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린저 밴드 및 MACD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2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일목균형표.

볼린저 밴드 및 MACD

가상화폐/암호화폐

8. 차트 보조지표 차트분석 주식차트 코인차트 RSI 볼린저밴드 macd

가상화폐/암호화폐 기초 강좌입니다.

1. 주제 간단 정리 & 간단 개인 의견

2. 상세 주제 정리 & 상세 개인 의견

1. 주제 간단 정리 & 간단 개인 의견

볼린저 밴드 및 MACD 에 이어 차트의 보조지표를 추가적으로 설명하려 합니다. RSI, 볼린저밴드, Macd등 차트 보조 지표라고 이야기 합니다. 차트를 볼 때 보조 지표를 통해 추가적인 분석과 해석을 합니다.
RSI란 매수세를 0~100까지 표현한 것 입니다.
볼린저 밴드란 통계상, 심리상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보통, 최대 이정도까지 올라오더라, 반대로 하락세가 이어진다면 보통 최재 이만큼까지 떨어지더라, 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macd란 0이상의 막대를 그릴때는 상승추세를, 0이하의 막대를 그릴때는 하락추세를 이야기 합니다.
+보조지표의 경우 디테일하게 들어간다면, 20일간의 이동평균선 간의 차이를 얘기한다는 등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알아듣기 힘듭니다. 당장 그 글을 보면서 이해가 안된다고 머리를 싸매기 보다는, 장기간 차트를 보면서 그 글을 천천히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

1. 주제 간단 정리 & 간단 개인 의견

막대로 이루어져 있는 차트에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사람들의 매도 매수 기법을 공식화하여, 차트에 반영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보조 지표 입니다. 매도매수시 어떤 지표가 맞고 어떤 지표가 틀리다라는 말은 할 수 없으며, 가장 보편적으로 rsi와 볼린저밴드 그리고 macd가 이용되며, 그 외에도 피보나치 되돌림이라던가 많은 지표들이 있습니다. 천천히 지표를 찾아보면서 본인에게 맞는 지표를 추가하여 분석하시기 바랍니다.볼린저 밴드 및 MACD

2. 상세 주제 정리 & 상세 개인 의견

볼린저 밴드의 경우 차트위에 나타나게 되어 있으며, 볼린저 밴드를 뚫고 하락하거나 상승한다 하더라도, 다시 볼린저 밴드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볼린저 밴드를 뚫고 하락하였을 때 매수하였다가, 볼린저 밴드를 뚫고 올라갈 때 매도하는 방법도 있지만, 항상 꼭 뚫고 하락한 후 다시 볼린저 밴드 안으로 들어와 가격이 상승했다 하더라도 매수시보다 가격보다 낮으리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RSI는 보통 차트와 별개로 표기되는 지표이며, RSI가 높을때는 보통 매수세가 강하여 상승을, RSI가 낮을때는 매수세가 약하여 볼린저 밴드 및 MACD 하락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가격이 상승할 때, 오른다! 하여 더 오를거라고 생각하고 탑승하는 매수세가 강해진다면, 상승을 하지만, 반대로 가격이 올라도 아 이가격에 사기에는 좀 부담되는데 라고 싶다면 매수세가 약해져, 다시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모든 보조 지표가 마찬가지지만, RSI가 높다고 꼭 상승하는 것은 아닙니다.

macd의 경우 보통 막대가 0 위로 그려질 시에는 상승의 의미가 강하며, 0이하로 그려질 시에는 하락의 의미가 강합니다.


+macd의 선이 0밖으로 확실하게 나왔을 때 매수하여, 0안으로 들어가려고 할때 매도하는 방법이 있지만, 실시간으로 보게 된다면 이 macd의 기울기가 잠깐 내려앉은 것인지, 혹은 잠깐 0위로 나왔다가 다시 0아래로 떨어지는 것인지 판단하기가 매우 힘듬니다.

볼린저 밴드 및 MACD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UPDATED. 2022-07-18 18:11 (월)
  • 볼린저 밴드 및 MACD
  • WIKI Korea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최종원 기자
    • 승인 2020.02.12 09:59
    • 수정 2020.02.12 09:59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두나무가 지난 1월 6일부터 2월 5일 한 달간 업비트 이용자의 차트 이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기본 보조지표인 이동평균선 외 가장 많이 설정된 보조지표 1~5위는 일목균형표, 볼린저밴드, 매물대, 상대강도지수 (RSI), 이동평균수렴 (MACD) 순으로 집계됐다.

      국내 대표 암호화폐 거래소

      [사진=업비트]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 기업 두나무(대표 이석우)가 12일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 이용자에게 가장 인기 높은 보조지표 순위 Top 5을 공개했다.

      업비트는 투자자가 암호화폐 차트 분석 시 가격 변동 패턴, 중장기적 추세 등에 대해 더욱 포괄적이고 실용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플랫폼별 특화된 차트 기능을 제공 중이다.

      작년 PC 웹에 차트 분석 아이디어 공유 서비스인 트레이딩뷰 차트와 매수/매도의 호가 누적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마켓뎁스 차트를 추가했고 지난 1월 29일에는 안드로이드와 iOS 앱에 새로운 보조지표 7개를 추가하고 차트 화면 분할 기능, 보조지표 상세값 노출, 보조지표 중복 설정 등의 신규 기능을 선보이며 차트 및 보조지표 기능을 대폭 개선했다.

      일목균형표.

      일목균형표.

      1위인 일목균형표 차트는 전환선, 기준선, 후행 스팬, 선행 스팬 1, 선행 스팬 2 다섯 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여러 단위 기간에 대한 지표를 단일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 후행성을 띄는 보조 지표와 달리 선행성까지 갖추고 있어 향후 시장 추세를 예상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2위는 주식 차트 분석에서도 많이 이용되는 보조지표인 볼린저밴드이다. 일반적으로 상위 (Upper) 밴드 및 하위 (Lower) 밴드 초과 여부에 따라 시장의 과매수,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고 밴드의 폭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을 분석하는 도구로 활용된다.

      매물대는 VPVR(Volume Profile Visible Range)로도 불리는 지표로, 매물대가 집중되어 있는 가격대를 가로형의 막대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일정 가격 구간에 거래된 물량을 확인하고 해당 암호화폐의 지지선 및 저항선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상대강도지수(RSI).

      상대강도지수(RSI).

      상대강도지수(RSI)는 특정 암호화폐의 과매도 및 과매수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된다. 기간 설정 후 RSI 지표가 과매수일 경우 매도, 과매도일 경우 매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 전략이다. 단, 절대적인 지표가 아니기 때문에 해당 암호화폐의 특성과 타 보조지표를 감안한 종합적인 판단이 중요하다.

      MACD는 이동평균선의 지표의 진화형으로, 단기 이동평균값과 장기 이동평균값간의 차이인 MACD 곡선과 신호 (Signal) 곡선의 교차 시점을 기반으로 암호화폐 매수, 매도 시점을 판단한다. 간편한 사용성과 볼린저 밴드 및 MACD 시각적 편의성 때문에 가장 대중적으로 이용되는 투자 보조지표 중 하나다.

      업비트 담당자는 “기존 금융 투자 시 익숙한 보조지표들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나 고객들의 투자 지식이 날로 높아지고 있어 각자 전략에 따라 다양한 기술적 분석 도구들을 활용 중”이라며, “올해 1월 모바일 앱 업데이트에 이어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계속 차트 기능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Dipsy 의 백과사전

      이번시간에는 주가의 움직임을 밴드 내에서 판단하고자 고안된 기술적 분석의 대표적인 주가지표인 볼린저밴드 ( Bollinger band ) 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

      볼린저밴드는 1980 년대 초반 존 볼린저가 개발한 기술적인 거래도구로서 , 주식의 변동성 자체가 가변적이고 일정하지 않은 당시 시장상황에서 적합한 매매범위를 찾기 위해 만들어진 기술적인 분석의 대표적인 도구입니다 . 볼린저밴드의 기본 원리를 살펴보면 주가의 변동이 표준정규분포 함수에 따른다고 가정하고 주가를 따라 위 아래로 폭이 같이 움직이는 밴드를 만들어 주가를 그 밴드를 기준선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

      볼린져밴드는 이동평균을 이용하는 가격대 분석이란 측면에서는 이동평균 채널과 유사하지만 , 가격 변동성 ( price volatility ) 분석과 추세분석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점과 적절한 매매시기를 알려주기 위해 가격 변동띠를 탄력적으로 변화시켜 만든 지표라는 점에서는 이동평균 채널보다 더 발전된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통상적으로 이 볼린저 밴드와 비교해 볼 수 있는 것은 Envelop 밴드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볼린저 밴드의 경우 상 하한 폭을 표준편차로 결정하게 되는데 Envelop 의 경우 종가 이동 평균값의 일정한 가격만큼 ( 예를 들어 +-3%, +-5%, +-10%) 을 설정한 것입니다 .
      볼린저 밴드나 Envelop 밴드 모두 상하한선에서의 주가 모멘텀에 따라 매매하는 법칙은 비슷할 수가 있지만 , 볼린저 밴드와의 차이점은 Envelop 밴드의 경우에는 주가의 변화에 따라 상하한선이 일정하게 변하고 , 볼린저 밴드는 가격 변동크기에 따라 상하한선이 탄력적으로 변동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

      즉 Envelop 밴드는 추세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에 반해 볼린저 밴드는 추세와 함께 변동성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 이것이 볼린저 밴드가 만들어지고 이를 해석하는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볼린저밴드는 주가가 상한선과 하한선을 경계로 등락을 거듭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하고 있으며 , 주가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중간의 이동평균선과 상단밴드 그리고 하단밴드의 세 개의 볼린저 밴드 및 MACD 밴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이 때 이동평균선을 추세중심선으로 사용하며 상하한 변동폭은 추세중심선의 표준편차로 계산하게 됩니다 .

      주가는 90% 이상 볼린저밴드 내에서 수렴과 발산을 반복하면서 움직이게 됩니다 . 그리고 가격변동 띠의 폭이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크거나 , 큰 상태에서 줄어들 경우에는 볼린저밴드를 매도와 매수가 과도하게 집중된 상황을 반영하는 지표로 볼린저 밴드 및 MACD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

      주가는 일정한 기간 동안 과매수나 과매도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거나 낮은지의 여부를 알면 다른 지표의 해석능력을 높여줘 거래타이밍문제 해결에 매도와 매수시기를 가늠할 적기를 선별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 또한 주가의 상대적인 가격 수준과 변동성의 확인 외에도 가격 움직임이나 기타 지표들과 결합해 시그널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주가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볼린저 밴드 상단선 , 중간선 , 하단선의 공식

      - 상단선 : 20 일 동안의 주가 평균값 + 20 일 동안의 주가 표준편차 값의 2 배
      - 중간선 : 볼린저 밴드 및 MACD 20 일 동안의 주가 평균값
      - 하단선 : 20 일 동안의 주가 평균값 - 20 일 동안의 주가 표준편차 값의 2 배

      여기서 상단과 하단선에 표준편차를 사용한 이유는 표준편차를 구하는 공식을 확인해보면 알 수 있게 됩니다 .

      그 공식을 간단히 살펴보면 , 표준편차를 구하기 위해서는 편차의 음수를 제거하기 위해 제곱을 하고 다시 제곱근을 하여야 합니다 . 그렇기 때문에 원래의 편차 값보다 큰 값이 적용되고 , 이로 인해 작은 변화가 크게 확대되어 나타납니다 . 이로 인해 기존 추세와 다른 가격 변동이 발생하면 밴드는 급격하게 변하게 되며 이를 포착하기가 쉬워집니다 .

      또한 , 표준편차의 경우 2 차 함수로 표현되기 때문에 연속적인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용이하며 , 일정 기간의 가격에 대한 변동성 측정치이므로 가격변동이 심할 때에는 변동폭이 좁아지는 자기조정 기능을 발휘하기도 합니다 .

      이렇게 만들어진 볼린저 밴드는 기술적인 분석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에게 가장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투자 기법으로 다루어 지고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 이 볼린저 밴드를 활용할 수 있는 투자기업을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첫 번째 투자기법은 밴드 자체의 폭이 수축하거나 , 확장하는 변동성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 존 볼린저 밴드 및 MACD 볼린저는 밴드 자체의 폭이 축소되면서 밀집구간을 거친 후에는 상단 밴드를 돌파할 때 주식을 사들이고 , 하단 밴드에서 하향 이탈할 때 주식을 공매도 하라고 볼린저 밴드 및 MACD 충고하고 있습니다 . 볼린저밴드에서 밴드 자체의 폭이 수축한다는 것은 주가의 가격변동이 적은 안정기에 접어 들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 그 이후에는 하나의 추세를 나타 낸다는 것을 전제하는 것입니다 . 이 때 상단 밴드를 돌파하면 그 주가는 상승 추세를 가진다는 의미합니다 .

      두 번째 투자기법은 상단 , 하단 밴드와 지표를 볼린저 밴드 및 MACD 활용하는 추세 추종기법입니다 . 주가가 이동 평균선을 기준으로 상단 밴드 ( 저항선 ) 에 접근할 때 각종 지표들이 주가의 강세를 확증하면 매수하고 , 주가가 하단 밴드 ( 지지선 ) 에 접근할 때 지표가 주가의 약세를 확증하면 매도하는 방법입니다 . 이 때 저항선과 지지선을 기준으로 매수매도를 결정하여야 하며 , 만약 돌파시에는 현 추세가 지속되기 쉽다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

      세 번째 반전기법으로 복수의 밴드 접촉과 지표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 주가가 상단 밴드를 여러 번 건드리는 반면 주가지표는 점진적 약세를 보일 때 , 그리고 주가가 하단 밴드를 여러 번 건드리는 반면 지표는 점진적 강세를 보일 때 주가흐름의 반전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그리고 밴드의 가격대를 벗어난 이후 주가가 다시 가격대로 재진입하는 경우에도 추세의 반전을 예측 할 수 있습니다 .

      볼린저밴드의 평가와 주의 사항

      볼린저밴드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주가와 거래량 , 그리고 변동성입니다 . 주가와 거래량을 통해 기술적인 측면을 살핀다면 변동성에는 기업의 실질가치와 투자 심리가 반영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때문에 이 둘을 결합한 볼린저밴드가 기술적 분석과 기업 경영지표 분석의 통합 수단으로서 합리적 투자결정의 토대가 된다는 것이 기술적인 분석가들의 주장이지만 , 여전히 정규 투자이론을 따르는 축에서는 그 가치를 인정하는데 미온적인 것이 현실 입니다 .

      그들은 차트의 움직임만으로 어떤 기업의 주식가치를 따지는 것 자체가 무리라는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 한 연금펀드 운용자는 “ 볼린저밴드라는 말이 전문적인 투자용어로 보여도 사실은 증권방송 출연하는 분들이 근거로 내세우는 기술적인 지표분석의 도구에 불과하다 ” 고 말하였고 , 이 운용자는 “ 결국 개인 투자자들은 이런 식의 차트 분석을 통한 단기투자에 매달리기보다는 기업의 본질가치를 보고 장기투자에 나서는 것이 좋다 ” 볼린저 밴드 및 MACD 고 충고하기도 하였습니다 . 즉 볼린저밴드도 결국엔 보조지표 중에 하나이기에 보조지표로만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주식을 바라보는 관점을 시황 , 업황 , 추세 , 모멘텀등을 우선체크하고 나서 보조지표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 투자시에 이 점을 유념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볼린저 밴드 및 MACD

      데이터는 KRX 한국거래소 주식 데이터 2020년 5월부터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습니다.

      • MACD는 장단기 이동평균선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하려는 기법으로 제럴드 아펠(Gerald Appel)에 의해 개발되었다.
      • 오실레이터는 토마스 아스프레이에 의해 추가되었다.
      • 흔히 주가추세의 힘, 방향성,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 MACD의 원리는 장기 이동평균선과 단기이동평균선이 서로 멀어지게 되면(divergence) 언젠가는 다시 가까워져(convergence) 어느 시점에서 서로 교차하게 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두 개의 이동평균선이 멀어지게 되는 가장 볼린저 밴드 및 MACD 큰 시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기본 공식

      • MACD : 12일 지수이동평균 - 26일 지수이동평균
      • 시그널 : MACD의 9일 지수이동평균
      • 오실레이터 : MACD값 - 시그널값

      DataFrame.ewm(self, com=None, span=None, halflife=None, alpha=None, min_periods=0, adjust=True, ignore_na=False, axis=0)

      Provide exponential weighted functions.

      지수이동평균(Exponential Moving Average)은 과거의 모든 기간을 계산대상으로 하며 최근의 데이타에 더 높은 가중치를 두는 일종의 가중이동평균법

      두나무(대표 이석우)는 12일,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 이용자에게 가장 인기 높은 보조지표 순위 Top 5을 공개했다.

      업비트는 투자자가 암호화폐 차트 분석 시 가격 변동 패턴, 중장기적 추세 등에 대해 더욱 포괄적이고 실용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플랫폼별 특화된 차트 기능을 제공 중이다.

      작년 PC 웹에 차트 분석 아이디어 공유 서비스인 트레이딩뷰 차트와 매수/매도의 호가 누적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마켓뎁스 차트를 추가했고 지난 1월 29일에는 안드로이드와 iOS 앱에 새로운 보조지표 7개를 추가하고 차트 화면 분할 기능, 보조지표 상세값 노출, 보조지표 중복 설정 등의 신규 기능을 선보이며 차트 및 보조지표 기능을 대폭 개선했다.

      2020년 1월 6일부터 2월 5일 한 달간 업비트 이용자의 차트 이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기본 보조지표인 이동평균선 외 가장 많이 설정된 보조지표 1~5위는 일목균형표, 볼린저밴드, 매물대, 볼린저 밴드 및 MACD 상대강도지수 (RSI), 이동평균수렴 (MACD) 순으로 집계됐다.

      일목균형표 차트는 전환선, 기준선, 후행 스팬, 선행 스팬 1, 선행 스팬 2 다섯 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여러 단위 기간에 대한 지표를 단일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 후행성을 띄는 보조 지표와 달리 선행성까지 갖추고 있어 향후 시장 추세를 예상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2위는 주식 차트 분석에서도 많이 이용되는 보조지표인 볼린저밴드이다. 일반적으로 상위 (Upper) 밴드 및 하위 (Lower) 밴드 볼린저 밴드 및 MACD 초과 여부에 따라 시장의 과매수,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고 밴드의 폭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을 분석하는 도구로 활용된다.

      VPVR(Volume Profile Visible Range)로도 불리는 지표로, 매물대가 집중되어 있는 가격대를 가로형의 막대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일정 가격 구간에 거래된 물량을 확인하고 해당 암호화폐의 지지선 및 저항선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4위 상대강도지수 (Relative Strength Index, RSI)

      RSI는 특정 암호화폐의 과매도 및 과매수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된다. 기간 설정 후 RSI 볼린저 밴드 및 MACD 지표가 과매수일 경우 매도, 과매도일 경우 매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 전략이다. 단, 절대적인 지표가 아니기 때문에 해당 암호화폐의 특성과 타 보조지표를 감안한 종합적인 판단이 중요하다.

      MACD는 이동평균선의 지표의 진화형으로, 단기 이동평균값과 장기 이동평균값간의 차이인 MACD 곡선과 신호 (Signal) 곡선의 교차 시점을 기반으로 암호화폐 매수, 매도 시점을 판단한다. 간편한 사용성과 시각적 편의성 때문에 가장 대중적으로 이용되는 투자 보조지표 중 하나다.

      업비트 담당자는 “기존 금융 투자 시 익숙한 보조지표들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나 고객들의 투자 지식이 날로 높아지고 있어 각자 전략에 따라 다양한 기술적 분석 도구들을 활용 중”이라며, “올해 1월 모바일 앱 업데이트에 이어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계속 차트 기능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