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파생상품거래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17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고 있다.. 2022.5.4/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작년 장외파생상품 거래 1.8경…전년比 6.6% 증가

여기는 칸라이언즈

2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1년 금융회사 장외파생상품 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금융사의 장외파생상품 총 거래규모는 1경8146조원으로 전년 대비 1127조원(6.6%) 증가했다.

통화선도는 미리 정한 가격으로 미래시점에 특정 통화를 매매하기로 한 계약이다. 환리스크를 줄이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자율스왑은 이자율리스크 헤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명목 원금에 대한 이자(주로 고정 및 변동금리)를 상호 교환하는 거래를 말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에는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대외무역 규모가 증가하고 대내·외 금리 상승기조에 따라 금리 변동성이 높아졌다“라며 ”기업과 금융회사의 통화·금리 관련 헤지수요 증가로 장외파생상품 거래도 증가세를 보였다“라고 설명했다.

기초자산별 장외파생상품 거래 현황을 보면 통화 관련(1경3776조원) 거래가 75.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이자율(4117조원·22.7%), 주식(194조원·1.1%), 신용(18·0.1%조원) 순이다.

잔액기준으로는 국내 금융회사의 장외파생상품 거래잔액 중 이자율 관련 거래가 6984조원(61.8%)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통화(4150조원·36.7%), 신용(73조원·0.6%), 주식(68조원·0.6%) 순으로 집계됐다.

작년 통화관련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는 1경3776조원으로 전년 대비 526조원(4.0%) 증가했다.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대외무역 규모 증가로 외화 관련 헤지 수요가 증가한 영향이다.

주식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는 194조원으로 전년 대비 1조원(0.6%) 증가했다. 거래잔액은 68조원으로 3조원(5.3%) 증가했다. 지난해 글로벌 주요 주가지수 회복과 함께 주가연계증권(ELS) 발행금액이 증가, ELS 헤지 목적의 주식스왑 거래가 소폭 늘어난 영향이다.

지난해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 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금융권은 은행이었다. 은행의 거래규모는 1경4323조원으로 78.9%를 차지했다. 증권사(2780조원·15.3%), 신탁(875조원·4.8%)장외파생상품거래 이 뒤를 이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장외파생상품 거래 관련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강화할 것”이라며 “오는 9월부터 개시증거금 교환제도의 적용 대상이 되는 금융회사의 제도 이행 준비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준비과정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email protected]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 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한국조세재정연구원 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미래 선도 정책으로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세계 일류의 조세재정정책 연구기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자 이미지

상세 내용

장외파생상품이란 거래소와 같은 물리적 장소를 거치지 않고 거래자간에 직접 거래되는 파생상품을 말한다.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장내파생상품이 규격화된 계약조건, 청산기구의 존재로 인한 신용위험의 경감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비하여 장외파생상품은 계약의 크기, 만기 등의 조건을 거래자의 필요에 맞게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세계적으로 장외파생상품은 장내파생상품의 거래 규모를 능가할 정도로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 대표적인 장외파생상품으로는 스왑, 옵션, FRA, 선도거래 등이 있으며, 기초상품으로 보면 이자율, 통화관련 상품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금융자율화, 개방화가 추진되면서 우리 나라에서도 장외파생금융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장외파생상품거래 있으나 아직은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헤지위주의 장외파생상품거래가 소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는 단계이다. 그러나 앞으로 자율화와 개방화가 진행됨에 따라 경제변수들의 변동성 증가와 금융기관간의 경쟁격화는 위험헤지와 수익성 제고를 위한 장외파생상품의 수요증가를 가져올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장외파생상품거래의 활성화에 대비하여 법적 제도 및 규제를 정비하고 감독관할권을 정비해 두어야 할 것이다.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하여 시가평가회계제도의 도입과 공시제도의 개선을 위한 준비도 필요하나, 장외파생상품의 업무영역은 지나치게 세분화할 필요가 없다. 그 밖에 장외거래에 대한 통계의 작성과 위험의 측정에 대한 감독당국 나름대로의 대비가 있어야 할 것이고 감독의 국제적 공조를 위한 노력도 함께 요구된다.

목차별 원문

Ⅱ.장외파생상품거래의발전과현황

Ⅲ.장외파생상품거래와금융시스템의안정성

Ⅳ.국내장외거래의문제점및개선방향

Ⅴ.결론및요약

G-30의위험관리에대한권고사항

Copyright 2019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ALL RIGHTS RESERVED. [email protected]

장외파생상품거래

(~2022-07-14 23:59:00 종료)

모아시스 이벤트 모아시스 이벤트

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고 있다.. 2022.5.4/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고 있다.. 2022.5.4/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금융감독원 제공) © 뉴스1

(금융감독원 제공) © 뉴스1

(서울=뉴스1) 황두현 기자 = 지난해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가 약 1경8000조원을 기록하며 1년 만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대외무역 증가와 금리 상승기조에 따라 헤지(위험회피)수요가 늘면서 상품 거래가 많아진 까닭이다.

25일 금융감독원은 '2021년 금융회사 장외파생상품 거래현황'에서 지난해 국내 금융회사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는 1경8146조원으로 전년(1경7019조원) 대비 1127조원(6.6%) 증가했다.

2020년 거래규모는 2012년 이후 8년만에 처음으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증가세로 돌아섰다. 통화선도(390조원) 및 이자율스왑(564조원)에서 거래금액이 늘었다.

통화선호는 미리 정한 가격으로 미래 시점에 특정 통화를 매매하기로 하는 계약으로 환리스크를 줄이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자율스왑은 이자율리스크 헤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명목 원금에 대한 이자를 상호 교환하는 거래다.

장외파생상품 거래잔액은 1경1305조원으로 전년말(9935조원) 대비 1370조원(13.8%) 증가했다. 이자율 관련 거래(6984조원)가 61.8%, 은행(9102조원)이 80.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기초자산별 장외파생상품 거래현황은 통화관련 거래가 1경3776조원(75.9%)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거래규모(1경3776조원)와 거래잔액(4150조원)은 전년대비 각각 4%, 22.9% 증가했다.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대외무역 규모 증가로 외화 관련 헤지 수요가 증가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연간 수출 실적은 655억달러로 장외파생상품거래 전년대비 25.8% 증가했고, 수입은 6150억달러로 31.5% 늘었다.

이자율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는 4117조원으로 전년대비 16.7% 증가했고, 장외파생상품거래 거래잔액은 6984조원으로 9.1% 올랐다. 지난해 기준금리 인상으로 높아진 금리 변동성을 헤지하기 위한 수요가 증가했다.

주식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는 194조원, 거래잔액은 68조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0.6%, 5.3% 증가했다. 글로벌 주가지수 회복과 ELS(주가연계증권) 발행금액이 증가하며 헤지 목적 주식스왑 거래가 소폭 증가했다.

금융권역별 거래 규모는 은행(78.9%)에 이어 증권(15.3%), 신탁(4.8%) 순으로 나타났다. 은행과 증권회사의 거래상대방별 거래규모는 외국 금융회사(41%), 외국은행 지점(22.4%), 국내은행(16.1%) 순이었다.

거래규모가 큰 통화와 이자율 관련 거래가 외국은행 등 외국 금융회사가 외은지점을 통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국내 금융회사의 장외파생상품 중개·주선 거래 규모는 287조6000억원으로 전년(231조3000억원) 대비 56조3000억원(24.3%) 증가했다. 외국계 증권회사 국내 지점의 통화선도 등으로 중개·주선 실적이 1년 만에 565.9% 증가하는 데 기인했다.

금융감독원은 장외파생상품 거래가 국내와 해외 금융기관 간 리스크 이전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거래 대부분(60%이상)이 국내회사와 외국회사 간 거래라는 이유에서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내 금융시장 주요 리스크가 해외로 노출되거나 국제 금융시장 리스크가 국내 투자자들에게 유입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center

이미지 확대보기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 / 자료제공= 금융감독원(2022.05.25)

[한국금융신문 정선은 기자] 작년 국내 금융회사의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가 1경8000조원을 돌파했다.

이자율 및 통화 관련 거래가 증가가 주요 배경이 됐다.

금융감독원은 25일 '2021년 금융회사 장외파생상품 거래현황'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2021년 중 국내금융회사의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는 총 1경8146조원으로 전년(1경7019조원) 대비 6.6% 증가했다.

상품 별로는 통화 관련 거래(1경 3776조원, 75.9%), 금융권역 별로는 은행(1경4,323조원, 78.9%)이 가장 장외파생상품거래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전년 대비 주요 증가원인은 통화선도(+390조원) 및 이자율스왑(+574조원) 거래금액 증가다.

2021년 말 현재 국내 금융회사의 장외파생상품 거래잔액은 1경1305조원으로 전년말(9935조원) 대비 13.8% 늘었다.

상품 별로는 이자율 관련 거래(6984조원, 61.8%), 금융권역별로는 은행(9102조원, 80.5%)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전년 대비 주요 증가원인은 이자율스왑(+567조원) 및 통화선도(+518조원) 거래잔액 증가다.

기초자산별 장외파생상품 거래현황을 보면, 국내 금융회사의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 중 통화 관련 거래가 1경 3776조원(75.9%)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이자율 관련 4117조원(22.7%), 주식 관련 194조원(1.1%), 신용 관련 18조원(0.1%) 등 순이다.

국내 금융회사의 장외파생상품 거래잔액 중 이자율 관련 거래가 6984조원(61.8%)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통화 관련 4150조원(36.7%), 신용 관련 73조원(0.6%), 주식 관련 68조원(0.6%) 등 순이다.

통화 장외파생상품은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대외무역 규모 증가로 외화 관련 헤지수요가 증가했다.

주식 장외파생상품은 2021년 글로벌 주요 주가지수 회복과 함께 ELS(주가연계증권) 발행금액이 증가하며 ELS 헤지 목적 주식스왑 거래가 소폭 늘었다.

신용 장외파생상품의 경우 거래 유형별로는 CDS(신용부도스와프) 거래규모가 7조9000억원으로 전체 신용 관련 거래 중 가장 높은 비중(43.9%)을 차지했다.

2021년 중 금융권역별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는 은행이 1경4323조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78.9%)을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증권(2780조원, 15.3%), 신탁(875조원, 4.8%) 등 순이다.

은행의 장외파생상품 거래는 통화선도(1경 820조원) 및 이자율스왑(2861조원) 등 장외파생상품 거래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2021년말 금융권역별 장외파생상품 거래잔액은 은행(9102조원, 80.5%), 증권(1798조원, 15.9%), 신탁(200조원, 1.8%) 등 순이다.

2021년 은행·증권회사의 거래상대방별 거래규모는 외국 금융회사(41.0%), 외은지점(22.4%), 국내은행(16.1%) 등 순이다.

2021년 국내 금융회사의 장외파생상품 중개·주선 거래규모는 287조6000억원으로 전년(231조3000억원) 대비 24.3% 증가했다.

금감원은 2021년은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대외무역 규모가 증가하고 대내·외 금리 상승기조에 따라 금리 변동성이 높아지면서, 기업과 금융회사의 통화·금리 관련 헤지수요 증가로 장외파생상품 거래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금감원은 "장외파생상품 거래 대부분이 국내회사와 외국회사 간 거래라는 점에서 금융리스크의 국경간 이전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장외파생상품 거래 관련 리스크 관리 체계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증거금 교환제도의 경우 2017년 3월부터 시행중이며, 2022년 9월부터 개시증거금 교환제도 적용 대상이 되는 금융회사의 제도이행 준비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준비과정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2021년 4월부터 장외파생상품시장의 투명성 제고 및 거래정보 집중 등을 위해 거래정보저장소(TR, Trade Repository) 업무를 개시한 가운데, 수집된 TR 정보를 분석하여 장외파생상품시장에 대한 시스템리스크 분석 및 금융회사 건전성 감독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장외파생상품거래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박정은 기자
    • 승인 2022.05.25 13:46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사진=금융감독원)

      지난해 금융회사 장외파생상품의 거래규모와 거래잔액은 모두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외파생상품은 기초자산 상품으로부터 파생돼 거래소 없이 일대일 거래를 할 수 있는 상품이다.

      금융감독원은 2021년 중 국내 금융회사의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는 총 1경8146조원으로 전년 1경7019조원 대비 1127조원이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거래잔액도 2021년 말 기준 1경1305조원으로 전년 말 9935조원 대비 1370조원 늘었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에 따르면, 통화 관련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는 1경3776조원으로 전년 대비 526조원 증가했다. 거래잔액은 4150조원으로 전년 말 대비 774조원이 증가했다. 통화선도와 통화스와프의 거래규모는 각각 391조원, 140조원 늘어난 반면 통화옵션은 4조원 줄었다.

      이는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대외무역 규모 증가로 외화 관련 헤지(투자자가 보유하고 있거나 앞으로 보유하려는 자산의 가격이 변함에 따라 발생하는 위험을 없애려는 시도)수요가 증가한 여파로 해석된다.

      이자율 관련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는 4117조원으로 전년 대비 590조원 증가했고 거래잔액은 6984조원으로 전년 말 대비 581조원 증가했다. 이자율선도와 이자율스와프의 거래 규모는 각각 20조원, 574조원이 늘었지만 이자율옵션은 4조원이 감소했다.

      지난해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높아진 금리 변동성을 헤지하기 위해 수요가 증가한 결과로 풀이된다.

      주식 관련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는 194조원으로 전년 대비 1조원 증가했고 거래잔액은 68조원으로 전년 말 대비 3조원이 늘었다. 주식선도와 주식스와프의 거래규모는 각각 1조원, 28조원 상승했다. 반면 장외파생상품거래 주식옵션은 28조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글로벌 주요 주가지수 회복과 함께 ELS(행사가격이 만기에 다가갈수록 단계적으로 하락해 수익 상환 가능성이 높아지는 주가연계증권)발행금액이 증가하며 ELS 헤지 목적 주식스와프 거래가 소폭 상승했다.

      아울러 신용 관련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는 18조원으로 전년대비 4조원 감소했으며 거래잔액은 73조5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조1000억원 감소했다. 신용부도스와프(CDS)과 총수익스와프(TRS)의 거래규모는 전년대비 각각 2조1000억원, 3000억원로 감소했다.

      거래 유형별로는 신용부도스와프 거래규모가 7조9000억원으로 전체 신용 관련 거래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업과 금융회사의 통화와 금리 관련 장외파생상품거래 헤지 수요 증가로 장회파생 상품 거래도 증가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장외파생상품 거래는 대부분 국내회사와 외국회사 장외파생상품거래 간 거래라는 점에서 금융리스크의 국경 간 이전 수단으로 활용되며 관련 리스크 관리 체계 강화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