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7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금투자 방법에 따른 수익률 비교 (출처 : KRx금시장)

자본시장연구원

요약 □ 최근 국내외 증권사들은 주식거래수수료 인하를 넘어 평생 무료로 제공하는 증권사들이 증가하고 있음
□ 미국의 경우 주식거래수수료 무료가 이루어진데에는 치열한 증권사 간 경쟁 뿐 아니라 비교적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는 핀테크 기업의 증권업무 영역 확대에 기인함
□ 미국의 핀테크 기업인 Robinhood의 수수료 무료제공으로 촉발된 수수료 경쟁은 결국 대형 온라인 증권사간 M&A가 이루어짐
□ 우리나라의 경우도 핀테크 기업들이 증권업으로까지 진출하려고 준비중에 있는 것으로조사됨에 따라 국내 증권사는 디지털 금융시대에 맞게 경쟁력을 갖출 것이 요구되며 수수료수익에서 벗어나 다양한 수익원 창출을 위한 중장기적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미국은 1975년 5월 주식시장에 고정수수료 체계를 폐지하고 수수료 자유화가 진행됨에 따라 증권사들은 고객 유치를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수수료를 낮추기 시작함 1)
─ 당시 수수료 인하로 자금력이 약한 중소형 증권사들의 도산이나 증권사 간 통합이 이루어졌으며 수수료 수익으로의 수익구조보다 M&A나 사모주선업무, 자산관리업무 등으로 증권사의 영역이 확대되기 시작함
─ 주식중개에 있어 할인중개인(Discount Brokerage)인 Charles Schwab과 E*Trade는 증권업에서 은행업으로 확장함에 따라 은행서비스 수익으로 수익구조를 변경해 나감
─ 이후 증권 거래를 중개하고 자문하는 서비스에서 종합자산관리나 금융상품 등의 금융관리, 부동산 및 법률자문의 종합자산관리로의 영역을 확대해 나갈 수 있게 됨

□ 미국의 주식거래수수료 무료가 이루어진 데에는 증권사 간 경쟁뿐 아니라 비교적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는 핀테크 기업의 증권 업무 영역 확대에 기인함
─ 미국은 모바일앱에 기반한 중개 업체의 등장으로 증권업 전반에 걸쳐 수수료 인하를 단행하는 증권사들이 증가하기 시작
• Robinhood는 2013년에 설립된 핀테크 기업으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등록된 브로커 딜러임
• 소액투자 중심의 주식 및 ETF 거래수수료를 무료로 제공하는 투자플랫폼을 제공하며 주로 젊은 층(millennials investors)을 대상으로 영업점 없이 모바일앱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함
• 스마트폰의 Robinhood 어플을 이용하여 3,500개의 미국 주식과 1,000개의 글로벌 주식을 거래할 수 있음 2)
• 직관적인 모바일앱 서비스로 현재 이용 고객은 600만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며 신설된 후 짧은 기간에 대형 온라인 증권사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 최근 미국의 핀테크 중개 업체인 Robinhood가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나감에 따라 기존 대형 온라인 증권사인 Charles Schwab, TD Ameritrade 등은 주식거래 수수료 인하 압박을 넘어 무료를 선언하기에 이름
• Robinhood의 등장으로 주변 증권사들의 수수료 인하가 가속화됨에 따라 대형증권사인 Charles Schwab과 E*Trade, TD Ameritrade의 주가는 하락하고 수익성은 악화되는 현상이 나타남
• Charles Schwab은 2017년부터 8.95달러에 달하던 주식거래수수료를 두 차례 인하하였으며 2019년 9월 기준 건당 4.95달러에 달했던 온라인주식, ETF, 옵션상품의 온라인 거래수수료를 2019년 10월 7일 전면 폐지하였음
• E*Trade와 TD Ameritrade 등 대형 증권사들도 무료수수료 체계를 도입한다고 발표함
• 2018년부터 Fidelity Investment는 인덱스 펀드에 수수료를 무료로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JP Morgan Chase & Co.는 100개의 주식 및 ETF에 대해 거래수수료를 무료로 제공하기 시작함


□ 미국의 핀테크 기업인 Robinhood의 수수료 무료제공으로 촉발된 수수료 경쟁은 결국 대형 온라인 증권사간 M&A가 이루어짐
─ 지난 11월말 미국은 증권사 수수료를 무료로 하는 서비스의 경쟁의 여파로 상위 온라인 증권사인 Charles Schwab과 TD Ameritrade는 인수 합병한다고 발표함 3)
• Charles Schwab은 TD Ameritrade를 260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하였으며, 합병으로 인한 고객자산이 5조달러에 달할 것으로 평가됨
• 이는 수수료 무료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인력 및 부동산 정리를 통한 비용을 줄이고 규모의 경제를 통한 서비스를 확대해 핀테크 기업과 경쟁하겠다는 계획으로 분석됨
─ Charles Schwab과 TD Ameritrade의 합병에 의한 매출(revenues)의 확대로 주변 온라인 증권사들간에도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임
• 상위 온라인 증권사인 Charles Schwab과 TD Ameritrade, E*Trade의 주식거래 수수료 무료로 인한 추정된 비용이 16억달러로 예상됨에 따라 앞으로 미국은 온라인 증권사들이 수수료수익에서 벗어나 고객에게 다양한 자산관리서비스 등으로 차별화할 것으로 예상됨 4)

□ 국내 증권사들은 위탁수수료 자율화와 PC 및 모바일 거래시스템의 확산으로 증권사 간 경쟁이 가속화됨에 따라 최근 수수료 무료를 제공하는 증권사가 등장함
─ 국내 증권사는 온라인 서비스인 PC 기반의 HTS(Home Trading System)와 유선전화 기반의 ARS, 스마트폰을 이용한 MTS(Mobile Trading System)로 보다 저렴한 수수료를 바탕으로 고객 유치를 확보하였으며 이후 비대면 계좌 개설 등의 영향으로 수수료 경쟁이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심화됨
• 1997년 위탁수수료의 자율화를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 오프라인 증권사들이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함에 따라 0.5%의 고정 수수료에서 0.1%까지 인하
• 2002년 해외 온라인 증권사인 E*Trade의 진출로 수수료는 0.015% 수준으로 감소하기 시작
─ 2016년 3월 증권사에 비대면 계좌개설이 허용되면서 소매 고객은 온라인으로 계좌 개설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른 영향으로 일부 증권사들은 주식거래 수수료를 평생 무료로 제공하기 시작함
• 비대면 계좌를 개설하는 고객에 한해 대형사 위주로 평생 수수료 무료제공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으며 일부 증권사들은 주식거래 수수료의 기간을 정해서 무료로 서비스하고 있음
• 물론 비대면 계좌 개설시 평생 주식거래 수수료 무료 이벤트에는 ‘유관기관 제 비용 제외’라고 명시됨에 따라 업계에서는 정상수수료의 할인이라고도 보고 있음 5)
─ 또한 증권사별 주식거래 수수료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차이가 큰 편으로 비교적 수수료가 낮은 HTS, ARS, MTS 등을 활용한 주식거래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주식거래 수수료 인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도 분석됨
•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19년 12월 현재 개인 투자자의 유가증권 시장 주식거래액을 거래 수단별로 집계한 결과 영업점보다 온라인을 통한 주식거래 비중이 약 80%에 이르며 이중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인 MTS의 비중이 40.4%를 차지하고 있음
• 특히, 스마트폰이 보급되던 2010년 이후의 개인투자자의 온라인 거래 수단 비중이 HTS에서 MTS로 이동함
• 이성복ㆍ안유미(2019)에 의하면 증권사 위탁매매 수수료율 인하에 영향을 미친 이유로도 거래 채널의 변화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음 6)


□ 우리나라의 경우도 핀테크 기업들이 증권업으로까지 진출하려고 준비중에 있는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국내 증권사는 디지털 금융시대에 맞게 경쟁력을 갖출 것이 요구되며 수수료 수익에서 벗어나 다양한 수익원 창출을 위한 중장기적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최근 네이버나 카카오, 토스 등의 IT기술에 기반한 핀테크 기업들이 증권업 진출을 위한 사전작업 중에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이들은 자체적으로 확보된 고객을 기반으로 모바일을 이용한 증권서비스 제공시 기존 증권사들 보다 파급력이 클 수 있음
• 앞으로 핀테크 기업과 기존 증권사간 협업을 통한 금융플랫폼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국내 증권업은 경쟁력 유지를 위해 중장기적 전략 및 핀테크 산업에 대한 이해도 요구됨 7)

1) 남길남, 2017, 『세계 거래소 산업의 변화와 특징_증권거래소를 중심으로』, 자본시장연구원 조사보고서.
2) 최근 Robinhood는 암호화폐거래소 설립으로 총 29개의 코인 거래가 가능하며 은행업 진출을 위해 미국 통화감독청에 허가신청을 제출하기도 함.
3) Finantial Times, 2019. 11. 21, Charles Schwab nears $25bn deal for rival TD Ameritrade.
4) Finantial Times, 2019. 11. 26, Schwab aims for more than survival with Ameritrade deal.
5) 파이낸셜뉴스, 2019.11. 6, 주식거래수수료 ‘공짜’는 없었다..유관기관 비용받아. 신문기사 참조.
6) 이성복ㆍ안유미, 2019, 『비대면 계좌개설 허용 이후 증권사 소매금융사업의 변화』, 자본시장연구원 이슈보고서 19-15.
7) 최순영, 2019, 미국 핀테크 기업의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메기효과,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포커스』 19-24호.

2021년 증권사 MTS 국내주식 매매 수수료 비교 총정리

증권사마다 주식 매매 시 수수료가 다릅니다. 따라서 본인에 맞는 수수료 조건을 따져 증권 사을 선택해야 합니다. 오늘은 주식 매매하는 방법 중 MTS로 매매 시 생기는 수수료를 증권사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증권사별로 비교하여 본인이 어떤 증권사 조건에 맞는지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HTS 수수료를 알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조 해주시길 바랍니다.

증권사 MTS 수수료

1천만원 미만 : 0.147216%+1,500원

1천만원 이상~5천만원 미만 : 0.127216%+3,000원

5천만원 이상~1억 미만 : 0.117216%

1억원 이상~3억원 미만 : 0.097216%

(신규) 다이렉트: 0.014%

(신규) 영업점 : 0.14%

1백만원 이상~1천만원 미만 : 0.142% + 1,200원

1천만원 이상~3천만원 미만 : 0.137% + 1,500원

3천만원 이상~5천만원 미만 : 0.127% + 2,000원

5천만원 이상~1억원 미만 : 0.097%

(구) 미래에셋증권 : 0.015%

2백만원 미만 : 0.1971639%+500원

2백만원 이상 : 0.1971639%

2백만원 미만 : 0.1492%+500원

국내 주식 수수료 : 0.1973%

국내 주식 수수료 : 0.0140527%

국내 주식 수수료 : 0.1500%

영업점 관리사원 지정하지 않은 계좌 : 0.015%

영업점 관리사원 지정한 계좌 : 0.1%

2백만원 이하 : 0.15% + 1천원

2백만원 초과~5백만원 이하 : 0.14% + 5백원

5백만원 초과~1천만원 이하 : 0.14%

1천만원 초과~5천만원 이하 : 0.13%

5천만원 초과~1억원 이하 : 0.12%

1억원 초과~2억원 이하 : 0.10%

2억원 초과~5억원 이하 : 0.10%

5억원 초과~1백억원 이하 : 0.08%

1백억원 초과 : 0.05% + 1백만원

14. 신한금융투자증권

국내 주식 수수료 : 0.1891639%

15. 하나금융투자증권

50만원 초과 ~1천만원 미만 : 0.141%+1,200원

1천만원 이상~3천만원 미만 : 0.134%+1,500원

3천만원 이상~5천만원 미만 : 0.126%

5천만원 이상~1억원 미만 : 0.097%

1억원 이상~2억원 미만 : 0.089%

이상으로 증권사 MTS 수수료를 알아봤습니다. 최저 수수료가 드는 증권사를 선택하시려면 나무 증권을 선택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하지만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증권사마다 수수료 이벤트 등 다양한 혜택을 주는 이벤트가 있을 수 있으니 증권사별 이벤트도 참고해서 본인 조건이 맞는 증권사를 선택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

금 투자 방법 & KRX 금현물 계좌 증권사별 수수료 비교

KOSPI와 LBMA 국제금가격 (출처 : KRX금시장)

- 과거부터 현재까지 금 가격 -KOSPI 지수와 금시세(USD/toz.)

KOSPI와 금시세 (출처 : KRX금시장)

【 금 투자 방법 】

① 금 구매 (순금장식품)
② 골드바 구매
③ 금 ETF (국내/해외 선물) 투자
④ 금 통장 (시중은행 골드뱅킹) 상품 가입
⑤ KRX 금현물 투자

금투자 방법에 따른 수익률 비교 (출처 : KRx금시장)

1. 금 구매 (금은방)

- 방법 : 금은방 등 시중에서 금 현물 또는 순금 장식품 (목걸이, 반지 등)을 구매하는 방법

- 추가 비용 : 인건비, 판매처수익, 수수료 등

2. 골드바 구매

- 방법 : 순도가 높은 골드바 (제품 순도 999.9 ‰) 를 구매 (참고로 시중의 순금 액세서리의 순도는 99.5% 수준)

- 추가 비용 : 부가세 10%, 거래수수료 5%, (기타 보관비용 등)

3. 금 ETF - 국내/해외 금 ETF 선물/펀드

- 방법 : 국내/해외 주식시장의 금 ETF (선물 및 펀드) 에 투자

1) KODEX 골드선물 (H) - 삼성자산운용 (보수 0.68%)

  • 상세 정보 : https://www.kodex.com/product_view.do?fId=2ETF24

2) TIGER 골드선물 (H) - 미래에셋자산운용 (보수 0.39%)

  • 상세 정보 : https://www.tigeretf.com/npc/product/product.do?ksdFund=KR7139320006

3) TIGER 금은선물 (H) - 미래에셋자산운용 (보수 0.70%)

  • 상세 정보 : https://www.tigeretf.com/npc/product/product.do?ksdFund=KR7319640009

4) KODEX 골드선물인버스 (H) - 삼성자산운용 (보수 0.45%)

  • 상세 정보 : http://www.kodex.com/product_view.do?fId=2ETF94

5) KINDEX 골드선물 레버리지 (합성 H) - 한국투자신탁운용 (보수 0.49%)

  • 상세 정보 : http://www.kindexetf.com/fund/getFundInfo.etf?fundCD=9000S&tabMenuNo=1

국내 금 ETF (선물) 상품 국내 금 ETF (펀드) 상품

4. 금 통장 (시중은행 골드뱅킹)

- 매매차익 배당소득세 15.4%, 부가세 10%, 실물인출시 5%

1) 신한은행 - 신한골드리슈골드테크 (거래단위 : 0.01g, 거래통화 : KRW)

  • 상세 정보 : https://bank.shinhan.com/index.jsp#020703010600

2) KB 국민은행 - KB골드투자통장 (거래단위 : 0.01g, 거래통화 : KRW)

  • 상세 정보 : https://obank.kbstar.com/quics?page=C016622

3) 우리은행 - 우리골드투자 (거래단위 : 0.01g, 거래통화 : KRW)

  • 상세 정보 : https://spot.wooribank.com/pot/Dream?withyou=POGLD0002&cc=c004273:c011984&PRD_CD=P100000001&PRD_YN=Y

은행권 금 통장 누적 판매 중량 (출처: 아시아경제)

5. 금현물 투자 (KRX 금시장)

- KRX금시장 : 정부의 금 거래 양성화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계획에 따라 한국거래소가 금융위원회 승인을 받아 설립(‘14.3.24)하여 운영하고 있는 금 현물시장. KRX금시장은 주식처럼 편리하게 증권사(10개사*)를 통해 계좌 개설후 증권사 거래시스템에서 투자자가 직접 거래하는 방식

- 거래 방법 : 금현물 전용계좌

* 대신증권(주), 미래에셋대우(주), 삼성증권(주), 신한금융투자(주), 유안타증권(주), 키움증권(주), 하나금융투자(주), 한국투자증권(주), KB증권(주), NH투자증권(주)

- 추가 비용 : 실물 인출시 부가세 10%

KRX금시장 (출처 : KRX금시장)

증권사 수수료 비교 및 증권사 선택 방법

또한 이벤트는 항상 업데이트되고 혜택도 달라질 수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각 증권사들의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현재 저는 대신증권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아버지가 주식을 권하면서 대신증권계좌를 주셨기 때문입니다.

이말은 즉, 여러 증권사들이 있음에도 다른 증권사가 아니라 하필이면 왜 대신증권을 이용하고 있는지 모른다는 것을 의미하죠.

사진을 보시면 국내만 봐도 꽤 많은 증권사가 있습니다.

주식은 2019년 1월초에 시작해놓고 항상 거래를 해온 거래소의 장단점을 아무것도 모르고 주가만 멍하니 바라보고 있으니..

그래서 이번엔 국내의 각 증권사가 갖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오늘 기준으로 여러 증권사들 중에 어떤 증권사의 계좌에 나에게 맞을지 알아보겠습니다.

투자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해야 할 첫 번째 요소는 '증권계좌'의 개설입니다.

근데 궁금한 점이 또 생겼습니다. 혹시 증권사마다 거래할 수 있는 종목이 다르면 어쩌지.

답변을 드리자면 모든 증권사가 99% 비슷합니다.

어느 증권사를 이용하든, 우리가 사는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주식과 펀드들은 거의 동일합니다.

그럼 그 이외는요? 특정 증권사들만 통해서만 매수할 수 있는 일부의 상품들이 있습니다. 이 상품들은 증권사별로 직접 만드는 상품이며, 이런 증권사만의 고유한 상품들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롯데마트와 이마트를 가면 식재료/의류/가구 등 동일한 상품은 팔지만 이마트는 '노브랜드'라는 고유의 브랜드를 가지고 있잖아요? 그것과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울겁니다.

우리가 투자를 하기 위해 찾는 증권사들은 주식이나 채권, 펀드를 직접 만들어서 판매하지 않습니다.

wrap상품 이나 발행어음 처럼 증권사가 직접 만드는 것만 제외하고요.

즉 한국 거래소에는 코스닥, 코스피라는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증권시장이 있는 것이고 우리는 증권사를 통해서 이 시장에 있는 물건들을 사고 팔 수 있는겁니다.

그래서 우리가 증권사를 선택할 때 큰 증권사를 선택했더라도, 더 많은 종목이 있다는게 아니란거죠.

증권사별로 차이가 있는 것은 바로 수수료율 , 서비스의 종류 , 지점 수 정도가 있습니다.

만약 수수료가 가장 싼 곳을 원하거나 나를 도와줄 담당 PB가 필요하다면 증권계좌를 개설하기 전에 자신에게 맞는 증권사를 선택해야된다는 말입니다.

근데 저 같은 경우엔 아무것도 모르고 이미 대신증권에서 증권계좌를 개설해, 증권사 선택은 물거품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여러분들이 거래하는 증권사를 언제든지 바꿀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이용하고 있는 증권사의 상품이 마음에 안든다거나 수수료가 많이 붙는다거나, 혹은 서비스가 마음에 안든다면 언제든지 다른 증권사로 옮길 수 있습니다.

추가로 개인별로 만들 수 있는 증권계좌의 수는 제한이 없습니다.

그럼 주식은 어쩌냐고요? 팔아버려야 되냐고요?

아닙니다. 이전 증권계좌에 있던 주식들은 매도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다른 증권계좌로 옮길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 펀드도 마찬가지로 증권사를 바꿀 때에 해지하지 않고 금융사를 바꿀 수 있는 연금이전 제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 이외의 자산들은 옮기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이렇게 내가 증권사를 통해 거래하다가 불편함을 느낀다면 언제든지 변경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모든 증권사를 다 다루기에는 글이 매우 길어질 것 같아서 일반적으로 많이 보이고 규모가 큰 증권사 위주로만 비교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아무것도 모르는 주린이기에 특정 증권사 이용을 추천하는 것이 절대 아니라는 점을 인지해주시고 참고만 해주시길 바랍니다.

1. 종합 계좌가 있는 증권사

우리가 증권사에 있는 계좌를 관리할 때 현금 관리를 위한 CMA(현금관리) 계좌와 투자를 하기 위한 위탁 계좌(주식/채권/펀드 매수) 이렇게 두 개를 동시에 여는 것이 일반적이고 저 또한 이렇게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투자를 해야지~ 하면서 CMA에서 위탁계좌로 자금을 이체한 후에 이 위탁계좌에서 주식이나 채권, 펀드를 매수합니다. 참고로 위탁계좌, 주식계좌, 증권계좌는 모두 같은 말입니다.

그런데 증권사 중에서 이 CMA와 위탁계좌가 합쳐져 있는 종합계좌라는 것을 사용하는 증권사가 있습니다.

바로 'NH투자증권' 과 '신한금융투자' 입니다.

이 두 증권사에서 사용하는 종합계좌는 현금을 넣어두면 이자가 붙으면서 거기서 바로 주식 매수가 가능한 계좌 입니다.

저는 처음엔 두 개의 계좌를 별도로 쓰는 것이 불편하다고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생각했는데 지금은 오래 쓰다보니 딱히 불편한 점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여러개의 계좌를 관리하기가 불편하신 분들은 종합 계좌가 있는 증권사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네요.

"어? 우리 증권사에도 종합 계좌가 있는데. "

답변을 드리자면 종합계좌라는 이름을 사용할 뿐이지 CMA와 분리되어 있는 종합위탁계좌라고 보시면 됩니다.

2. CMA 금리가 높은 증권사

저같은 주린이들은 주식매매는 그렇게 많이 할 것 같진 않기에 CMA금리가 높은 곳을 선호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다양한 CMA의 종류가 있는데요, CMA의 종류들 중에서 금리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발행어음형(연1.3%)-MMW형(연1.24~1.29%)-RP형(.085~1.0%)이 있습니다.

이러한 CMA의 개설이 가능한 증권사는 'NH투자증권' , 'KB증권' , '한국투자증권' 이렇게 세 곳입니다.

이 세 곳 모두 현재는 연 1.3%의 CMA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주식 무료 수수료

주식을 시작하기전 증권사를 선택하게 될텐데 어딜가든 주식 수수료 무료! 평생 무료! 이런 광고들을 많이 보셨을겁니다.

많은 증권사들은 신규 고객이 스마트폰으로 증권 계좌를 개설함에 따라 주식매매 수수료를 일정 기간 또는 평생동안 무

료로 해주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벤트는 대부분 국내 주식에 한해서 행해진다고 보시면 되고 이건 정말 큰

혜택이기에 가장 눈여겨보셔야 할 사항중 하나입니다.

만약 내가 국내 주식 매매 비중이 높다면 또는 앞으로 평생 주식을 할 것 같다면 무료 수수료 이벤트를 꼭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증권사별로 어떻게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는지 한 번 보겠습니다.

'미래에셋대우' 는 신규계좌에 한해서 2030년까지 수수료를 증권사가 대신 대주고 있습니다.

'삼성증권' 은 올해 6월 안에 계좌를 개설했다면 평생 무료입니다.

'신한금융투자' 도 올해 6월 안에 계좌를 개설했다면 평생 무료입니다.

'KB증권','한국투자증권' 은 이번달 말까지 계좌 개설을 한다면 평생 무료입니다.

(참고로 이런 기한들은 모두 연장될 수 있습니다.)

'NH투자증권' 은 'QV'라는 앱과 '나무'앱이 따로 나눠져 있는데 '나무'로 계좌개설을 한다면 평생 무료입니다.

'한국투자증권'은 올해 2월말까지 개설했다면 평생 무료입니다.

이렇게 증권사별로 다양한 수수료 혜택이 있으니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해외 주식 매매는 무료가 아닙니다.

또한 유관기관제비용(약0.003~0.005%)과 증권거래세(매도 시 0.25%)라는 것이 있는데요 이건 증권사가 받는게 아니라서 유료입니다.

4. CMA 연계 체크카드

대부분의 증권사에서 CMA와 연계된 체크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계좌 개설 후에 카드 발급 버튼이 있을텐데 발급 버튼을 누르면 카드를 배송받을 수 있습니다.

이 카드를 사용하면 CMA에서 현금이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체크카드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증권사의 카드를 이용하면 그만큼의 또 혜택이 있어야겠죠. 그래서 이 체크카드를 사용하는 실적에 따라서 CMA의 일정

금리를 올려주거나 CMA에 캐시백을 적용 해주는 등 다양한 혜택들이 증권사별로 그리고 카드별로 존재합니다.

하지만 증권사별 카드별로 모두 비교할 수 없기에 가장 눈에 띈 것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KB증권' 에서 만든 에이블 아이맥스라는 체크카드가 있는데 이 카드는 30만원 이상을 사용하면 사용한 금액의 3배를 곱

한 후의 1%만큼을 캐시백으로 넣어준다고 합니다. 체크카드인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후한 혜택이라고 생각됩니다.

5. CMA 이체 수수료 무료

CMA는 현금을 관리하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현금을 묶어두지 않고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한데 이 현금에 대해서 꽤 괜

찮은 금리를 준다는 것이 바로 이 CMA의 가장 큰 매력입니다. 그래서 묶어두지 않기 위해서 입출금이 굉장히 잦습니다.

CMA에서 다른 증권사로 자금 이체가 될 때 이체 수수료를 무료로 해주는 증권사 가 있습니다.

바로 '미래에셋대우' 와 'NH주자증권' 입니다.

6. 주식 적립식 서비스

이건 조금 특별한 서비스입니다. 우린 그동안 주식은 자동으로 적립식으로 할 수 없다고 알고 있었는데 지금은 주식을

마치 펀드마냥 매월 적립식으로 일정하게 매수할 수 있는 서비스 가 있습니다.

저는 매월 S전자를 꾸준히 조금씩 매수하고 있는데 저같이 꾸준하게 특정 종목을 구매하시는 분들에게는 아주 유용한

'NH투자증권' , '신한금융투자' , 'KB증권' , '삼성증권' , '한국투자증권' 이렇게 다섯 곳이 현재 이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습니

다. 매월 정해진 날짜에 정해진 금액이나 가격으로 주식을 자동매수할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하지만 증권사별로 매수 가능한 종목의 종류가 다르고 매수할 수 있는 방식이 또 다르기 때문에 개별적인 것은 홈페이지

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 해외주식 원화매수 서비스

시간이 갈수록 해외주식을 도전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저 또한 관심이 생겼고요. 특히 애플, 구글, 아마존, 디즈

니, 테슬라 등 저같은 초보 주린이들이 갖고 싶어하는 주식들이 바로 해외에 있기 때문이죠.

해외주식을 매수하기 전에는 필수적으로 환전이라는 절차가 반드시 필요한데요.

요즘에는 원화로 바로 해외주식 매수 주문을 낼 수 있는 서비스 가 있습니다.

환전 절차를 따로 거치지 않고 원화로 해외 주식을 매수하겠다라고 하고 주문이 되고, 체결이 되면 그 후에 자동으로 환

'미래에뎃대우' , 'KB증권' , '한국투자증권' , '신한금융투자' 가 이런 서비스를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8. 해외주식 소수점 거래서비스

이건 정말 특이한 서비스인 것 같네요. 해외주식을 소수점 단위로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 로, '신한금융투자'에서만 제공

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의 최소 거래 단위는 1주입니다. 국내 종목들을 보면 한 주의 가격이 큰 종목들

이 해외에 비해 그리 많지는 않아요.

대부분 액면분할을 해서 이제는 많이 저렴해진 편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해외주식은 한 주에 100만원, 50만원 등 비싼 종목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그래서 '신한금융투자' 는 0.01주 또는 0.3주 이런 식으로 소수점 단위로 매수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소수점 매수도 앞서 말한 적립식 서비스도 가능하도록 해놨기 때문에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한 주의 가격이 비싸서 부담스러워도

투자자들이 소유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그런데 저는 소수점 단위의 투자가 과연 괜찮은 투자인지 의문이 드네요..

9. 해외주식 매매수수료 할인

대부분의 매매수수료 관련 이벤트는 국내주식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키움증권' 은 국내증권 수수료보다 해외증권 매매수수료 할인을 더 많이 해주고 있습니다.

원래 키움증권의 해외주식 매수 수수료는 0.25%인데요 지금은 0.1%를 할인 해주고 있고, 환전을 할 때 환율우대를 95%

를 해주는 이벤트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이벤트는 1년에 한 번만 거래해도 무기한 연장이 됩니다.

게다가 신규계좌개설을 하면 40달러라는 외화를 계좌에 그냥 넣어주기도 합니다.

이렇게 키움증권은 해외주식에 대해 상당히 큰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해외주식에 처음으로 도전하는 분, 또는 해외주식 매매를 주력으로 고려하시는 분들에게는 키움증권이 가장 적합할 것

지금까지 말한 것들 이외에도 증권사별로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계좌개설을 하면 주식을 1주 넣어주기도 하고, 커피 쿠폰을 주기도 하며 달러를 넣어 주는 등 다양한 이벤트를 하고 있는

데 증권사의 어플이나 홈페이지를 들어가면 고객센터의 하위 메뉴중에 이벤트라는 목록이 있습니다.

그곳에 들어가면 해당 증권사에서 진행하고 있는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모든 것들을 종합해봤을 때 특정 증권사가 전반적으로 좋다, 나쁘다 딱히 보이지가 않습니다.

CMA를 많이 쓸지, 발행어음이 반드시 필요한지, 이체를 많이 할지, 국내주식을 많이 할지, 환전을 많이 할지, 이렇게 자

신이 원하는 것에 따라 증권사별로 혜택이 저마다 다르고, 자신이 어떤 것을 하느냐에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따라서 자신에게 유리한 증권사는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투자를 대부분 모바일로 진행하게 될텐데 그 증권사만의 앱의 편의성도 증권사 선택에 한몫 합니다. 현재 1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키움증권' 은 15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면밀하게 비교를 해서 자신에게 가장 어울리는 증권사를 찾는 나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집니다.

Wrap상품 (Account) 서비스란?

  • ‘싸다’라는 뜻의 Wrap과 ‘계좌’를 뜻하는 Account가 결합된 단어로,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로 싸서 관리할 수 있는 종합자산관리계좌입니다.
  • 자산운용전문가가 고객의 투자목적과 성향에 따라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자산관리 (Wealth Management)서비스로 서비스 제공 대가로일정비율의 수수료를(Wrap Fee)받는 투자일임서비스입니다.
  • 주식, 펀드, 채권 등 다양한 금융투자상품을 통합하여 전문가가 자산 구성 및 운용, 자문, 사후관리 등 까지 총괄적인 관리가 가능한선진국형 맞춤식 종합금융서비스입니다.

warp상품이란 전문가가 자산관리를 대신 해준다는 거네요. 하지만 원금손실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행어음은 초대형 투자은행으로 지정된 증권사가 자사의 신용을 바탕으로 일반 투자자들에게 만기 1년 이내로 판매하는 약정수익 상품입니다. 증권사들은 투자자들로부터 얻은 자금을 부동산에 투자하여 수익을 거둡니다.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본문과는 상관없는 사진(서울로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7017에서 촬영)

국내 주식 수수료 혜택 이벤트 를 하고 있는 증권사를 모아봤습니다.

증권사명을 클릭하시면 해당 이벤트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2021-11-04 링크확인 (※ 자세한 이벤트 내용 사항은 증권사별 상세페이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증권사명 이벤트 내용
미래에셋증권 국내주식 온라인 거래 수수료 평생우대
0.0036396% (추후 변동 가능)
조건 2021년 말까지 주식 100만원 이상 거래 시
(미충족시 2030년말까지 우대 혜택)
단기간 다수계좌 개설 제한 있음
(영업점 방문 개설 및 제휴은행 방문 계좌개설은 가능)
신한금융투자 수수료 평생혜택 이벤트
국내주식 수수료
0.00363960%
KB증권 온라인 국내 주식 위탁수수료 평생혜택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0.0044792%
삼성증권 평생혜택 우대수수료율
주식(거래소/코스닥/코넥스)
0.0036396%
한국투자증권 국내 주식 평생 우대 수수료
국내주식 평생우대수수료
0.0036396%
키움증권 최대 6개월 수수료 할인혜택
유관기관 수수료율 0.0036396%
KTB투자증권 주식위탁수수료 0.005% 혜택
유진투자증권 국내주식 우대혜택
0.008%
한화투자증권 모바일 거래수수료 평생혜택
우대수수료율 0.0040595%(변동가능)
나무증권 위탁수수료 평생우대
국내주식 0.0043319%
케이프투자증권 국내주식위탁수수료 평생 혜택
고객부담 0.007%
이베스트투자증권 주식 거래수수료 1년 수수료 우대
주식 : KOSPI/KOSDAQ/코넥스 0.0036396%
유안타증권 국내주식 온라인 거래수수료 0.004989%
이벤트 신청 익일부터 90일(비영업일 포함)
하이투자증권 국내주식 위탁수수료
100년간 0.01%(온라인 전용)
대신증권 3년간 WELCOME HOME 수수료적용
국내주식 0.0036396%
SK증권 주식수수료 평생할인(0.0043976%)

※ 단기간 다수계좌 제한 : 대포통장 개설 방지를 위해 동일인이 단기간(20영업일 이내) 다수(2계좌 이상)의 계좌 개설이 안되도록 제한

여러분은 어느 증권사를 이용하고 계신가요!?

주식투자 처음 시작하기 전에 어느 증권사를 이용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은 주식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하는 곳을 먼저 이용해보시는 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보통 비대면 계좌 신규로 개설하는 경우 주식 수수료를 혜택을 주는 증권사가 많습니다.

참고로 저는 미래에셋대우를 이용 중입니다. 계좌를 하나 더 개설할 생각이 있는지라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하는 곳을 포스팅해봤습니다.

미래에셋대우 비대면 계좌개설 후기(feat.2025년말까지 온라인 거래수수료 이벤트!)

한 일 년간 생각만 하던걸, 드디어 실행에 옮기다. 주식계좌개설 사실 처음은 아닌데, 예전에 만든 주식계좌는 만들어 놓기만 하고 거래한 적은 없었습니다.(휴면계좌 됨) 아직 주식에 대해 1도 모르지만 작년..

주식수수료 무료인 계좌를 이용해도 주식 매도, 매수시 유관기관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유관기관 수수료란 한국거래소( 0.0027209%), 한국예탁결제원( 0.0009187%)에 내는 수수료로서 총 수수료가 0.0036396% 인데 증권사마다 이 유관기관 제비용을 다르게 책정하고 있습니다.

+ 2020년 9월 14일을 기준으로 대부분의 증권사가 유관기관 제비용 수수료를 올해 말까지 한시적으로 인하(면제) 하였습니다. 이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유관기관 수수료 비용 한시적 면제(무료) 증권사

국내주식거래를 하고 계신분들에게 아주 좋은 소식이 생겼습니다.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이 유관기관 수수료를 한시적 면제하기로 결정했다는 기사가!! 한시적 면제는 기간은 매매일 기

미래에셋대우의 경우 유관기관 수수료가 0.0041604% 발생됩니다. 참고로 한국투자증권의 경우에는 주식(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 0.0036396%, 가 발생된다고 합니다.(각 증권사 홈페이지 참고)

키움증권 비대면 계좌 계설 후기

영웅문S 키움증권으로 미래에셋대우에서 처음 주식계좌를 만들고, 두 번째 계좌는 어느 증권사로 할까 고민하다가 결국 선택한 곳이 키움증권입니다. 현재 증권사 이벤트 중에 제일 많은 혜택��

국내 증권사 유관기관 수수료 제비용 비교

무료 수수료 증권사 비대면 계좌를 이용하여 주식 거래를 했을 때 발생하는 유관기관 제비용 수수료율을 비교해봤습니다. 증권사명 유관기관 제비용 수수료율(주식기준) 삼성증권 0.0036396% 키움증권 0.0036396%..

매도시 에는 증권거래세 도 부과됩니다.

KOSPI종목: 증권거래세 0.1%+농특세 0.15%
KOSDAQ종목 : 증권거래세 0.25%
KONEX종목 : 0.1%
K-OTC종목 : 0.25%

주식 초보 필독서 목록

①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피터 린치, 존 로스차일드)

②피터 린치의 이기는 투자(피터 린치, 존 로스차일드)

+ 해외주식 수수료 이벤트

증권사명 이벤트 내용
유진투자증권 해외주식위탁매매수수료 10년 혜택
미국주식거래수수료 0.08%
삼성증권
이벤트 신청시
미국주식 온라인 거래수수료 1개월간
매수시 0% 매도시 0.00051%~
자세한 혜택은 상세페이지 확인 요망
미래에셋증권 계좌개설후 90일간
해외주식 온라인 거래 수수료 0원
91일부터 평생
온라인 거래수수료 0.07%
환전수수료 1USD당 1원

2021-11-04 링크확인 ※ 자세한 이벤트 내용 사항은 증권사별 상세페이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예탁금 이용료란? 고객의 예탁금을 빌려 쓴 대가로 증권 회사가 고객에게 주는 돈(출처 네이버)으로 보통 분기별(3개월간) 예탁금 평잔으로 증권사들이 예탁금 이용료를 지급하고있다. 증권사명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