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전략 분석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7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기술 전략 분석

미국 글로벌 과학기술전략위원회에서 주요 6개국의 과학기술전략과 혁신환경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미국을 위한 권고사항을 도출함. 최근 중국, 인도, 브라질 등의 등장으로 기술 전략 분석 글로벌 경제-과학 판도가 다극화되고 있으며, 미국의 R&D 관련 지위는 약화되고 있다고 평가함.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혁신환경과 지식재산 이전에?대해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혁신환경에 대한 평가-개선을 지속해야 하며, 연구시스템의 효율성 확보를 위해 계속 노력해야 한다는 등의 권고사항을 제시함.

□ GSTS는 자국의 경제·국가안보라는 측면에서 주요국*의 과학기술 전략과 글로벌 혁신 환경을 분석하고 정책을 제언

* 일본(J), 브라질(B), 러시아(R), 인도(I), 중국(C), 싱가포르(S) (이하 JBRICS)

○ 6개국의 과학기술 전략 및 혁신환경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미국을 위한 권고사항을 도출

◇ 과학기술 분야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미 이루었거나 이루고 있는 국가

◇ 특히 해당 국가가 실행하고 있는 과학기술 정책이 미국의 경제·안보 측면에서 중요성이 큰 경우

- 일본과 싱가포르는 영토 및 자원이 빈약하지만 타국과 견주어 손색없는 성장을 이룬
대표적인 성공 모델

-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은 영토가 넓고 풍부한 자원을 갖고 있으며 국가의
정치·경제 시스템으로?글로벌 자본주의를 표방하고 있다는 점도 선정의 고려요소

- JBRICS는 미국의 안보 측면에서 서로 다른 함축적 의미를 지님
※ 중국과 인도는 군사 현대화를 경제발전보다 더 우선순위에 두고 있고,
러시아는 하락한 국가위상을 군사력을 통해 보상받으려는 잠재성이 있는 등
6개국은 다양한 안보적 의미를 내포

기술 전략 분석

첨단 분석과학 진흥을 위한 새로운 전략 수립 나서

- 연구장비산업 육성 및 첨단 분석과학 진흥위한 산학연관 전문가 참여 -

기초지원연 , ‘ 첨단 분석과학 육성전략 포럼 ’ 5 월 31 일 ( 화 ) 개최

□ 첨단 분석과학을 기반으로한 연구장비 개발 및 분석과학 진흥을 위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
산· 학· 연· 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새로운 전략과 방향성을 모색하는 ‘ 첨단 분석과학
육성전략 포럼 ’ 이 개최된다 .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원장 이광식 , 이하 기초지원연 ) 은 연구장비 개발을 포함하여 첨단 분석과학 기술· 산업· 인력양성· 육성방안 등을 포괄하는 ‘ 첨단 분석과학 육성전략 포럼 ’ 을 오는 5 월 31 일 ( 화 ) 14:00 에 서울 양재동 엘타워 엘하우스 8 층에서 개최한다고 31 일 밝혔다 .

□ ‘ 첨단 분석과학 육성전략 포럼 ’ 은 ‘ 분석과학 진흥 ’ 이라는 정책 아젠다에 맞춰 , 분석기술에 대한 기초연구 진흥과 연구장비 및 시험· 분석서비스 산업의 육성을 중심으로 한 , 분석과학의 발전방안 의견수렴 및 논의를 위해 개최된다 .

□ 이번 포럼에서는 ‘ 연구장비산업의 현황 및 육성방안 ( 박재민 건국대 교수 )’, ‘ 분석과학
진흥을 위한 생태계 활성화 방안 ( 이준희 코셈 대표이사 )’, ‘ 첨단 분석과학 육성전략 ( 유경만 과학기술전략연구소 대표 )’ 등 3 개 주제발표를 통하여 , 첨단 분석과학 육성을 위한 현안을 살펴보고 육성방안에 대한 다양한 전략을 공유한다 .

□ 주제발표 후에는 국내 연구장비 개발업체를 중심으로 산업계와 학계 , 연구계 전문가 7 명이
참여하는 패널토론을 갖고 ,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

□ 미래창조과학부 박재문 기술 전략 분석 연구개발정책실장은 축사를 통하여 “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분석기술
장비의 연구개발과 함께 분석장비 및 분석서비스 산업의 육성은 매우 중요하다 ” 라며 , “ 정부는 분석기술과 분석장비에 대한 기초 ? 원천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출연 ( 연 ) 등이 보유한 분석기술 및 연구성과가 자연스럽게 사업화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고 밝혔다 .

□ 이번 포럼을 주제 발표에 나선

- 박재민 건국대 교수는 ‘ 연구장비산업의 현황 및 육성방안 ’ 에서 세계 연구장비 시장은 2012 년 235.5 억달러로 , 매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 미국 , 일본 , 독일 등 상위 3 개국의 기업들이 약 80% 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 연구장비 기술경쟁력 강화 , 연구장비 사업화 및 보급 확산을 통하여 , 연구장비 산업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 국산 전자현미경 전문기업인 ㈜ 코셈 이준희 대표이사는 ‘ 분석과학 진흥을 위한 생태계 활성화 방안 ’ 에서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기술개발과 기술 전략 분석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자본이 결합된 코셈의 창업과정을 예로 들며 ,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기술개발에 공적자금 성격의 창업지원을 통하여 연구장비 기업 생태계 조성이 하나의 활성화 방안이라고 제시했다 .

- 유경만 과학기술전략연구소 대표는 ‘ 첨단 분석과학 육성전략 ’ 을 통하여 분석과학은 분석기술과 분석장비를 모두 포괄하는 것이라고 개념을 정의하고 , 분석과학산업은 BT · NT · ET 등 모든 과학영역에 있어 분석용품산업 ? 분석장비산업 ? 분석서비스산업이 유기적으로 결합하게 된다며 , 국가기반산업으로 육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 한편 , 이번 ‘ 첨단 분석과학 육성전략 포럼 ’ 을 주관한 기초지원 ( 연 ) 이광식 원장은 “ 국가연구시설장비 총괄관리 기관으로서의 역할과 사명이 더욱 막중해 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국내 연구장비산업 육성을 선도하는 기관으로 도약하려는 기초지원 ( 연 ) 에게 있어 이번 포럼은 산 · 학· 연· 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함께 소통하며 , 향후 발전전략을 구체화시키는 변곡점이자 도약대가 될 것 ” 이라고 밝혔다 .

검색유형 검색유형

키워드보기
초록(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플라잉디스크 백핸드 던지기 중 스트레이트(ST), 하이저(H), 앤하이저(AH)에 대한 기술 전략의 정량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플라잉디스크 던지기 동작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을 위해 3차원 동작분석 시스템(적외선 카메라, 지면반력기)을 사용하였고 측정 대상자는 대한플라잉디스크연맹(KFDF)으로부터 추천 받은 엘리트 선수를 대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플라잉디스크 백핸드 던지기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위하여 상지 관절의 최대 선속도 발현 시점이 근위 분절에서 원위 분절로 이어져야하며, 그리고 ST는 근위 관절의 좌우 움직임과 원위 관절의 전후 움직임, H는 전반적으로 수직 움직임, AH는 손 관절의 전후 및 수직 움직임이 비교적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면반력 분석결과 ST동작은 우측, AH동작은 후방으로의 힘이 가장 크게 나타나야 하며, H동작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힘이 가장 크게 나타나야 한다.

초록(외국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objective and quantitative data regarding three backhand throwing skill movements (Straight, ST; Hyzer, H; Anhyzer, AH) in flying disc. We found that the player exhibited the consecutive movement pattern in upper extremity, indicating kinetics chain. We further observed that the flying disc trajectories were differently shown regarding throwing skill movements. Particularly, we found three including lateral horizontal axis movement of proximal joints in ST, vertical axis movement in H, and forward/backward movement in AH. For the GRF result, we observed the greatest forces in the lateral direction at ST movement, in the posterior direction at AH movement,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H movement.

기술 전략 분석

성공하는 IP-R&D전략 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한국지식재산전략원간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게재하고 있습니다.

▲ 김갑조 주임연구원
한국지식재산전략원

세계는 지금 4차 산업혁명에 모든 초점을 맞추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세상은 모든 것이 인간과 연결이 되고 인공지능화되어 인류의 생활방식, 사회 및 경제에 거대한 변혁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고에서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다양한 변화에 적절한 대응 차원에서 특허의 양적·질적 활용 현황을 분석하여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산업혁명(The Industrial Revolution)이라는 용어는 1884년 토인비(A. Toynbee)의 ‘영국 산업혁명 강의’ 01 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영국 근대 경제사의 기본 개념으로 확립된 용어이다.

18세기 증기기관의 발명으로 섬유산업의 발전과 기관열차 인프라가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1차 산업혁명’을 도래시켰다.

이후 100여 년이 지나고 전기에너지를 기반한 대량생산 체제가 가능해지면서 ‘2차 산업혁명’이 전개되었고, 컴퓨터와 인터넷 그리고 재생에너지 체계의 결합이 ‘3차 산업혁명’을 이끌었다.

이제는 3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정보통신, 바이오, 물리학이 서로 융복합화되어 새로운 혁신이 일어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왔다.

세계경제포럼의 창립자인 슈밥(K. Schwab)은 무인기, 3D 프린팅, 로봇 기술의 기본이 되는 물리학과 센서, 사물인터넷 등의 정보통신, 그리고 유전자 기술의 근간인 바이오 분야가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주요 기술 분야이며, 4차 산업혁명은 이들 기술 간 융합되고 기술 전략 분석 서로 교류하는 모습이 될 것이라고 했다. 02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기술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특허를 분석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기술개발 동향과 기술 및 한국의 경쟁력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향후 4차 산업혁명이 우리에게 가져다줄 무한한 기회와 도전을 특허 관점에서 준비해보고자 한다.

7.png


앞서 언급하였듯이, 4차 산업혁명의 기술 체계를 크게 정보통신, 바이오, 물리학을 기반으로 표 1 과 같이 3D 프린팅, 바이오,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서비스용 로봇, 스마트시티, 스마트홈, 웨어러블 기술,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클라우드 기술들로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 미국, 일본 및 유럽 특허청을 대상으로 1995년부터 2014년까지의 주요 기술 분야에 해당하는 출원 및 공개 특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표 1 에서 보듯이, 자율주행차가 41,86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바이오(21,340건), 서비스용 로봇(20,750건) 기술 순으로 활발한 특허 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빅데이터(3,550건), 스마트시티(3,929건), 클라우드(4,211건) 기술은 상대적으로 특허 활동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9.png

8.png


그림 1 은 수집된 특허 데이터의 특허청별 출원 동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전체 131,798건의 특허 중 미국 특허청의 비율은 53%이고,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는 21%의 비중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한국 특허청은 3위로서 17%, 그 외 유럽 특허청이 9%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때, 각국 특허청의 연도별 특허 동향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서서히 특허의 양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미국 특허청에서는 2002년에 들어 증가율이 크게 상승하는 추세를 보인다.

미국 특허청의 특허 양이 증가하는 시기에, 다른 특허청에서는 특허의 양적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특허청의 경우 2000년대 초반에 비교적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을 기준으로 분야별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스마트시티를 제외한 전체 11개의 분야 중 10개 분야가 미국 특허청에서 가장 많은 특허 활동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시티 분야는 한국 특허청에서 가장 많은 특허가 출원(1,640건)되고 있는 반면, 3D 프린팅의 경우 가장 저조한 특허 출원 활동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0.png

11.png


제4차 산업혁명 분야 상위 10위 주요 출원인의 특허 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그림 3 과 같다.

상위 10위 주요 출원인 중 5개의 출원인(TOYOTA MOTOR, 삼성전자, IBM, HITACHI, MICROSOFT)이 모든 11개 기술 분야에서 특허 출원 활동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TOYOTA MOTOR, HITACHI는 자율주행차 분야, 삼성전자는 서비스용 로봇 분야, IBM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분야, MICROSOFT는 인공지능 분야에 집중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출원인들 중 한국 국적의 출원인은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엘지전자로 나타났으며, 엘지전자 역시 삼성전자와 마찬가지로 서비스용 로봇 분야에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대자동차는 자율주행차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4차 산업혁명 주요 기술별 한국의 질적 수준을 파악해보기 위해 국적별 특허 피인용도(기술 전략 분석 CPP, Cites Per Patent)를 분석해 보았다.

선도국과 한국 국적 출원인의 특허 피인용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는 특허의 질적인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분야별 피인용도 기준 상위 출원인을 살펴보면, 미국 국적의 출원인이 9개의 기술 분야(3D 프린팅, 바이오,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스마트시티, 스마트홈, 웨어러블 기술, 인공지능, 클라우드)에서 선도하고 기술 전략 분석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 국적의 출원인이 2개의 기술 분야(서비스용 로봇, 자율주행차)에서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국적 출원인은 스마트홈 분야의 피인용도가 4.기술 전략 분석 70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 분야의 피인용도가 미국 다음인 2위국으로 나타났다.

12.png


그림 5 는 출원인 국적별로 IP4(미국, 일본 중국 및 유럽 특허청) 중 3개 이상의 국가에 동시 출원한 특허가 전체 출원 특허에서 차지하는 비율(이하 주요 시장 확보율)을 계산한 것이다.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는 국가를 선도국으로 하고, 선도국과 한국 국적 출원인의 주요 시장 확보율을 비교해 보았으며, 이는 시장에서의 영향력 관점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그림 5 에서 보듯이 미국 국적의 출원인이 10개의 분야(3D 프린팅, 바이오,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서비스용 로봇, 스마트시티, 스마트홈, 웨어러블, 인공지능, 클라우드)를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 국적의 출원인은 1개의 분야(자율주행차)를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국적의 출원인은 웨어러블 분야에서 주요 시장 확보율이 16.6%로 가장 높았으며, 이 분야의 선도국(미국) 대비 주요 시장 확보율은 43.6%로 나타나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수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허 관점의 R&D 전략 수립

지금까지 특허의 양적·질적 동향을 정량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특허분석 결과물을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 분야별 IP(Intellectual Property) 관점의 R&D 전략을 수립해보고자 기술 경쟁력 및 한국의 경쟁력을 분석해보았다.

13.png


기술 경쟁력과 한국의 경쟁력을 비교하기 위한 지표로서, 특허의 양·질·시장 관점에서 특허 활동력, 특허 피인용률, 주요 시장 확보율을 표 2 와 같이 산출하였다.

그리하여 각 기술 분야별 수준의 등급화를 위해 9점 구간척도로 나타내어 표 2와 같이 기술 경쟁력과 한국의 경쟁력 축으로 구성된 매트릭스 상에 각 기술들을 매핑시켜보았다.

표 2 는 4차 산업혁명 11개 분야별 특허분석 결과를 각 R&D 전략 영역에 나타낸 결과이다.

총 11개의 분야별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적극적 시장 선도 영역에 해당하는 분야는 8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략적·선별적 지원 영역에 해당하는 분야는 3개로 나타났다.

즉, ① 3D 프린팅, ③ 빅데이터, ④ 사물인터넷, ⑤ 서비스용 기술 전략 분석 로봇, ⑦ 스마트홈, ⑧ 웨어러블 기술, ⑨ 인공지능, ⑪ 클라우드 분야는 유망한 산업분야이며, 기술 경쟁력과 한국의 경쟁력도 우수하여 민간의 적극적 시장 선도를 위한 규제개선 등의 지원이 필요한 분야로 판단된다.

② 바이오, ⑥ 스마트시티, ⑩ 자율주행차 분야는 기술 경쟁력 및 한국의 경쟁력이 중간 수준으로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전략적·선별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지속적인 기술 및 시장 모니터링을 통해 유망성이 높은 분야에 대해서는 집중적 투자 전략이 필요하며, 이와 반대의 경우에는 다른 기술들과의 융합을 통한 활용도 강화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많은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이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변혁의 바람을 불게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특허분석을 통해 이러한 대변혁의 중심에서 기술 전략 분석 우리의 적절한 대응전략을 수립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들에 대하여 특허의 정량분석을 수행하였고, IP R&D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렇듯, 특허는 R&D의 결과물로서, 목표로 하는 주체 및 대상의 기술적 수준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미래를 준비할 수 있게하는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급변하는 산업혁명 시대에 더 상세하고 체계적인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특허뿐만 아니라 해당 분야별 시장의 규모와 정책적 이슈사항 등 다양한 사회·환경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서서히 우리 주변에 스며들어온 기술 전략 분석 4차산업혁명의 환경이 앞으로 우리 생활의 득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관점에서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갖고 체계적으로 준비해 나가야 할 것이다.

01 Arnold Toynbee, Lectures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England, 1884.

[유비쿼터스] 유비쿼터스의 개념과 적용 사례 및 해외 기술 전략 분석

Ⅴ. 유비쿼터스 잠재적 적용 사례
1. 유비쿼터스+도시=U-City 기술 전략 분석
2. 유비쿼터스+산업=smart object
1) 지능형 타이어(smart tire)
2) 지능형 자동차(smart car)
3. 유비쿼터스+기업=U-business
4. 유비쿼터스 +개인= U-Life
1) 맞춤형 소비 시스템
2) 보안 시스템
5. 유비쿼터스+가정=digital home
6. 유비쿼터스+병원=U-health

Ⅶ. 결론
본문내용 유비쿼터스 시대의 큰 특징은 모든 IT요소들이 네트워크에 의해 유기적 조직체로 통합, 융합, 표준화됨으로써 하나의 조화로운 기술 전략 분석 IT세계를 형성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컴퓨팅의 활용은 가정, 문화, 여행, 오락 등 개인의 다양한 생활환경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 것이다. 과거의 네트워크 구조와 인프라로서는 지원될 수 없었던 새로운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들이 개인 혹은 인간 중심의 능동형 서비스로 발전하여 현실화되는 점이 중요한 특징이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비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ꡐ어디에서나 연결(Anywhere Connection)된다ꡑ는 것과 ꡐ지능적인 협업(Intelligent Cooperation)이 있어야 한다ꡑ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ꡐ어디에서나 연결ꡑ은 현재의 기술로 자연스럽게 구현되고 있으나, ꡐ지능적 협업ꡑ은 기술 전략 분석 아직 미래지향적인 면이 강하다.
그러나 유비쿼터스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도 무시해서는 안된다. 어떤 미래학자들은 2015년부터 석유 생산량의 감소현상이 일어나면서 전 세계적인 인플레 현상이 일어날 것이며 경기침체, 전쟁, 글로벌 재난, 자원고갈, 공해 등으로 인한 혼동의 상황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즉, 지금보다 더 경쟁이 치열해지고, 경제적으로 각박해지고, 자원이 부족해지는 미래에서 살아남기 기술 전략 분석 위해서는 에너지 절약, 산업 효율성 극대화의 전략이 필요해질 것이다.
또한 어떤 학자들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에는 IT기술로 닭을 만들어내는 것과 같은 기술 발전에 대한 제시가 기술 전략 분석 많으나 정작 달걀을 만드는 기술의 상용화에 대한 계획은 결여되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가상 네트워크, 리얼 서비스와 같은 유비쿼터스 기반 IT기술 못지않게 비가시적 서비스와 사업에 대한 상용화 모델과 성공적으로 사업을 전개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연구결과에 따라 정부는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 및 콘텐츠에 세금을 부여할 수 있는 제도적 사업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세계인 비 IP기반의 네트워크에 대한 인프라 구축과 기반기술 개발, 유비쿼터스 서비스와 응용에 대한 사업준비도 시작단계에 있다. 현재 국내에는 정보통신부 빌딩 등 몇 군데에서 미래의 유비쿼터스 사회의 체험을 할 수 있는 전시관이 마련되어 있어서 전공자는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보다 나은 유비쿼터스 미래사회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차세대 IT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해서는 인터넷과 같은 Back-end의 광대역 통신망의 대역폭을 확대하고,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한 Front-end의 대역폭을 확대하여 새로운 물리적 컴퓨팅 공간을 생성함으로써 미래 사회에 대한 연구개발이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기술 전략 분석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3년 4월 2일]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