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상품의 다양성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2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마스크영역

본 연구는 종교의 다양성, 종교의 유사성, 지배종교, 소수종교가 상품 및 서비스교역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한다. 중력모형을 통한 추정에서 누락된 관측치(missing values)와 이분산(heteroskedasticity)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PPML추정기법을 사용하였고 2000∼2007년간 상품교역과 서비스교역이 함께 발생한 국가들만을 표본으로 국한하였다. 계량분석의 결과, 첫째, 종교의 다양성이 종교의 유사성보다 상품교역과 서비스교역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종교의 유사성은 상품수출(교역)보다 서비스수출(교역)을 더 활성화하고 종교의 다양성은 상품수출(교역)을 더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배종교의 영향은 상품수출과 서비스수출에 모두 약간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소수종교의 영향은 서비스수출보다 상품수출에 더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넷째, 종교의 유사성은 수입국의 느슨한 교역관련 제도의 대체역할을 함으로써, 신뢰를 높이고 거래비용을 떨어뜨려 결과적으로 상품수입과 서비스수입을 활성화한다. 이 효과는 특히 상품교역보다 서비스교역 확대에 더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교의 다양성은 교역관련 제도의 보완역할을 함으로써, 원래 강력했던 교역관련 제도 하에서 교역을 더 확대하는데 기여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ligion on trade in goods and services using modified gravity model. To avoid biased results stemming from sample selection due to missing values and heteroskedasticity problem, I used Poisson Pseudo-Maximun Likelihoood(PPML) estimation suggested by Santos Silva and Tenreyro(2006). In addition, I used my sample confined to the country pairs that have both goods trade and services trade during year 2000-2007. The estimation results show interesting insights. First, religious diversity exerts greater influences on both trades than religious similarity. Second, religious similarity facilitates more goods trade than services trade. Third, the influence of dominant religions(religious majority) is a little bit negative on both trades whereas that of religious minority is more positive on goods trade than on services trade. Fourth, religious similarity can be considered to be a substitute to the rather weak trade regime(expressed by high non tariff barriers) in the importing country for promoting trust, reducing transaction costs and thus boosting imports of both goods and services. Finally, religious diversity facilitates more trade(imports) in importing country with strong trade regime(expressed by freedom to trade internationally).

Special Section

1700만명에 달하는 가입자 중 MZ세대가 전체의 70%를 차지하는 중고거래 앱 ‘번개장터’ 이야기를 듣기 전에, 당신의 ‘취향’에 관한 모든 것을 떠올려보라. 당신은 무엇을 좋아하며,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는지, 그리고 무엇이 당신답지 않은지 말이다.

번개장터가 중고거래를 ‘취향을 잇는 거래’로 정의해 차별화된 수익모델(BM)을 만들고 MZ세대를 꽉 붙잡고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번개장터 앱에서 내가 검색한 키워드는 AI 알고리즘을 통해 같은 취향을 가진 사람을 연결시킨다. 이렇게 이어진 사람들이 취향이 깃든 물건을 거래하고 있다. ‘아나바다(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꿔쓰고 다시쓰는)’ 거래 상품의 다양성 운동으로 시작한 중고거래 시장이 N차 신상을 거래하는 공간으로 변모한 것이다.

“번개장터 인기 검색어 50개 중 40개가 특정 브랜드입니다. 패션과 키덜트, 디지털 가전 제품 카테고리 내 특정 브랜드가 전체 거래액의 80%를 차지하는 건데요. 그래서 지금의 중고거래는 쓸모없지만 멀쩡한 물건을 시장에 내놓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이제 중고거래는 정말 갖고 거래 상품의 다양성 싶은 물건을 찾는 수단이 된 것이죠.”

지난달 24일 서울시 서초구 번개장터 사옥에서 만난 이재후(42) 번개장터 대표는 누구나 취향이 있다는 데 주목하고 있었다. 인터뷰하는 1시간 남짓 동안 이 대표가 가장 많이 말한 단어는 ‘취향’으로 무려 30번에 달했다. 이어 그는 ‘고객(27번)’, ‘다양성(8번)’, ‘행복(5번)’을 언급했다. 예상치 못한 그의 대답에 대뜸 오랜시간 바라온 꿈이 있었는지 묻자, 이 대표는 “누구나 자신만의 취향을 발견하도록 돕고 싶다”고 했다. 그는 “나는 나만의 거래 상품의 다양성 취향을 고민하는 시기가 또래보다 조금 빨랐다, 운이 좋았을뿐”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니까 왜, 취향이었나?

▶제 주변에 열심히 공부해서 소위 좋은 대학, 남부러운 직장에 간 사람들이 많았다. 그런데 생각했던 것만큼 행복하지 않다고 하더라. 성실하게 사는 건 중요하다. 그런데 내가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 그 방향이 나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지 못하면 길을 잃는다. 더욱이 한국 사회는 ‘객관적인 기준’으로 판단하는 시기를 보내고, ‘주관적인 가치’가 중요해지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더 많은 사람들이 내가 진심을 다해 좋아하는 게 무엇인지 더 깊이 고민하게 된다는 의미다. 소소해도 좋다. 확실한 나만의 취향이 앞으로 더욱 중요한 가치가 될 것이라고 본다.

-대학을 졸업하고 경영학 석사(MBA) 학위를 위해 미국행을 택했던 이유와도 맞닿아 있나?

▶그렇다, 경영 수업 내내 ‘당신은 무엇을 좋아하는가?’ ‘인생에서 제일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가?’와 같은 철학적인 질문에 거래 상품의 다양성 대해 끊임없이 토론했다. ‘should(해야 한다·당위)’가 아닌 ‘would(하겠다·의지)’에 대해 가장 깊게 고민했던 시간이었다. 이 시간을 보내면서 자연스럽게 의미를 더 많이 부여하게 된 단어가 생겼다. 바로 ‘다양성’이다. 다양성이 살아있는 사회 구조에 더 집착하게 됐다.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취향이 중고거래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어떻게 보면 번개장터가 거래 상품의 다양성 이미 다양성을 구현하고 있다.

▶번개장터 데이터를 자세히 들여다보니 인기 브랜드, 아이템 단위로 중고거래가 이뤄지는 특이한 패턴이 발견됐다. 이것에 주목했다. 예를 들면 처음부터 ‘스톤 아일랜드’ 브랜드의 재킷을 갖고 싶은 이용자는 해당 상품을 가지고 싶은 것이다. 애초부터 남자 외투를 찾으려고 했던 게 아니라는 의미다. ‘맨투맨’이라는 아이템을 찾는 사람은 계속 맨투맨을 검색한다. 남성 의류를 검색하는 게 아니다. 브랜드, 그리고 아이템으로 대변되는 나만의 취향이 중고거래 시장에서 존중받고 있었다. 신기했다.

2020년 번개장터의 새로운 수장으로 선임된 이 대표는 내가 원하는 것을 갖기 위해 정보를 ‘디깅(digging)’하는 소비 트렌드를 번개장터 앱에 전면 반영했다. 번개장터만의 뾰족한 무언가가 발굴된 순간이었다. 지난해 9월 이후로 중고장터 앱은 전면 개편됐다. 사용자들이 제품군별로 볼 수 있는 중고거래 상품 배치는 브랜드 중심으로 과감하게 바뀌었다. 특정 브랜드를 팔로우하고 그 브랜드 제품만 모아볼 수도 있다. 현재 팔로우 가능한 브랜드는 900여개 브랜드 중 20개. 팔로우하거나 많이 검색한 브랜드를 메인화면 메뉴에 자동 배치하는 개인화 서비스도 제공된다. 판매자가 제품을 올리면 브랜드별로 상품도 자동으로 분류된다.

그 결과 하루에만 번개장터 앱 내에서 평균 4만7000건의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연간 거래액은 지난해 기준 1조7000억원이다. 이중 자체 간편결제 서비스 ‘번개페이’ 거래액만 3000억원에 달한다. 전년 동기 대비 2배 성장이다. 중고거래 플랫폼이 대부분 중고 거래 서비스가 아닌 트래픽으로 수익을 얻는 구조인 반면 번개장터는 번개페이, 포장택배 등 서비스 수수료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얼마나 다양한 고객 시나리오가 번개장터 내에 유형화되어 있나? 예를 들면 ‘나이키’라는 브랜드를 좋아하는 고객이 좋아하는 다른 브랜드군은 무엇인가. 또는 ‘디올’이라는 브랜드를 선호하는 고객이 찾는 또다른 브랜드군은 어떤 건가.

▶브랜드가 가진 색이 뚜렷하고 브랜드 팬덤이 명확할 때는 해당 브랜드를 좋아하는 고객들의 ‘에고(ego·사회적 자아) 집단’이 형성된다. 굉장히 직관적으로 읽히는 데이터다. 그런데 다른 경우가 더 있다. 예를 들면 레저용품이나 골프웨어, 바이크용품 카테고리에서 보이는 패턴이다. 골프웨어 ‘PXG’ 브랜드를 좋아하는 고객은, PXG와 동일 선상에 두고 비교하는 3~4개 비슷한 감성의 다른 브랜드가 있다. PXG로 대표되는 에고 집단이 단순히 PXG 브랜드만을 좋아하는 의미가 아니다. 여기서 PXG 집단은 여러 개의 브랜드로 대표되는 ‘라이프 스타일’ 단위의 군집인 것이다. 이런 다양한 단위들을 파악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찾고 자동화된 시스템을 만들어서 고객들이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 물건을 추천받고 거래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취향 단위의 다양한 고객 군집을 정밀하게 찾아내고 이들에게 제품을 추천하려면 기본적으로 고객 데이터를 해석하는 능력은 물론, 브랜드 관련 시장에 대한 이해도도 높아야 될 거라는 생각이 든다. 소비 맥락이나 트렌드에서 보여지는 고객의 ‘페르소나(persona)’도 읽어내야 한다. 디자인, 마케팅, 개발 등과 연결시켜 생각해보는 능력도 필요해 보인다. 이런 업무를 도대체 누가, 어떻게 하고 있나?

▶저희는 한 사람이 하지 않는다. 단 한 명의 고객 시나리오를 두고 기획자(PO), 개발자, UX 디자이너, 마케터 등 다양한 직군의 사람들이 ‘셀(cell)’ 단위로 수시로 모여서 대화를 자주 한다. 서로 다른 전문 영역에 있는 다양한 사람들이 이야기를 나누어 머리를 모아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철저히 고객의 입장에서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셀 단위 회의 외에도 서로가 서로의 ‘작은 성공’ 경험을 나누고 축하해 주는 소모임도 운영한다. 조직이 기능별로 분리돼 단절되지 않도록 신경 쓰는 편이다. 그리고 한 가지 덧붙이면, 번개장터에는 훌륭한 C레벨 거래 상품의 다양성 리더들이 많다.

번개장터가 지난해 2월 처음으로 선보인 오프라인 공간 ‘브그즈트 랩’ 1호점. 서울 여의도 ‘더현대서울’에 위치해 있다. 스트리트 컨셉으로 한정판 스니커즈 300여족이 판매되는 이곳에는 지난 1년간 21만명이 방문했다. 하루에 평균 575명이 이 공간을 찾았다는 의미다. [번개장터]
번개장터는 지난해 11월 역삼 더 샵스 앳 센터필드에 프리미엄 컨셉스토어인 ‘브그즈트 컬렉션’을 오픈했다. 샤넬백과 롤렉스 시계를 비롯해 희소성 있는 200개 이상의 명품 컬렉션을 직접 즐기고 구매할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루 평균 방문자 거래 상품의 다양성 수는 200여명이다. [번개장터]

-번개페이 등 번개장터 자체 결제 시스템이 갖춰진 뒤로, 포장택배 서비스를 서울 전 지역으로 넓혔고 이어 카카오T 퀵 배송도 시작했다. 이와 함께 오프라인 콘셉트 스토어 ‘브그즈트 랩(BGZT Lab)’ 1·2호점과 ‘브그즈트 컬렉션(BGZT Collection)’도 선보였다. 지난 한 해에 번개장터가 한 일이다.

▶중고가로 20만~30만원이 넘어가기 시작하면 중고상품과 백화점에서 판매하는 신상품 사이에서 고민하는 소비자가 늘어날 것이다. 당연히 고객이 번개장터에 기대하는 중고거래 서비스 수준도 달라져야 한다. 결제, 배송 서비스를 차례대로 도입하고 나서는 ‘정보의 비대칭’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한 이유다.

우선 버티컬 시장에 대한 인사이트를 키워야 했다. 재작년에 스니커즈 커뮤니티 ‘풋셀’과 중고 골프용품채 거래 플랫폼 ‘에스브릿지’를 인수해 그 DNA를 고스란히 번개장터에 심었다. 이를 통해 스니커즈와 명품에 특화된 서비스를 어떤 콘셉트로 운영해야 고객의 만족을 이끌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스트리트 컨셉의 ‘한정판 스니커즈’, ‘조던 1 컬렉션’, 롤렉스와 샤넬 중심의 ‘명품’ 중심으로 3가지 콘셉트가 나왔다. 각 콘셉트에 맞게 매장 위치 등 다방면으로 고려해 오프라인 매장 3곳을 차례차례 선보였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는 모든 제품은 번개장터 내부 전문 검수 인력의 감정을 거쳐 판매되는 정품이다.

-연내 한정판 스니커즈나 중고 명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더 늘릴 계획이 있나. 아울러 오프라인만이 아닌, 중고장터 앱 내에서 한정판이나 명품의 정품을 인증하거나 보증하는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인가.

▶지난 1년 동안 준비한 ‘인증 중고’ 서비스를 올 한 해 동안 본격적으로 시작할 계획이다. 목표는 분명하다. 어떻게 하면 고객이 번개장터를 믿고 거래할 것인가, 번개장터는 신뢰를 어떻게 책임감 있게 풀어낼 것인가. 오프라인 매장을 추가 론칭하는 것보다는 중고 인증 서비스 도입에 집중하고자 한다. 잘 준비해서 올해 안에 서비스를 보여드리겠다.

2020년 1월 사모투자펀드 운용사 프랙시스캐피탈파트너스는 번개장터를 운영하는 번개장터주식회사의 경영권을 인수하고 신임 대표로 이 대표를 선임했다. 이 대표는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경영학석사(MBA)를 마친 전문경영인이다. 그는 번개장터 부임 직전 티몬에서 사업전략실장, 스토어그룹장 등을 거쳐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티몬 이전에는 관심 기반 소셜커머스 빙글에서 성장총괄이사직을 담당했으며, 전략컨설팅회사 베인앤컴퍼니에서 다수의 유통·IT(정보기술)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다.

실시간뉴스

서막 오른 4680 배터리 전쟁

마스크영역

아시아경제 최신 기획이슈

대중 무역적자

마스크영역

아시아경제 최신 기획이슈

新 금리노마드

마스크영역

아시아경제 최신 기획이슈

재유행 방역대책

마스크영역

아시아경제 최신 기획이슈

한은 빅스텝

마스크영역

아시아경제 최신 기획이슈

시험대 오른 한은

마스크영역

[뉴노멀 투자]이혜나 상무, "워런트시장 제 역할 찾아야"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 이미지 네이버블로그
  • 주소복사 이미지 주소복사

최종수정 2013.10.02 11:14 기사입력 2013.10.02 11:04

이혜나 노무라증권 홍콩 아시아워런트 담당 상무

[아시아경제 송화정 기자]"상품의 다양성 측면에서 워런트 시장의 역할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이혜나 노무라증권 홍콩 아시아워런트 담당 상무는 2일 열린 '뉴 노멀 시대 금융투자를 말한다' 콘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하며 위축된 파생상품 시장 활성화를 위해 워런트 시장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상무는 "워런트시장 건전화 방안은 시장에서 스캘핑으로 인한 비용을 줄이고 지수 워런트를 활성화시키는 등의 성과가 있었으나 규제에 따른 워런트 시장의 급격한 축소가 장외 파생상품 거래의 위축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장외파생상품 규제의 결여가 금융위기의 한 원인으로 지목되며 규제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에 따라 2009년 9월 피츠버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는 중앙청산소 설립 등을 골자로 한 장외파생상품에 대한 개혁안이 마련됐다. 그러나 이같은 규제는 시장 위축으로 이어졌다. 글로벌 장외파생상품 거래 상품의 다양성 시장은 금융위기 이후 명목 금액 기준으로 정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시장가치 기준으로는 2008년 12월 크게 증가한 이후 감소 및 정체가 지속 중이다.

한국의 경우 2007년 12월부터 주식워런트증권(ELW) 시장 관련 제도개선을 추진해 ELW 시장 건전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워런트 시장을 규제해왔다. 이 상무는 "이로 인해 국내 워런트시장의 거래 규모가 축소되면서 한국거래소가 글로벌 파생증권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이 상무는 워런트 시장 활성화를 위한 보완책으로 ▲개별 종목의 장외 옵션 거래 활성화를 위한 효율성 제고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보 공개 강화 및 투자자 진입 장벽의 제한 보완 ▲워런트 유동성공급자들의 자발적인 투자자 교육과 자율규제의 요구 등을 제시했다. 이 상무는 "현재 상품가격 비교를 위한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예탁금 제도로 인해 소액 투자자를 위한 상품의 장점이 소멸되고 있다"면서 "이에 대한 거래 상품의 다양성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중국의 야생동물 거래 금지가 한시적이 아니라 영원해야 하는 까닭

Snakes

중국은 코로나바이러스의 전파를 통제하기 위한 조치로 야생동물 매매를 한시적으로 금지했으나 동물 보호론자들은 그것으로 충분치 않다고 말한다.

보호론자들은 야생동물 매매의 영구 금지가 인간의 건강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야생동물 밀거래를 종식시키려는 노력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환경운동가들은 중국에서 전통의학이나 이국적인 음식용으로 야생동물 상품 수요가 많아 전세계의 멸종위기종들의 거래를 주도하고 있다고 한다.

감염의 주원인

사람에게 새로 발생하는 감염증의 70% 이상이 동물, 그중에서도 특히 야생동물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추산된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박쥐에게서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게 되기 전에 현재로선 알려지지 않은 다른 동물군을 거쳤을 가능성이 있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사스)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메르스) 또한 박쥐에게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두 바이러스 모두 인간에게 전염되기 전에 각기 사향고양이와 낙타를 거쳤던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는 지금까지 우리가 접하지 못했던 야생동물 종과 그들의 서식지를 접촉하고 있습니다." WHO 영양식품안전부의 벤 엠바렉 박사는 BBC에 말했다.

중국은 합법/불법 야생동물 제품의 최대 시장이다

"과거에는 결코 접촉이 없었던 완전히 새로운 바이러스에 노출이 되고 있어요."

"그리하여 과거에 알려지지 않았던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과 접촉하면서 많은 신종 질병을 얻었습니다."

3만2천 종에 달하는 육지 척추동물종에 대한 최근 분석 결과 그중 20% 가량이 합법으로든 불법으로든 전세계의 야생동물 시장에서 거래됐다는 게 밝혀졌다.

자연보전 기구 세계자연기금(WWF)의 연구에 따르면 불법 야생동물 거래 규모는 일 년에 약 200억 달러 가량이다. 이는 마약, 밀입국, 위조에 이어 전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규모의 불법거래 시장이다.

야생동물 제품 산업은 중국 경제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며 몇몇 종들을 멸종 위기로 몰아넣은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이번 보건 위기는 멸종위기 동물을 독특한 애완동물이나 식용, 약용 등으로 지속불가능하게 사용하는 행위를 끝내야 함을 일깨우는 경고로 받아들여져야 합니다." 거래 상품의 다양성 WWF는 성명에서 말했다.

거래 상품의 다양성

다운로드, 열람은 기관인증 후에 가능합니다.

(구독기관 내 IP 이용 /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통해 접속)

개인로그인

개인회원 서비스 이용(알림서비스, 보관함 등)

닫기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개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논문 상세보기

KCI등재

작업집단의 다양성과 성과: 매개효과의 탐색

Group-level Diversity and Performance: An Exploration of Mediators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간행물 : 유라시아연구 15권1호
  • 간행물구분 : 연속간행물
  • 발행년월 : 2018년 03월
  • 페이지 : 137-152(16pages)

유라시아연구

키워드 보기

초록 보기

UCI(KEPA)

간행물정보

  • KISS주제분류 : 사회과학분야 > 기타(사회과학)
  • 국내등재 : KCI등재
  • 해외등재 :
  • 간기 : 계간
  • ISSN(Print) : 1738-3382
  • ISSN(Online) : 2733-6301
  • 자료구분 : 학술지
  • 간행물구분 : 연속간행물
  • 수록범위 : 2004-2022
  • 수록 논문수 : 689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권호별 보기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후보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후보

KCI등재

발행기관 최신논문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발행기관 최신논문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KISS 콘텐츠를 사전허가 없이 무단으로 크롤링 및 복제, 배포할 경우 민형사상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사업자등록번호 : 111-81-26181 통신판매업신고 : 파주-1250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조동범

Copyright KISS. All rights reserved.

닫기

메인페이지로

Data Report

국가지식⋅
공공저작물

마이페이지

닫기

• 간행물: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구 문화산업과 법) 11권1호

권호 다운로드시 해당 논문을 포함한 권호 전체 논문이 다운로드됩니다.
(40개 이상일 경우 1~40개까지)

내가 찾은 최근 검색어

최근 열람 자료

맞춤 논문

내 보관함
공유한 보관함

닫기

닫기

최근 검색어 저장

마이페이지 > 나의 검색 히스토리에 저장되었습니다.

닫기

최근 열람 자료 저장

닫기

메인페이지로

Data Report

국가지식⋅
공공저작물

마이페이지

닫기

원문 보기 안내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준비 중입니다.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email protected]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원문을 볼 권한이 없습니다.

KISS에서 서비스 중인 학술자료는 ㈜한국학술정보와 구독계약을 맺은 기관에
소속이신 분들만 이용이 가능하십니다.

구독기관 확인 및 문의
- 소속된 대학도서관에 확인 / 소속된 기관의 자료담당부서
- KISS 고객센터: [email protected]

구독기관의 교외접속방법
- 대학도서관홈페이지 로그인 후에 도서관 내 메뉴를 통해 접속
- 안내: KISS 고객센터 FAQ

구독기관에 속해 있지 않은 경우, 아래사이트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해당 자료는 원문이 거래 상품의 다양성 제공되지 않습니다.

해당 자료는 발행기관과의 계약 만료, 혹은 저자 요청 등의 이유로 원문이 제공되지
않고 서지정보만 제공되고 있습니다.
관련 상세문의는 고객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