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곡선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생활속의경제 1. 다음은 수요 곡선과 공급 곡선의 이동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의 맞음 또는 틀림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목차 1. 다음은 수요 곡선과 공급 곡선의 이동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의 맞음 또는 틀림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각 3점, 총 12점; 참고: 교재 43--49쪽, 동영상 강의 3강 2. 수요와 공급의 변화)
(a) 연관된 다른 재화의 가격 변화는 수요 곡선을 이동시킨다.
(b) 생산 요소의 가격 변화는 수요 곡선을 이동시킨다.
(c) 상품에 대한 기호의 변화는 공급 곡선을 이동시킨다.
(d) 생산 기술의 변화는 공급 곡선을 이동시킨다.
2. 다음은 시장의 균형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의 맞음 또는 틀림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각 3점, 총 12점; 참고: 교재 35--37쪽, 43--49쪽, 동영상 강의 3강 3. 비교정태분석)
(a) 수요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직일 때, 수요 곡선이 이동하면 균형 거래량은 변화하지 않고 균형 가격만 변화한다.
(b)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직일 때, 공급곡선 수요 곡선이 이동하면 균형 거래량과 균형가격 모두 변화하지 않는다.
(c)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평일 때, 수요가 증가하면(수요 곡선의 오른쪽 이동) 균형 거래량이 증가한다.
(d)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평일 때, 수요가 증가하면(수요 곡선의 오른쪽 이동) 균형 공급곡선 가격이 높아진다.

3. 다음은 신문 기사의 일부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총 6점; 참고: 교재 41-42쪽, 교재 94-95쪽, 동영상 강의 3강 1. 시장의 균형)
(a) 수급이 안정화 된 이후, 공적 마스크의 가격을 1,500원으로 유지한 것은 가격 상한제와 가격 하한제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1점)
(b) 수급이 안정화 된 이후, 공적 마스크의 가격을 1,500원으로 유지함으로써 재고가 쌓인 이유를 설명하시오. (2점)
(c) 정부의 역할에 대한 경제학적 설명에 따라 공적 마스크의 가격 설정을 평가하시오.(3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다음은 수요 곡선과 공급 곡선의 이동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의 맞음 또는 틀림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각 3점, 총 12점; 참고: 교재 43--49쪽, 동영상 강의 3강 2. 수요와 공급의 변화)

(a) 연관된 다른 재화의 가격 변화는 수요 곡선을 이동시킨다.

시장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가격을 결정하고 매매가 이루어지는 장소로 수요와 공급의 변화는 가격 외 다른 변수의 변화로 나타나며,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이 경제활동(생산·교환·분배·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자본주의 경제체제이다. 수요 곡선과 공급 곡선의 그림으로는 수요곡선과 공급곡선 자체의 이동으로 표현된다. 어떤 경제에서 수요의 증가만 발생하고, 공급은 변화가 없다면,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균형거래량은 증가한다. 만일 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우하향(오른쪽으로 내려가는)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가격이 하락 혹은 상승함에 따라 수요량이 공급곡선 증가 혹은 감소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가격이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여 수요량이 이동(반응)하는 것은 연관된 재화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즉 쌀이나 식재료와 같은 생필품 등에는 영향이 덜 미치는 반면 커피나 술 등 기호품의 수요 변화는 가격과 연관이 크다. 구체적으로 생활필수품의 수요 변화는 가격과 연관성이 덜해서 가격변화가 크지 않지만 술과 같은 기호품의 수요는 가격 변화에 영향을 덜 받는다. 참고문헌 생활속의경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지식인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Q앞의 숫자가 기울기라고 배웠는데

Q함수를 P함수로 바꿔야 Q앞의 숫자를 알 수 있잖아요

전. 어떻게 저렇게 되는지 모르겠어요 ㅠㅠ

기울기가 아니라 균형가격(P)과 균형량(Q)를 구하는건 이항해서 하는게 이해되는데

Q함수를 P함수로 바꾸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왜 어찌해서 저렇게 되는걸까요 ㅠㅠ

문제는 기출OX , 43p, 61번 문제입니다 ㅠㅠ 정말 쉽게 좀 알려주실분 ㅠㅠ

덧셈, 곱셈의 법칙을 이용하시는 초등 3학년 수준의 산수입니다.

y=3x+6 일경우 x함수 변환하면

이렇게 되는건 이해 하시나요?

단순하게 y=Q, x=P로 바꾸어서 사용한 것뿐입니다.

3x=y-6 이까지 만드는건 알겠는데 3을 Y쪽으로 옮기면서 y와 6에 모두 1/3을 곱해야하는걸까요. ㅠㅠ 초등학교때 저는 뭘 배운걸까여. ㅠㅠ 균형가격과 균형량을 구하면서 이항할때는 분수가 안되었는데 이건 왜 분수로 바뀌고 왜 두번이나 곱해주는건지. ㅠㅠㅠㅠ

일차방정식 그리고 역수에 대해서 검색하셔서

간단한 설명과 그림을 20~30분 보세요. 이해가 가실거예요. ^^

Q만 있으면 1이 생략되었다고 봅니다.

그래서 Q만있으면 기울기가 1입니다.

그러니 밑에 함수는 Q앞에 1/2가 있으니 기울기가 1/2입니다.

이용에 불편한 점 있으신가요?

많은 사용자가 궁금해 하는 그 질문!

대표이사 : 권대호 본사 :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34길 55 코오롱싸이언스밸리 2차 310호 Tel : 1600-6700 Mail : [email protected] 원격평생교육시설 신고 : 제 207호 사업자등록번호 : 119-81-54852 법인등록번호 : 110111-2450031 출판사등록번호 : 제 18-102호 통신판매업신고 : 구로 제 2008-00077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한광일

왜 독점기업의 공급곡선은 없을까?

독점시장의 가격이 결정되는 것을 분석할 때 수요곡선과 비용곡선만 언급하고 공급곡선은 사용하지 않는다. 통상 (경쟁)시장을 분석할 때 수요와 공급을 가장 많이 언급한다. 부동산 시장이나 주식 시장 모두 마찬가지다. 위 그래프에서 공급곡선(S)는 존재하지 않는다. 오직 수요곡선(AR=D)만 존재한다. 왜 공급곡선은 없을까?

독점기업 역시 얼만큼 공급할지 정하는 것은 똑같다. 하지만 이것은 공급곡선 자체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공급곡선이라는 것은 '주어진 가격'에 대해 기업이 얼만큼의 수량을 공급할지 나타내는 것이다. 이 '주어진 가격'이라는 것은 완전경쟁시장에서 언급한(관련 포스팅) 가격 수용자를 뜻한다. 즉, 완전경쟁시장에서의 공급자는 주어진 가격을 보고 공급을 결정하기 때문에 공급곡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독점기업은 가격 수용자가 아닌 가격 설정자이다. 가격 설정자인 독점기업에게 주어진 특정 가격에서 얼만큼 생산할 것인지 공급곡선 묻는 것은 의미가 없다. 독점기업은 가격과 수량 모두를 수요곡선을 통해 결정하기 때문이다. (알 필요는 없지만 간단하게) 한계 수입(Marginal Revenue, MR)은 수요곡선(D=AR)을 통해 구할 수 있다. 독점기업은 자신이 얻을 수 있는 한계 수입(MR)과 들어가는 비용인 한계 비용(Marginal Cost, MC)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생산량을 결정한다. 위 그래프 상에서는 Qs이다. 그리고 그 생산량에서 공급곡선 직선으로 올려 수요곡선(D=AR)과 만나는 지점인 Ps에서 가격을 정한다. 분석을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느 지점이 독점기업의 생산량이고 가격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말하고자 하는 것은 완전경쟁시장과는 다르게 (완전경쟁시장에서는 공급량은 수요곡선과 독립적으로 결정됨) 독점시장에서는 수요곡선에서 한계수입곡선이 도출되고 이를 통해 독점기업의 이윤극대화 생산량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여기 어디에도 공급곡선에 대한 이야기가 없다. 물론 이 역시도 현실에서 무조건 성립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한국전력 같이 국가에서 허용해주는 독점기업의 경우 이윤극대화 생산량을 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전력의 경우 적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기 요금 개편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 개편안 역시 일반적인 독점기업의 이윤극대화 생산량을 토대로 한 것이 아닌, 상한선이 있는 '연료비 연동제' 등이 언급되고 있다. 이윤만을 극대화하기 위해 위 그래프처럼 진행한다면 전기를 공급받지 못한 가정들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해관계가 다른 투자자들과 상장된 독점 기업의 이윤을 제한하는 정부 사이의 갈등은 또 다른 문제일 것이다.

공급곡선이 - 영어 뜻 - 영어 번역

except that because Zcash's blocks will be mined 4 times as frequently as Bitcoin's the number of ZEC created per Zcash block are a quarter the number of BTC created per Bitcoin block.

except that because Zcash's blocks will be mined 4 times as frequently as Bitcoin's the number of ZEC created per Zcash block will be a quarter the number of BTC created per Bitcoin block.

Based on the study's lumber supply curve analysis 공급곡선 공급곡선 the major supplying regions are likely to include Brazil Chile Germany and the Nordic countries.

Ltd is a top level China curved led display series manufacturer and supplier with professional factory we are always at your service.

The idea that Mi Mix 4 could arrive with a curved screen would not be so unnatural since most manufacturers are including

this type of panels in its high-end terminals and Xiaomi is working together with Samsung which could supply curved screens to Xiaomi.

either on its own or with an exhaust or end-can this electronic device works with your engine's ECU and alters fuelling

한국어 - 영어

영어 - 한국어

and required to achieve the purposes illustrated in the cookie policy. If 공급곡선 you want to know more or withdraw your consent to all or some of the cookies, please refer to the cookie policy .
By closing this banner, scrolling this page, clicking a link or continuing to browse otherwise, you agree to the use 공급곡선 of cookies.

Opt-Out of the sale of personal information
We won't sell your personal information to inform the ads you see. You may still see interest-based ads if 공급곡선 your information is sold by other companies or was sold previously. Opt-Out Dismiss

공급과 수요의 “법칙”은 19세기 후반에 완성된다. 이 “법칙”에는 가격결정의 주체도 방식도 없다. 공급량과 수요량이 같아지게 하는 가격이 있을 뿐이다. 누가 어떻게 가격을 결정하는지는 얼버무린다. 윌리엄 손턴이1866년 논문과 1869년 저서에서 제기하는 비판은 바로 그런 가격 이론을향한 것이다. 손턴의 비판은 허술하다. 상인들의 판매 유보와 가격 설정에 관한 그의분석은 혼란스럽다. 가격에는 어떤 “법칙”도 없다는 그의 주장은 자기 부정에 가깝다. 그래도 그의 비판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기에 충분하고, 실제로 그리 되었다. 심각한 수용이 유의미한 변화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교점으로 가격이 설명되고, 균형의 안정성 조건이 그 교점을 뒷받침하지만, 그것이 가격 결정 방식에 대한 분석일 수는 없다. 그래서 손턴의비판은 여전히 유효하다.

The "law" of supply and demand, which is established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lacks any reference to the mechanism of price determination. According to the "law," the price is determined by nobody in no particular manner. It is this lacuna that William Thornton attacks in his 1869 book entitled On Labour. Thornton's critique is vulnerable. His analysis of dealers’ strategy is rather confusing. His denial of any law as for price sounds more like admission of failure. Nevertheless, his critique of the “law” of supply and demand deserves and receives 공급곡선 serious considerations. These considerations, however, has failed to result in any meaningful developments. Although the price theory is enhanced by the demand and supply curves, their crossing point being supported by the so-called stability conditions,the curves cannot be a substitute for the 공급곡선 missing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price determination. The critique of Thornton is still valid.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