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금값 빌빌대는데…국내선 탄탄한 까닭은?
국내 금값이 국제 금값에 비해 상대적 강세를 보이고 있다. 달러화 가치가 가격에 반영된 데다 안전자산 선호도가 높은 국내 투자자의 수요가 맞물린 결과다.
한국거래소 KRX금시장에 따르면 24일 1㎏짜리 금 현물의 g당 가격은 7만6270원을 기록했다. 올해 금 가격 10.62% 올랐고, 이달 들어서는 2.36% 상승했다.
국제 금시세와는 다른 양상이다. 올 들어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금 선물은 온스당 0.07% 하락했고, 이달 들어서는 0.89% 떨어졌다. NYMEX의 금시세는 국제 금시세의 바로미터로 여겨진다. 국제 금시세는 3월 초 정점을 찍고 우하향했지만 국내 금시세는 4월 다시 전고점을 회복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국내 금시세와 국제 금값이 다른 움직임을 보이는 건 달러 강세와 차별적인 수요가 이유로 꼽힌다. 국내 금시세는 국제 금시세에 달러 환율을 반영해서 산출한다. 전날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00원을 넘어서는 등 올 들어 달러화 가치는 계속 상승하고 있다.
국내 투자자의 위험자산 회피 성향도 국내 금가격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코스피지수가 3.52% 떨어진 지난 13일 1㎏짜리 금 현물 거래대금은 159억원을 기록해 전 거래일보다 일곱 배가량 많았다. 김소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 금값이 국제 시세에 비해 견조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환율이 반영됐기 때문”이라며 “국내 투자자가 강한 위험회피 성향을 나타낸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슬기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뉴스
"인플레 금 가격 과소평가했다"…파월, 뒤늦게 오판 인정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인플레이션을 과소평가했다고 인정했다. 또 하반기엔 미국의 성장률이 회복할 것으로 낙관했다.파월 의장은 23일(현지시간)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청문회에서 ‘Fed가 인플레이션을 과소평가했다’는 의원들의 지적에 “뒤늦게 깨달은 일이지만 분명히 우리는 그랬다”고 말했다.그는 “노동시장 참여율이 매우 높았고 지난해 여름엔 인플레이션이 하락 추세였다”며 “이런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생각이 타당해 보였다”고 설명했다. 파월 의장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가와 음식 가격이 오르고 공급망 문제로 점점 더 연착륙이 도전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했다. 경제 성장에 대해선 “올 상반기엔 부진했지만 하반기엔 (회복세가) 상당히 강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경기 침체가 불가피하지 않다’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생각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는 취지로 답했다. 하지만 이날 모하메드 엘 엘리안 알리안츠 수석은 야후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서 “Fed가 인플레이션은 못 잡고 경기만 침체에 빠뜨릴 것”이라고 내다봤다.미셸 보먼 Fed 이사는 6%대인 기대 인플레이션 수준까지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먼 금 가격 이사는 이날 한 행사에서 “기준금리가 단기 기대 인플레이션보다 낮은 건 말이 안 된다”고 강조했다. 6월 미시간대의 기대 인플레이션은 5.4%, 지난달 뉴욕연방은행의 기대 인플레이션은 6.6%다. 보먼 이사는 “7월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리고 이후 몇 차례 최소 0.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다.워싱턴=정인설 특파원 [email protected]
여전채 금리, 올해 2%P 폭등…자금줄 마르는 카드·캐피털사
인플레이션과 통화긴축으로 채권 금리가 연일 치솟으면서 카드사 캐피털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가 ‘돈맥경화’ 우려에 빠졌다. 여전사의 주요 자금 조달처인 채권시장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어서다. 자금난에 처한 일부 중소형 캐피털업체는 규모가 큰 기업 대출을 한시적으로 중단하며 유동성 관리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자산 규모 기준 업계 중상위권인 A캐피털사는 최근 기업 대출 신규 취급을 중단했다. 업계 관계자는 “조달 환경이 워낙 흉흉하다 보니 자금 마련이 쉽지 않아 대규모 대출을 할 여력이 안 되는 것”이라고 했다.여전사들의 자금난은 채권 금리 급등에 따른 시장 위축 때문이다. 은행과 달리 수신 기능이 없는 카드·캐피털사는 회사채의 일종인 여신전문금융채권을 발행해 운영 자금을 조달한다. 그런데 지난해 말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되고 올 들어선 그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면서 여전채 금리도 하루가 다르게 급등했다. 채권 금리가 오르면 발행사의 부담은 커진다.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신용등급 AA+인 여전채 3년물 금리는 전날 연 4.467%로 올 들어서만 2%포인트 넘게 뛰었다. 대형 캐피털사가 주로 분포한 AA-등급 3년물 금리는 연 4.695%까지 올랐다. 2011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여전채 금리가 유독 치솟으면서 국고채와의 격차(스프레드)도 1년 전 0.33%포인트에서 전날 0.86%포인트까지 벌어졌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금리가 급등하고 유동성이 말라붙으면서 체감하는 시장 상황은 금융위기 수준”이라고 했다.자금 마련에 비상이 걸린 여전사들은 앞으로의 금리 상승분까지 채권 이자에 반영하는 변동금리부채권(FRN)이나 단기 기업어음(CP)을 발행하며 급한 불을 끄고 있다. 지난달 카드사는 전체 채권 발행 규모의 40%에 이르는 8700억원을 FRN으로 조달했다. 그만큼 향후 이자 비용이 늘어날 금 가격 수밖에 없다. 채권에 비해 만기가 짧은 CP 발행도 크게 늘었다.금리 급등으로 카드·캐피털사의 수익성과 건전성에도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한국신용평가는 기준금리가 올해 연 2%, 내년에 연 2.5%로 오를 경우 국내 7개 카드사와 29개 캐피털사의 이자비용이 내년에 각각 4800억원, 1조4300억원까지 불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각각 추정 세전이익의 16.7%, 30.5%에 이르는 규모다.빈난새 기자 [email protected]
미국 실업수당 청구건수 22만9000건…전주 대비 2000건 감소
주간 미국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3만건 안팎에서 머무르고 있다. 이달 들어 지난 1월 이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미국 노동부는 “지난 12~18일 1주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2만9000건을 기록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전주 11~17일(23만1000건) 대비 2000건이 줄었다. 블룸버그통신이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집계한 평균 추정치는 22만6000건이었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지난 1월 중순 24만건을 기록한 뒤 3월 중순 16만건대까지 떨어졌다. 이달 들어선 23만건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블룸버그는 이번 발표를 놓고 “미국 노동시장의 경직성이 완화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최근 JP모간체이스, 코인베이스 등이 직원 일부의 정리해고를 발표하는 등 고용난이 완화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1994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금리를 인상하고 추가 긴축을 예고하면서 경기 침체에 대한 두려움이 노동시장에서도 확산하고 있는 상황이다.이주현 기자 [email protected]
금융 증권 환율 전망과 투자
오늘 금 한돈 (1돈) 가격 : 국제 금 시세 - 24K 순금 1 그람(g) 시세, 3.75 그람 시세, 1 킬로(kg) 시세, 1 톤(ton) 시세, 1 온스(oz t) 시세, 달러 금 시세, 원 금 시세
- Get link
- Other Apps
■ 그래프는 1온스당 달러 금 값 (1온스/달러) 실시간 차트입니다.
표의 1 온스 (oz t) 달러 가격이 그래프 가격과 맞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업체마다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경우에 따라서는, 표의 금값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거나 오류가 날 수 있습니다. 그래프 가격을 기준으로 하면 됩니다.
■ 위 표의 시세는 국제 금 시세이므로, 실제 시장이나 금방의 금값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 금 1 돈 = 3.75 그람
■ 금 1 트로이 온스 (troy ounce, oz t) = 31.1034768 그람 = 8.29426048 돈
■ 국제 금 시세는 1 트로이 온스 (troy ounce)를 단위로 합니다.
■ 금 가격 금 1돈 가격 계산 방법 :
금 1돈 값 (원) = 국제 금시세 ÷ 8.29426048 x 달러환율
■ 금 24K 18K 14K 뜻 차이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캐럿(Karat)이고, 기호는 K 입니다. 불순물이 조금도 없는 순수한 금을 24캐럿(24K)으로 하고, 불순물이 섞인 정도에 따라 18캐럿(18K)과 14캐럿(14K)으로 나눕니다. 중동지역에는 캐럽(Carob)이라 불리는 콩과식물 나무의 열매가 있다고 합니다. 말린 캐럽 한 줌 무게를 기준으로 하여 금, 소금 등을 사고 파는 기준으로 삼았다고 하며, 말린 캐럽 한 줌은 대략 24개 정도가 된다고 합니다.
요즘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캐럿은 중동의 캐럽에서 나온 말이고, 그에 따라, 순도 99.99%의 순금을 24캐럿이라하고, 24K로 표기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18K는 99.99%인 24K분의 18 (18/24)이므로 순도가 75%이고, 14K는 24K분의 14(14/24)이므로 순도가 58.5%인 것입니다. 18k와 14K에 섞여 있는 다른 물질은 은이나 구리 등입니다. 참고로, 다이아몬드를 말할 때 사용하는 캐럿은 Carat이고, 다이아몬드 1캐럿은 0.2g을 말합니다.
■ 순금(純金) 정금(正金) 진금(眞金) 본금(本金)
우리는 순도 99.99%인 금을 한자어로 순금(純金) 또는 정금(正金) 또는 진금(眞金)이라 하고, 드물지만 본금(本金)이라 하기도 합니다. 순금을 나타내는 국제표준화기구(ISO) 기호는 XAU 입니다. XAU에서 앞의 X는 지수(指數, index [인덱스]) 라는 뜻이고, 뒤쪽의 AU는 금을 말하는 라틴어 AURUM에서 머리 두 글자를 딴 것입니다. XAU는 순금 1 온스 (oz t)를 가리킵니다. 그러므로, 달러 표시 금값을 XAU/USD로 표기하고, 이는 순금 1 온스의 달러 가격을 말합니다.
■ 금(黃金)은, 교환수단인 실물 돈이자, 재산가치를 가장 안전하게 저장하는 수단입니다. 금값은 인위적으로 만든 돈(화폐)의 가치를 가늠하는 기준이므로, 금값은 물건값과 품삯을 가늠하는 가늠자로 됩니다. 늘 금값에 대한 감각을 가지고 사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금 은 등 귀금속 단위로 '돈'을 사용해 왔습니다. 금 1돈은 반지를 만들어 끼기에 적당한 량이고, 반지는 일상 생활과 함께 있습니다. 그러니 금 1돈 하면, 누구나 그 량과 무게가 어느 정도인지를 압니다.
그런데 어느 날, 국제표준이다 어쩌다 하면서, 서양의 그람(g)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돈'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불법화 해 버렸습니다. 게다가 국제 금 거래는 온스(ounce)라는 서양 단위로 이루어 지고, 그에 따라 금값도 온스당 얼마라고 말합니다. 그러다 보니, 우리는 금값에 대한 현실 감각을 잃게 되었습니다. 소리소문도 없이 현실감각 없는 멍청이가 된 것입니다. (참고).
국제표준이라는 것이 누가 누구를 위하여 만든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금 가격 우리 민족이 일상 생활에서 현실적 감각으로 알 수 있는 '돈'이라는 단위를 굳이 불법화 하는 것이 옳은가. 싶습니다.
전체 카테고리
로그인 회원가입 구매이력조회
오늘의 시세
금시세 단위 : 3.75g (자사골드바 기준) 2021.01.20
다이아몬드 시세 0.20ct - 0.70ct 2021.01.20
0.20ct - 0.70ct 단위 10,000원
G/VVS1 | G/SI2 | |
0.20ct | 28만원 | 금 가격23만원 |
---|---|---|
0.30ct | 54만원 | 42만원 |
0.50ct | 161만원 | 96만원 |
0.70ct | 253만원 | 181만원 |
다이아몬드 시세 1.00ct ~ 3.00ct 2021.01.20
1.00ct ~ 3.00ct 단위 10,000원
G/VVS1 | G/SI2 | |
1.00ct | 0만원 | 0만원 |
---|---|---|
1.50ct | 0만원 | 0만원 |
2.00ct | 0만원 | 0만원 |
3.00ct | 0만원 | 0만원 |
비밀번호 인증
글 작성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입금계좌
KB국민은행 026401-04-279892
우리은행 1005-503-757963
예금주 : (주)한국표준거래소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세진 | 호스팅사업자 : 엔에이치엔고도(주)
CUSTOMER
1644-7967
평일 09:30 ~ 19:00
토요일 10:30 ~ 18:00(천호점)
근무시간 이후 문의는 네이버톡톡 또는 카카오톡 상담을 이용해주세요.
ACCOUNT INFO
KB국민은행 026401-04-279892
우리은행 1005-503-757963
예금주: (주)한국표준거래소
NOTICE
SHIPPING GUIDE
[종로본점]03134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8길 금 가격 101, 버들빌딩 4층 (종로3가역 8번 출구 건너편, 이마트 편의점 건물)
[천호점]05378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1006 브라운스톤 2층 202호(천호역 7번, 8번 출구 바로 앞)
상호명 : 한국표준금거래소 | 대표자: 배광수 | 사업자등록번호: 215-87-40435 | 통신판매신고업번호: 제 2015-서울종로-0344호
전화번호: 1644-7967 | 팩스: 02-487-5242 | 이메일: [email protected]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이세진 | 호스팅사업자: 엔에이치고도(주)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오늘의 금값] 2022년 6월 6일 금시세는?
- 기자명 이영종 기자
- 입력 2022.06.06 14:05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내외경제TV] 이영종 기자=2022년 6월 6일 오늘의 금값 시세다.
이날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순금 1돈(Gold24k-3.75)은 구매시(VAT포함) 전일대비 1,000원(0.31%) 오른 31만 9,000원으로 거래되며 판매시(금방기준) 전일대비 변동 없는 29만 4,000원에 거래된다.
18K(Gold18k-3.75g) 구매시(VAT포함) 제품 시세 적용이며 판매시(금방기준) 전일대비 변동 없는 21만 1,700원에 거래된다.
14K(Gold14k-3.75g) 구매시(VAT포함) 제품 시세 적용이며 판매시(금방기준) 전일대비 변동 없는 16만 3,200원에 거래된다.
백금 시세(금 가격 Platinum-3.75g)는 구매시(VAT포함) 전일대비 1,000원(0.59%) 오른 17만원이며 판매시(금방기준) 전일대비 1,000원(0.69%) 오른 금 가격 14만 5,000원(자사백금바기준)이다.
은 시세(Silver-3.75g)는 구매시(VAT포함) 전일대비 10원(0.26%) 오른 3,850원으로 거래되며 판매시(금방기준) 전일대비 10원(0.31%) 오른 3,210원(실버바기준)에 거래할 수 있다.
오늘 금시세 32만 9천원대 오전 시작, 달러지수는 104.305 (+0.094 ↑)
뉴욕상품거래소에 거래되고 있는 국제 금시세는 1트로온스에 -0.35% 하락한 1,832.40달러로 거래되고 있다. 6개월동안 단기간 급상승 했던 금가격은 최근 하락추세를 보였다. 국제 금값은 6개월전 대비 +1.97% 상승, 1년전 대비 +3.47% 상승했다.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 압박에도 불구하고 금값은 1개월전 대비 -0.79% 하락했다.
신한은행 금고시 가격에 따르면 국내 금시세는 순금 1그램에 76,106원으로 -0.15% 하락으로 거래 시작했다. 오전 24K 순금 한돈 시세는 부가세를 포함한 32만 8천원대로 거래되고 있다.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KRX금시장은 오전 9시 25분 기준으로 순금 1그램에 -0.25% 하락한 76,190원으로 거래 시작했다. 전일 거래대금은 약 33억, 3거래일 평균 거대대금은 약 40억 거래됐다. 국제 은시세는 1트로온스에 21.61 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0.73% 하락했다.
전일 금 가격 상승했던 국제 선물 시장의 에너지 분야 가격은 다시 하락했다. 이전 5거래일 동안, 에너지 선물 관련 상품의 가격 변동이 높았다. 또한 시장 경기의 부정적 전망과 미국의 기준금리 상승의 여파로 국제 선물 상품들 거래 분야는 6거래일 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오전 달러환율 전망은 외국인 투심 변화 여부 주목에 1,290원 하향이탈 재시도 할 것이라고 우리은행은 전했다. 상승요인으로 수입업체 결제 수요와 외국인 자금 역송금 유입에 하단 경직, 하락요인으로는 글로벌 달러 약세와 위험선호 심리 회복, 반기말 수급 부담 고조로 전했다. 10시 기준 달러환율은 1,295.00원으로 전일대비 1.50(+0.12%)원 상승했다.
어제에 있었던 일
미국 S&P500 지수가 5월말 이후 최대폭 상승으로 상승했다. 시장에서는 금 가격 다만 단기 반등이라는 의견이 다수 지배적이라 전했다. 또한 미국 리치몬드 연은 총재는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0.5%p 혹은 0.75%p 금리인상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지난 5일전 미국 금리를 0.75% 인상한 가운데 추가적 금리 인상도 시사했다. 6월 22일 기준으로 미국 기준금리는 1.5~1.75%로 올랐다. 또한 전일 미국 주식시장은 그 동안의 주가 하락에 따른 저가 매수 등이 유입되면서 주가가 상승했다.
미국 S&P500지수는 에너지 및 고성장 관련주 중심으로 매수세 강화, 유로 Stoxx600지수는 화학 및 자원관련주 저가매수 유입 등으로 0.4% 상승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