자들의 청산으로 인해 보험 기금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요약하자면 사용자들이 자신의 포지션이 손익분기점이나 음수의 값에 도달하기 전에 청산당할 때, 보험 기금은 더욱 늘어나게 됩니다. 하지만 보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시스템이 모든 포지션을 종료할 수 없을 수 있으며, 보험 기금은 잠재적인 손실을 메우는 데 사용될 것입니다. 흔치 않지만, 이는 시장 변동성이 크거나 유동성이 낮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동 디레버리징이란 무엇인가요?
자동 디레버리징(Auto-deleveraging)이란 보험 기금이 작동하지 않을 때(특정 상황에서)만 발생되는 거래 상대방 청산 방식을 의미합니다. 발생할 가능성은 낮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는 이익을 보고 있는 거래자는 자신의 이익의 일부를 손해를 보는 거래자들의 손실을 메우기 위해 이익의 일부를 기부하도록 요구받을 것입니다. 안타깝지만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과 고객들에게 제공되는 높은 레버리지 때문에 이러한 가능성을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다른 말로 하자면, 자동 디레버리징은 보험 기금이 파산한 모든 포지션을 보장할 수 없을 때 취하는 선물계약의 정의 마지막 조치입니다. 일반적으로 수익(및 레버리지)이 가장 높은 포지션이 더 많이 기부하게 됩니다. 바이낸스는 사용자가 자동 디레버리징의 어디쯤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를 사용합니다.
바이낸스 선물 시장의 시스템은 자동 디레버리징을 막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며,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여러 기능들을 갖추고 있습니다. 자동 디레버리징이 발생할 경우 거래 상대방 청산은 시장 수수료 없이 진행되며, 영향을 받는 모든 거래자들에게 즉시 안내문이 전송됩니다. 사용자는 언제든 포지션에 재진입할 수 있습니다.
선물계약의 정의
선물거래 뜻, 선도거래 뜻, 선물환 뜻, 선취매 뜻
선물(Futures) : 파생상품의 한 종류로 선매후물(선매매, 후물건 인수도)의 거래방식을 말합니다. 즉,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 일정 시점에 인도, 인수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 파생상품의 한 종류로 선매후물(선매매, 후물건 인수도)의 거래방식을 말합니다. 즉,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 일정 시점에 인도, 인수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선물의 거래방식은 매매 시점, 대금결제, 선물계약의 정의 물건의 인수도 시점에 따라 다른 양식의 거래와 차이가 있습니다. 현물거래의 경우 매매(가격/거래조건의 결정), 대금결제, 물건의 인수도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신용거래(외상거래)의 경우 매매, 물건의 인수도는 동시에 이루어지지만 대금결제는 나중에 이루어집니다. 반면 선급 거래는 매매와 대금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지만 물건의 인수도는 나중에 이루어집니다. 선물거래의 경우 매매가 이루어진 후 일정 시점이 지나야 대금결제와 물건의 인수도가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주식거래에서 보면 주식 신용거래는 물건을 사고 일정 시점이 지난 후에 대금결제가 이루어지므로 신용거래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으며, 대주(공매도)의 경우 대금결제는 미리 이루어지나 물건을 입고하는 것은 나중에 이루어지므로 선급 거래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선물거래와 선도거래(forward transaction)는 동일한 거래방식을 가지고 있는데, 선물거래는 거래소 내에서 거래할 수 있는 반면 선도거래는 거래소 밖에서 이루어진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선물(Futures) 거래와 선도(Forward) 거래의 차이점
- 거래조건의 표준화 : 선물거래는 매매되는 상품의 종류, 호가단위, 매매 단위, 가격제한폭, 매매시간, 결제월, 최종거래일등이 표준화되어 있지만 선도거래는 매매 당사자간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결정됩니다.
- 거래형태 및 참가대상 : 선물거래는 거래소의 일정한 장소에서 거래소의 회원인 시장 중개인들이 모여 'open outcry' 방식, 또는 전산매매방식에 이루어지는 경쟁매매시장으로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나, 선도거래는 전화나 텔렉스를 통해 특정한 장소 없이 은행과 은행, 은행과 중개인 간에 거래가 있습니다.
- 결제의 이행보증 : 선물거래는 결제회사가 결제의 이행을 보증합니다. 따라서 credit risk가 배제되며 이를 위해 일일정산제도와 증거금 제도를 채택합니다. 반면 선도거래는 매매 당사자의 신용에 의지해야 하기에 계약의 불이행에 대한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 규제기관 또는 감독기관 : 선물거래에서는 있으나 선도거래에서는 없습니다.
- 거래 상대 : 선물거래는 거래소를 통한 간접거래이기 때문에 상대방의 확인이 불가능하나 선도거래는 거래상대방과의 직접 거래 때문에 매매 상대방을 알 수 있습니다.
선물거래(Futures transaction)의 정의 : 매매 당사자가 어느 '특정한 상품'을 현시점에서의 약정한 가격으로 미래의 일정한 날에 인도, 인수할 것을 약속하는 계약. 현시점에서는 매매계약만 체결하며 그 계약의 성립은 일정 시점 후에 발생하는 거래입니다. '특정한 상품'은 종류나 수량, 인도, 인수의 시기 등 거래조건이 미리 표준화된 상품이며 거래는 정부로부터 공인된 거래소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물거래를 말할 때는 통상 거래소 거래를 의미합니다. 매매계약이 체결되면 매도 계약자는 정해진 날에 정해진 상품을 매수계 약자에게 인도해야 하고 매수 계약자는 그 상품을 인수하고 계약 체결 시 쌍방이 미리 정한 가격만큼의 대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한편 매수 계약자는 결제일 이전 언제라도 그 '특정한 상품'을 다른 사람에게 되팔 수 있고 이처럼 차금만으로 자유로운 거래를 할 수 있는 것이 선물거래의 큰 특징 중의 하나입니다.
선물거래의 대상 상품 : 선물거래 대상 상품의 종류는 현물거래와 같이 다양합니다. 특성상 상품의 표준화가 필수조건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지만 최근에는 각종 기법의 고도화로 한계를 극복하고 있으며 경기선행지수, 소비자물가 지수, LIBOR 금리 등에도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선물거래는 크게 상품선물(commodities futures)과 금융선물(finan- cial futures)로 대별됩니다. 상품선물은 이미 중세 상인들이 이용하기 시작했다고 하며 체계적인 선물거래가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시카고 선물거래소(CBOT)가 창설된 1848년부터입니다. 금융선물은 1972년 시카고 상업거래소(CME) 부설 국제통화시장(IMM)에서 거래된 통화선물이 효시입니다. 1975년에 금리선물이 나와 세계 각지로 확산되었고 1982년에는 드디어 주가지수선물을 개발했고 1970년대 이후의 환율의 불안정, 고금리, 인플레의 지속에 따른 국제금융시장에 서의 불확실성과 거래위험의 증대로 각종 신금융상품의 양적․질적인 확대․개발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금융선물은 금리선물(interest rate futures), 통화선물(currency futures), 주가지수선물(stock index futures)및 금융선물옵션(option on financial futures)으로 분류됩니다.
선물 거래자/투기자(Speculator) : 선물시장에서의 투기자는 매우 중요한 경제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투기자는 일반상품이나 금융상품의 이용자 혹은 생산자가 직면하고 있는 위험을 떠맡음으로써 헤저가 위험을 전가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시장의 유동성을 제고시킵니다. 또 투기자의 적극적 활동은 선물시장에서 극단적인 가격 변동을 방지함으로써 시장의 안정을 도모합니다(가격이 낮을 때 선물 매입→수요 증가→가격 상승 등).
따라서 극심한 가격 등락이 투기자들의 활동에 선물계약의 정의 의해 많이 완화되며 투기자는 이 같은 자연적인 가격 변동을 이용하여 투자하여 이익 극대화에 주력합니다. 투기자가 구사하는 전략에 따라 몇 부류로 분류해볼 수 있습니다.
- 초단기 투기자(scalper) :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가격을 관찰, 순간적인 판단으로 매매차익을 노리는 투자자입니다. 소규모 거래의 반복으로 선물시장의 유동성을 제고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일일 투기자(day trader) : 그날그날의 가격 변동을 이용하여 이익을 추구하는 투기자입니다. 매일 거래가 끝나기 전 반대 매매를 하여 자기의 포지션을 청산합니다.
- 순수 투기자(outright position trader) : 몇 주 혹은 몇 개월씩 포지션을 보유하는 투자자입니다. 자신의 예측에 따라 엄청난 득실을 가져오는 위험 노출이 가장 큰 투기자입니다.
선물거래는 항상 더 많은 위험성이 뒤따른다.
선물 거래자/헤저(Hedger) : 의사결정 시점과 그 결정이 실현되는 시점 사이에 발생하는 가격 변화에 의한 위험(가격 위험)에의 노출을 억제 혹은 관리하기 위하여 선물이나 옵션시장에 참여하는 선물 거래자입니다. hedger의 목적은 생산이나 소비, 자금조달 및 다른 의사결정에서 발생하는 금전상 결과의 변동 정도를 최소화하거나 최소한 이를 관리하고자 함입니다. 가격 위험에의 노출을 축소시킴으로써 hedge는 생산, 소비 및 금융 비용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자원이 배분되고 이용되는 효율성을 증대시킵니다. 고전적 의미에서의 hedge는 상품의 생산자나 소비자가 현재나 미래에 예상되는 실물에서의 position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선물, 옵션에서 포지션을 취하는 것을 의미하며 헤저의 유일한 동기는 실물 포지션과 관련된 가격 위험을 축소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거래목적상 헤지와 투기를 같이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런 혼합형 거래의 대부분은 불완전한 형태의 헤지입니다. 즉 현물 포지션의 일부에 대해서는 헤지를 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 서는 투기를 하는 것입니다.
선물환(Forward Exchange) : 선물환은 현물환과 대비됩니다. 거기에는 수도(受渡) 시기, 금액, 거래장소 등 거래조건이 명시되어야 하는데, 그 같은 외환거래 약속을 선물환 예약이라고 합니다. 예약 기간은 통상 6개월 이내이나 6개월을 넘는 장기예약도 있습니다. 환시세 변동에 따른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보통 수출입 등의 무역거래나 국제 단기투자에서의 이자 재정거래 등에 주로 이용됩니다. 외화 재산의 보유에 따른 환위험을 피하기 위한 헤지(hedge) 거래나 순전한 투기거래에서도 이용됩니다. 선물환 거래에 사용되는 환시세를 선물환 시세 또는 선물시세라고 합니다.
선취매 : 어떤 호재 등의 요인에 의하여 주가가 상승하리라고 예상하는 경우, 그 주식을 남보다 앞질러 매입하는 것을 뜻합니다.
무기한 선물 계약이란 무엇입니까?
선물 계약은 상품, 통화 또는 기타 상품을 미래의 지정된 시간에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사고 파는 계약입니다.
전통적인 현물 시장과 달리 선물 시장에서는 거래가 즉시 정산되지 않습니다. 대신 두 명의 상대방이 미래의 결제를 정의하는 계약을 거래합니다. 또한 선물 시장은 사용자가 상품 또는 디지털 자산을 직접 구매하거나 판매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그들은 그것들의 계약 표현을 거래하고 있으며, 자산 (또는 현금)의 실제 거래는 계약이 실행될 때 미래에 일어날 것입니다.
간단한 예로서 밀이나 금과 같은 실물 상품 의 선물 계약 의 경우를 생각해보십시오 . 일부 전통적인 선물 시장에서 이러한 계약은 인도로 표시되어 상품의 실제 인도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결과적으로 금이나 밀을 저장하고 운송해야하므로 추가 비용 (운반 비용이라고 함)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많은 선물 시장은 현재 현금 결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동등한 현금 가치 만 결제됩니다 (물리적 인 상품 교환이 없음).
또한 선물 시장의 금 또는 밀 가격은 계약 결제일까지의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시간차가 길수록 운송비가 높아지고 잠재적 인 미래 가격 불확실성이 커지고 현물과 선물 시장 간의 잠재적 가격 차이가 커집니다.
사용자가 선물 계약을 거래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헤징 및 위험 관리 : 이것이 선물이 발명 된 주된 이유였습니다.
- 단기 노출 : 트레이더는 자산이 없어도 자산 성과에 대해 베팅 할 수 있습니다.
- 레버리지 : 트레이더는 계좌 잔고보다 큰 포지션을 입력 할 수 있습니다. 에 Binance , 영원한 선물 계약은 125x까지가는 레버리지로 거래 할 수 있습니다.
무기한 선물 계약이란 선물계약의 정의 무엇입니까?
무기한 계약은 특별한 유형의 선물 계약이지만 전통적인 형태의 선물과 달리 만기일이 없습니다. 그래서 원하는만큼 오랫동안 자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무기한 계약의 거래는 기본 지수 가격을 기반으로합니다. 지수 가격은 주요 현물 시장과 상대적 거래량에 따른 자산의 평균 가격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기존 선물과 달리 무기한 계약은 종종 현물 시장과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가격으로 거래됩니다. 그러나 극심한 시장 상황에서는 표시 가격이 현물 시장 가격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통적인 선물과 무기한 계약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전자의 결제일입니다.
초기 증거금은 얼마입니까?
개시 증거금은 레버리지 포지션을 열기 위해 지불해야하는 최소 가치입니다. 예를 선물계약의 선물계약의 정의 정의 들어, 초기 마진 100BNB (10 배 레버리지)로 1000BNB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 마진은 총 주문의 10 %가됩니다. 초기 증거금은 담보 역할을하는 레버리지 포지션을 뒷받침하는 것 입니다.
유지 마진은 얼마입니까?
유지 증거금은 거래 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해 보유해야하는 최소 담보 금액입니다. 마진 잔액이이 선물계약의 정의 수준 아래로 떨어지면 마진 콜 (계정에 더 많은 자금을 추가하도록 요청)을 받거나 청산됩니다. 대부분의 암호 화폐 거래소는 후자를 할 것입니다.
즉, 초기 증거금은 포지션을 개설 할 때 약정하는 가치이고 유지 증거금은 포지션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 잔액을 의미합니다. 유지 마진은 시장 가격 및 계정 잔액 (담보)에 따라 변경되는 동적 가치입니다.
담보의 가치가 유지 증거금 아래로 떨어지면 선물 계정이 청산 될 수 있습니다. Binance에서 청산은 각 사용자의 위험과 레버리지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발생합니다 (담보 및 순 노출 기준). 총 포지션이 클수록 필요한 마진이 높아집니다.
메커니즘은 시장과 거래소에 따라 선물계약의 정의 다르지만 Binance는 Tier 1 청산에 대해 0.5 %의 명목 수수료를 부과합니다 (순 노출은 500,000 USDT 미만). 청산 후 계정에 추가 자금이 있으면 나머지는 사용자에게 반환됩니다. 적 으면 파산 선고를받습니다.
청산되면 추가 수수료를 지불하게됩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청산 가격에 도달하기 전에 포지션을 청산하거나 담보 잔액에 더 많은 자금을 추가하여 청산 가격이 현재 시장 가격에서 멀어지게 할 수 있습니다.
자금 조달 비율은 얼마입니까?
펀딩은 현재 펀딩 비율에 따라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정기적 인 지불로 구성됩니다. 펀딩 비율이 0 (양수)보다 높으면 매수인 (계약 매수자) 거래자는 매도인 (계약 매도자)에게 지불해야합니다. 반대로, 마이너스 펀딩 비율은 숏 포지션이 롱을 지불한다는 의미입니다.
자금 조달 비율은 이자율과 프리미엄의 두 가지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합니다. 에 Binance의 선물 시장, 금리는 0.03 %로 고정되고, 프리미엄 선물과 현물 시장의 가격 차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Binance는 사용자간에 직접 발생하므로 자금 이체에 대한 수수료가 없습니다.
따라서 무기한 선물 계약이 프리미엄 (현물 시장보다 높음)으로 거래 될 때, 양수 펀딩 비율로 인해 매수 포지션은 숏 포지션을 지불해야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매수자가 포지션을 마감하고 새로운 매도자가 열리면서 가격을 하락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표시 가격은 얼마입니까?
표시 가격은 실제 거래 가격 (마지막 가격)과 비교할 때 계약의 실제 가치 (공정 가격)를 추정 한 것입니다. 표시 가격 계산은 시장 변동성이 높을 때 발생할 수있는 불공정 한 청산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지수 가격은 현물 시장의 가격과 관련이 있지만 표시 가격은 무기한 선물 계약의 공정 가치를 나타냅니다. Binance에서 표시 가격은 지수 가격과 펀딩 비율을 기반으로하며 미실현 PnL 계산의 필수 부분이기도합니다.
PnL은 무엇입니까?
PnL은 손익을 의미하며 실현되거나 실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무기한 선물 시장에서 오픈 포지션을 보유하고있는 경우 PnL은 실현되지 않으며 이는 시장 움직임에 따라 여전히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포지션을 청산하면 실현되지 않은 PnL이 실현 된 PnL (부분 또는 전체)이됩니다.
실현 PnL은 마감 된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손익을 의미하기 때문에 표시 가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주문의 실행 가격에만 해당됩니다. 반면 미실현 PnL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청산의 주요 동인입니다. 따라서 미실현 PnL 계산이 정확하고 공정한지 확인하기 위해 표시 가격이 사용됩니다.
보험 기금은 무엇입니까?
간단히 말해, 보험 기금은 잃는 거래자의 잔액이 0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이기는 거래자가 수익을 얻도록 보장하는 것입니다.
설명을 위해 Alice가 Binance 선물 계정에 $ 2,000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 해 보겠습니다.이 계좌는 코 인당 $ 20에 10 배 BNB 롱 포지션을 개설하는 데 사용됩니다. Alice는 Binance가 아닌 다른 거래자로부터 계약을 구매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거래의 다른쪽에는 같은 크기의 숏 포지션을 가진 Bob이 있습니다.
10 배의 레버리지로 인해 Alice는 이제 2,000 달러 담보로 1,000 BNB 포지션 (2 만 달러 가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BNB 가격이 $ 20에서 $ 18로 떨어지면 Alice는 자동으로 포지션을 청산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그녀의 자산이 청산되고 그녀의 $ 2,000 담보가 완전히 손실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떤 이유로 든 시스템이 제 시간에 포지션을 청산 할 수없고 시장 가격이 더 많이 하락하면 보험 기금이 활성화되어 포지션이 청산 될 때까지 이러한 손실을 충당합니다. Alice가 청산되고 잔액이 0이 되었기 때문에 이것은 Alice에게 많이 변하지 않지만 Bob이 그의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보험 기금이 없으면 Alice의 잔액은 $ 2,000에서 0으로 떨어질뿐만 아니라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유지 마진이 최소 요구 사항보다 낮기 때문에 그녀의 롱 포지션은 그 전에 마감 될 것입니다. 청산 수수료는 보험 기금으로 직접 전달되고 남은 자금은 사용자에게 반환됩니다.
따라서 보험 기금은 파산 된 계좌의 손실을 충당하기 위해 청산 된 거래자로부터 가져온 담보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메커니즘입니다. 정상적인 시장 상황에서 보험 기금은 사용자가 청산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요약하면, 사용자의 포지션이 손익분기 점 또는 마이너스 값에 도달하기 전에 청산되면 보험 기금이 커 집니다. 그러나 더 극단적 인 경우 시스템이 모든 포지션을 청산하지 못할 수 있으며 잠재적 손실을 충당하기 위해 보험 기금이 사용됩니다. 드물기는하지만 변동성 이 높 거나 시장 유동성이 낮은 기간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동 디 레버 리징이란 무엇입니까?
자동 디 레버 리징은 보험 기금이 작동을 멈춘 경우에만 발생하는 거래 상대방 청산 방법을 의미합니다 (특정 상황에서). 가능성은 낮지 만 이러한 이벤트는 수익성있는 거래자가 손실 거래자의 손실을 충당하기 위해 수익의 일부를 기여해야합니다. 불행히도 암호 화폐 시장에 존재하는 변동성과 고객에게 제공되는 높은 레버리지로 인해 이러한 가능성을 완전히 피할 수는 없습니다.
다른 말로, 상대방 청산은 보험 기금이 모든 파산 포지션을 커버 할 수 없을 때 취해지는 마지막 단계입니다. 일반적으로 수익 (및 레버리지)이 가장 높은 포지션이 더 많이 기여하는 포지션입니다. 바이 낸스는 사용자가 자동 디 레버 리징 대기열에있는 위치를 알려주는 지표를 사용합니다.
에 Binance 선물 시장 시스템은 피할 자동 디 레버 리징에 가능한 모든 단계를 취하고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몇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발생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 청산은 시장 수수료없이 이루어지며 즉시 해당 거래자에게 통지가 전송됩니다. 사용자는 언제든지 재 입장 할 수 있습니다.
베이비드래곤의 제태크
이번 포스팅은 선물옵션 , 선물거래에 대한 설명에 대해 하겠습니다 . 선물옵션이란 선물계약을 매매대상으로 하는 옵션입니다 . 선물옵션의 매입자는 대상이 되는 선물의 포지션을 취할 수 있는 권리를 갖지만 의무는 없습니다 .
콜의 경우 옵션 소지자가 콜을 행사하면 행사가격으로 선물의 매수포지션이 발생되며 , 풋의 경우 옵션 소지자가 풋을 행사하면 행사가격으로 선물의 매도 포지션이 발생됩니다 .
선물계약이라 함은 장래의 일정한 시점 ( 결제일 ) 에 일정량의 특정상품을 미리 정한 가격 ( 선물가격 ) 으로 매매하기로 맺은 계약을 말합니다 . 그리고 이 계약의 결제일 이전에 반대매매를 행하거나 또는 그 계약의 결제 일에 현물에 대한 인 · 수도를 행함으로써 그 계약을 이행하게 되는 거래 형태를 선물 거래 (futures trading) 라고 합니다 .
이러한 선물계약은 그 정의상으로 보아서는 선도계약과 비슷하나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첫째로 선물계약은 인 · 수도조건이 표준화된 계약이며 이는 선물계약을 위해 허가된 특정거래소에서만 거래됩니다 . 이 거래소를 선물거래소 (futures exchange) 라고 합니다 .
둘째로 선물계약은 매일매일의 결제를 행하게 되는데 이를 marking to market 이라고 부릅니다 .
셋째로 선물 계약은 계약의 이행이 결제기관에 의해 보증되므로 거래에 따른 위험이 거의 없습니다 .
넷째로 선물계약은 상품의 실제 인 , 수도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극히 적으며 계약건수의 약 97% 정도가 만기 이전에 반대매매에 의하여 거래가 결제됩니다 .
다섯째로 선물계약은 투기의 경우 정부 또는 거래소의 강력한 규제가 수반됩니다 .
미래에 대한 가격을 계약을 하기 때문에 시장의 흐름을 잘 읽어야만 투자 시 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 또한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는 부담감과 리스크가 있기 때문에 초보자가 쉽게 접근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 하지만 공부를 더 하고 어떤 방식으로 돌아가는지만 안다면 충분히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오늘은 이렇게 개념에 대한 내용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다음 포스팅에서 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하며 차례대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풋이나 콜옵션의 동작방식에 대한 설명도 나중에 더 자세히 하도록 하겠습니다 .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