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빅테크 대응 플랫폼 도약] 윤종규, 확장형·맞춤형 앱 전략…‘리딩 금융플랫폼’ 노린다
기사입력 : 2021-11-29 00:00
(최종수정 2021-11-29 00:19)
혁신 플랫폼 목표…비금융·생활 콘텐츠 강화 분주
슈퍼앱 시도…플랫폼서 계열사 시너지 끌어올리기
이미지 확대보기
윤종규 닫기 윤종규 기사 모아보기 KB금융그룹 회장은 디지털 서비스 혁신을 통해 금융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 실행에 힘을 싣고 있다. KB금융은 모든 계열사 영업점과 모바일·인터넷, 고객 상담센터의 옴니 채널화와 끊김 없는(seamless) 서비스 체제 구축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핵심 자회사별 디지털 금융 역량을 끌어올리는 한편 통합서비스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특히 주요 애플리케이션(앱)을 금융서비스뿐 아니라 생활서비스까지 가능한 디지털 플랫폼으로 전환시켜 고객 접점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최근 10대 전용 앱 ‘리브 넥스트(Next)’를 출시했다. 리브 넥스트는 미래 잠재성장 고객인 Z세대 고객에 특화된 금융플랫폼이다. 신분증이 없는 만 14세에서 18세 고객에게도 전용 선불전자지급 수단인 ‘리브포켓’을 제공하는 점이 특징이다.
리브포켓은 10대 고객이 본인 명의 휴대폰 인증을 통해 직접 개설할 수 있으며 고유번호가 부여돼 계좌 없이도 금융 거래가 가능하다. 수수료 없이 송금하거나 입금할 수 있고 자동입출금기기(ATM)도 이용할 수 있다. 간편결제 기능도 있어 카드 없어도 KB페이의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도 가능하다.
국민은행은 KB금융의 상품과 콘텐츠와 연계해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Z세대 고객의 첫 금융을 함께할 추가 서비스로 리브포켓 이용 고객을 위한 저축과 AI(인공지능) 기반의 금융서비스 등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민은행은 지난달 27일 모바일뱅킹 앱 ‘KB스타뱅킹’도 개편해 새롭게 선보였다. 새 KB스타뱅킹은 KB금융그룹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확장형 종합금융플랫폼이다. 국민은행 내 흩어진 앱뿐 아니라 KB금융 내 6개 계열사 앱도 하나로 모았다. 여러 금융서비스를 하나의 앱으로 통합해 트래픽을 집중시키는 카카오와 토스 등 빅테크의 ‘슈퍼 앱’ 전략이다.
KB금융은 은행을 넘어 계열사와 외부 제휴서비스까지 확장한 앱으로 윤 회장이 강조하고 있는 ‘넘버원(No.1) 종합금융플랫폼으로의 도약’을 위한 기반을 다진다는 방침이다.
앞서 윤 회장은 지난 9월 창립 13주년 기념사를 통해 “국내 금융업은 디지털과 모바일 중심의 비대면 가속화로 전통 금융회사와의 경쟁을 넘어 플랫폼 기업과의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며 “‘뉴 스타뱅킹’을 중심으로 넘버원 금융플랫폼을 구축하고 리브부동산, KB차차차, KB헬스케어, 리브모바일 등 비금융 플랫폼을 강화해 고객 접점을 확대하자”고 주문했다.
KB증권은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마블(M-able)에서 해외주식투자 맞춤형 거래 플랫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KB증권은 지난 2019년 환전 수수료 없이 원화 증거금으로 해외주식을 거래하는 ‘글로벌원마켓’(Global One Market) 서비스를 내놨다. 글로벌 원마켓의 가입자 수는 지난달 15일 기준 102만여명을 기록했다.
올해 1월에는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미국 주식 실시간 시세를 무료로 제공하는 ‘실시간 라이트(Lite)’를 오픈하고 8월 중국 주식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장했다. 라이브 커머스와 주식거래를 접목한 MTS ‘M-able 미니’도 출시했다. 주식 전문가가 출연해 분석하는 종목을 방송화면으로 보면서 바로 주식을 주문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초보자도 쉽게 주식거래를 접할 수 있도록 주식거래에 맞춤형 거래 플랫폼 해당하는 기능과 콘텐츠만으로 앱을 구성했다.
KB국민카드는 지난해 10월 출시한 ‘KB페이(KB Pay)’의 생활편의 서비스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KB페이는 앱카드의 기능 개선을 통해 결제 편의성과 확장성을 높인 종합금융플랫폼이다. 별도의 추가 앱 설치 없이도 하나의 플랫폼에서 계좌 간편 송금, 해외 송금, 외화 환전 등 금융서비스와 멤버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국민카드는 지난달 KB페이의 ‘모바일 교통서비스’를 개선하고 원격으로 학원비 결제가 가능한 ‘리모트 결제서비스’를 추가했다. KB페이 앱을 통해 이용 가능한 멤버십 서비스도 기존 CU와 GS25 두 개 브랜드에 현대백화점, 현대오일뱅크, LG전자, 아시아나항공 등 20여개 브랜드로 확대했다.
KB캐피탈의 경우 중고차거래 플랫폼 ‘KB차차차’의 맞춤형 서비스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연말 KB차차차에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탑재해 자동차 영역에 특화된 데이터 기반의 자동차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마이데이터와 결합된 데이터를 이용해 최적화된 차량 구매계획 수립 지원, 차량 유지 정보, 맞춤형 금융상품 추천 등 자동차 생애 주기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KB차차차는 지난 2016년 6월 서비스 개시 이후 2019년 20만명, 2020년 50만명 등 꾸준한 가입자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최근에는 가입자 500만명을 돌파했다. KB캐피탈 관계자는 “최근 가입자 수 증가는 차 등록만으로 차량의 종합 관리가 가능한 ‘내차고’ 서비스가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난 7월 전면 개편 출시된 ‘내차고’ 서비스는 본인 소유의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내차 시세, 리콜정보, 정기검사, 보험정보, 사고이력 등 내차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 제공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KB금융은 다음달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 서비스도 주요 계열사 앱 고도화의 핵심 전략으로 삼고 서비스 경쟁력 강화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KB금융 계열사 가운데 현재까지 마이데이터 사업자 본허가를 취득한 곳은 국민은행, 국민카드, KB증권, KB손해보험, KB캐피탈 등이다.
국민은행은 핀테크사의 데이터를 결합한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으로 마이데이터 사업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이 일환으로 자산·지출관리 앱 ‘KB마이머니’에서 마이데이터 사업을 적용한 ‘신용관리서비스’와 ‘자동차관리서비스’를 새롭게 출시했다.
KB증권은 금융자산 통합조회 외에도 포트폴리오 진단, 고수의 픽(Pick) 등 투자와 관련된 다양한 마이데이터 분석 콘텐츠를 준비하고 있다.
KB손해보험은 내년 1분기 중 마이데이터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하고 맞춤형 거래 플랫폼 있다. 모바일 플랫폼 KB손해보험 앱 내에 ▲개인자산관리서비스(PFM) ▲오픈 인슈어런스 ▲헬스케어 연계 등을 중심으로 세부 서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KB금융 관계자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해 전문적 자산관리 노하우와 전문화된 데이터 연계 기술, 오프라인 네트워크 등을 접목하고 끊김 없는 자산관리서비스와 최적의 맞춤형 금융상품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맞춤형 거래 플랫폼
어떤 업체와 거래 할지 고민되시나요?
어떤 업체와 거래 할지 고민되시나요?
X
No.1 전문업체 소싱 플랫폼
캐스팅엔
검증된 업체들과 의미 있는 업무를 완성하세요
그려지고, 안심되고, 완성되는
IT 아웃소싱의 세 가지 답을 찾다.
일일이 견적을 받고
비교하고 선택하는게 불편하셨죠
견적과 제안이 필요했던 기업 간의
구매 방식을 바꾸고 있습니다
원하는 업체를 지금!
소싱 해보세요.
원하는 조건의 전문 업체를 찾기가 어려우셨죠?
CASTING N FEATURE
당신의 외주 구매팀 캐스팅엔
처음 진행해보는 분야의 외주 업체가 필요 하신가요?
기존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소싱하길 원하시나요?
캐스팅엔 매칭 시스템으로,
당신에게 맞는 최적의 업체를 소싱 해보세요
전문가가 당신의 고민을 함께 해드립니다.
간단한 내용으로 의뢰를 남겨보세요!
상담가가 예상 견적부터 진행 가이드까지 기초적인 컨설팅을
24시간 이내 즉시 상담 드립니다.
10만 여개 공급업체
DB시스템
캐스팅엔에서 10만개 업체 데이터 확인하시고,
최적의 업체를 찾으세요.
업체별 특장점, 업력, 재무 정보,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우리 회사에 맞는 최적에 업체를 찾아보세요.
AI 및 전문가 매칭으로 최적의 업체를 연결 드립니다.
IT/인사총무/마케팅 다양한 의뢰가 진행 가능합니다.
업무 분야마다 최소 3시간 ~ 최대 2주일 이내에 의뢰건마다
의뢰 상황에 맞는 최적의 기업을 연결 드립니다.
안전하게 소싱 맞춤형 거래 플랫폼 거래 진행 하세요.
계약서검토, 대금보호(에스크로)서비스, 계약이행 보증보험 발급,
계약 이행간 분쟁 조절 등 SAFE 거래 시스템으로
소싱거래를 안전하게 진행하세요
간편하고 신속한 소싱 절차
실시간 소싱 신청현황
소싱을 신청하신 고객님들의 실시간 현황입니다.
북미 대상으로 META 광고 전문 대행사를 찾습니다.
- 예상비용 : 30,000,000 원
- 진행일자 : 1개월 미만
비대면 멘탈케어 서비스입니다. 국내 정식 서비스 출시에 이어서 글로벌 베타 서비스를 출시했는데요.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META를 활용한 광고를 진행하려 했으나, 계속해서 명확히 알수 없는 이유로 제재를 받아 광고를 운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초기에는 국내의 광고 소재와 유사하거나 그대로 번역하여 소재를 등록하여 광고를 운영했으나, 1~2일 지나면 광고 정책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계정을 제재당했습니다. - 그 후에는 광고 소재 내의 이미지 혹은 설명 문구 중에 개인을 칭할 수 있는 (you, individual 등) 단어나 내용을 전부 제외하여 운영했지만 동일하게 제제당했습니다. 페이스북에서 공식적으로 알려주지도 않고, 해외 ref를 찾아보더라도 정답이 없다는 글들만 나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저희가 원하는 것은 META를 통해 북미에서 정상적으로 광고를 운영하는 것입니다. 이에, 북미에 META 광고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계신 광고대행사를 찾습니다. 특히, 북미에서 광고를 운영해본 경험 뿐만 아니라 멘탈케어 혹은 헬스케어 분야에 어느 정도 일가견을 갖추고 계신 대행사였으면 합니다. 첨부파일의 경우 B2B 전용 자료로 참고 정도로만 봐주시고 B2B가 아닌 B2C 광고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마케팅 통합마케팅(퍼포먼스, 브랜딩 외)
신규 런칭 브랜드(맘앤베이비 스킨케어 및 건기식) 대행사 선정의 건
- 예상비용 : 20,000,000 원
- 진행일자 : 1개월 미만
8월 중순 런칭을 준비하고 있는 맘앤베이비 케어 브랜드입니다. (유명 병원 계열사) 스마트스토어, 쿠팡을 중심으로 인지도를 쌓은 후 자사몰은 향후 확장 예정입니다. 내부 마케팅 팀은 있으나 해당 브랜드는 TF개념으로 출시한터라 실무자 1인과 대행사를 중심으로 마케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계약기간의 경우 2022년 8월~12월 예상합니다. (연장 여부는 연말 검토) 예산은 올해말까지 1억 책정되어 있으며 대행사 선정 및 계약은 7월 이내 완료 희망합니다. 현재 프로덕트는 하기와 같습니다. 1. 보습로션 2. 보습크림 3. 헤어, 바디 워시 ※ 의뢰 참여하실 경우 별도로 브랜드/제품 소개서는 캐스팅엔 매니저가 공유드리겠습니다. 참여 원하실 경우 회사 업무 가능 범위가 담긴 소개서 및 유사 업종/타겟 마케팅 레퍼런스를 함께 송부 부탁드립니다. 이후 지정된 대행사와 논의 후 견적 믹스 제출 프로세스로 진행 할 예정입니다.
마케팅 소셜 계정 관리 대행
B2B 제조 기업_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계정 관리 대행사 모집
- 예상비용 : 4,500,000 원
- 진행일자 : 1개월 미만
B2B - 화학 첨가제 제조 기업입니다 (기능성 액상 항균/항바이러스 첨가제 취급)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계정 개설부터 시작하여 월에 양질의 콘텐츠를 올리는 과업을 대행사께 맡기고자 합니다. 월 예산은 4,500,000원 미만으로 책정 예정이며 네이버 블로그/포스트 모두 운영해야 합니다. 포스팅 내용은 미러링 방식으로 유념하고 있습니다. 포스팅 수량에 대해서는 대행사와 협의가 필요하므로 월 계정 관리비(고정비)와 더불어 1건당 포스팅 비용 기재 부탁드립니다. 분량이나 포스팅 퀄리티를 확인할 수 있도록 대행사에서 기술하셨던 포스팅 URL 견적서에 함께 송부 부탁드립니다.
실리콘밸리 게임 회사_채용브랜딩 SNS 채널 콘텐츠 제작 및 운영 대행 요청
- 예상비용 : 100,000 원
- 진행일자 : 1개월 미만
1) 프로젝트 명 - ooo게임회사 채용브랜드 SNS 제작/운영 (회사명은 입찰참여 후 채용 마이크로 페이지 확인 요망) 2) 수행 기간 - 계약일로부터 3개월 단위(향후 연장여부 결정) 3) 예산/일정 - 협의 가능 4) 운영 채널 - 영상 플랫폼 1개(유튜브), 이미지형 플랫폼 1개 (인스타그램 or 페이스북 등) 5) 프로젝트 범위 [채용SNS 채널 콘텐트 제작 및 홍보 전략 맞춤형 거래 플랫폼 수립/실행] - SNS 채널 콘텐츠 제작 및 운영 - 유튜브 영상 주 1회 릴리즈(5분 이내), 이미지형 플랫폼 주 2회 릴리즈 (원 소스 멀티 유즈 가능) - SNS 채널의 활동 분석 및 인사이트 도출 - 분기별 마케팅 계획 수립 - SNS 유저와의 커뮤니케이션 관리 - 본 관련 이미지, 동영상 등에 대한 저작권 이슈 커버 * 채널 및 컨텐츠 샘플 EX1) 유튜브 채널 및 컨텐츠 샘플 : https://www.youtube.com/watch?v=wuf6wtxGnno EX2) 인스타그램 채널 및 컨텐츠 샘플 : https://www.instagram.com/p/CevZEM3v0qA/?utm_source=ig_web_copy_link 6) 업체 선정 기준 - 때깔 : 콘텐츠 직접 제작 역량 및 창의성/전문성 - 센스 : 온라인 트렌드 반영 및 이슈 대응능력 예산은 미정이며 대행사에서 제시해주는 견적 및 포트폴리오 검토 후 결정 예정입니다. SNS채널 개설(유튜브 채널, 인스타 OR 페이스북 채널)부터 시작이 필요합니다. 채용 마이크로 페이지는 개설완료 되었습니다. 유사 포트폴리오 및 2번 - [프로젝트 범위]에 따른 월별 견적 제안 부탁드립니다.
마케팅 소셜 계정 관리 대행
레시피 어플리케이션 인스타그램 계정 운영, 앱 내 이벤트 배너 디자인
- 예상비용 : 3,500,000 원
- 진행일자 : 1개월 미만
레시피 어플리케이션 인스타그램 SNS운영 및 앱 내 삽입될 이벤트 배너 디자인 인스타그램 포스팅 수 : 월 10~15회 이벤트 배너 : 월 5건 예상 업무 시작은 8월터 10월 3개월 예상 월 예산 상한 3,500,000원 예상 유사 업종 레퍼런스 및 견적 제안 부탁드립니다.
마케팅 통합마케팅(퍼포먼스, 브랜딩 외)
오프라인 사진관 네이버 기반 광고 집행
- 예상비용 : 3,000,000 원
- 진행일자 : 1개월 미만
전국 50여 곳의 오프라인 사진관의 네이버 기반 광고 집행 및 몇 개 특수 업장에 관하여 추가 온라인 광고 집행 현재까지는 3-4군데 주력 매장을 정해서 플레이스 광고, 체험단 등을 진행했으나 금번은 50개 매장 전체를 플레이스 광고 집행할지 여부 고민 중 사진관의 경우 롯데마트 안에 입점된 형태가 많고 집중해서 광고를 집행했던 지역은 주로 수도권이 많았습니다. 지역광고 경험 및 바이럴 사례를 많이 보유한 업체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서비스 플랫폼 맞춤형 거래 플랫폼 출시 전 사전 회원 확보용 영상 제작 견적 의뢰
- 예상비용 : 5,000,000 원
- 진행일자 : 1개월 미만
서비스 플랫폼 출시를 앞두고 사전에 판매자와 구매자를 확보해두기 위한 영상입니다. 새로운 플랫폼 coming soon! 어서 판매자와 구매자가 되어 경쟁기업보다 더 빠르게 기회를 얻어라 지금 가입하면 특별한 혜택을 제공한다라는 메세지가 가면 됩니다. Stock과 실사촬영 등 제안 부탁드립니다. 현재 희망하는 방향은 아래의 영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w-NI2YLHjw
네이버/구글 검색 엔진 최적화
- 예상비용 : 7,500,000 원
- 진행일자 : 1개월 미만
신규런칭서비스의 네이버, 구글 검색최적화 의뢰드립니다. (테크니컬, 컨텐츠, 링크빌딩)
마케팅 통합마케팅(퍼포먼스, 브랜딩 외)
2030직장인 타겟 웹/앱 서비스 광고 대행사 모집
- 예상비용 : 5,000,000 원
- 진행일자 : 1개월 미만
자사는 국내 정상 방송사이며, 2030 세대를 위한 145만 구독의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였고 올해 뉴스 큐레이팅 공식앱이 지난 5월 출시 되었습니다. 뉴스레터, 카드뉴스, 유튜브 콘텐츠 등 자체 제작 콘텐츠들을 한곳에서 볼 수 있는 웹/앱 서비스로 2030 직장인 남녀가 타깃입니다. 해당 앱 다운과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구글,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마케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현재 내부적으로 구글 앱 캠페인(Android)은 진행 중입니다. 추가로 구글(iOS), 페이스북(android, iOS) 앱설치 광고가 필요합니다. (구글은 앱이 등록되어있으며, 페이스북은 메타 디벨로퍼 앱 추가부터 진행해야합니다.) 1개월 간의 캠페인 집행 결과에 따라 추가 예산 편성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500만 원은 VAT 포함가이며 견적 제출시 유사업종 / 목표 관련 포트폴리오(소재제작 사례 등) 부탁드립니다. ** 참여하신 대행사에 한해서 사업 소개서 별도로 캐스팅엔 매니저가 공유드릴 예정
투자전문회사 사무실 인테리어 견적 의뢰의 건
- 예상비용 : 300,000,000 원
- 진행일자 : 3개월 미만
1.5개층 총 130평 정도의 사무실 인테리어 진행예정 - 1개층 사무공간 - 0.5개층 헬스시설 및 라운지 기존 사용중이던 사무실을 리모델링 예정
Java/Spring 중급 개발자 파견 [4개월 /근무지 판교]
- 예상비용 : 32,000,000 원
- 진행일자 : 6개월 미만
1. 투입기간: 4개월 3. 근무지: 판교 [경력] 5년차 이상 [필수사항] - Java/Spring 기반 서비스 개발경력 3년 이상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또는 Spring Framework 개발 경력 - RDBMS(ORACLE, TIBERO) 통계쿼리(분석함수, 집계함수) 작성 가능자 -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우대사항] - DB PL/SQL(Procedure 등) 생성 및 활용 능숙자 - Front -End 개발언어(WEBIX) 사용 경험자 - 분석/설계 가능
- 예상비용 : 22,000,000 원
- 진행일자 : 6개월 미만
회귀분석 모델 웹 구현 배포 및 서빙(Python/R)
- 예상비용 : 35,000,000 원
- 진행일자 : 3개월 미만
프로젝트 개요 : - 회귀분석 모델 웹 구현 배포 및 서빙 의뢰 목표 : - 모델이 코드 단위로 개발 완료되어 있어 background로 모델이 돌아가도록 만들고, 숫자 입력 등 user-friendly 하게 모델을 배포하고자 함 - 또한, 해당 프로젝트는 연구용이 아닌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인허가를 위한 제품임. 현재 준비 상황 : - 모델 개발 완료. 필요 요소 : - 웹 디자인 및 퍼블리싱 - 웹 프론트엔드 개발 - 서버 구축 및 백엔드 개발 개발환경/언어/방식 : - 모델은 Python, R로 개발되었습니다. - 웹 개발 언어는 제안 부탁드립니다. 요구 사항 : - 사이트 용도: 전립선 조직검사 시행 여부에 대한 임상의의 의사결정을 도와 진단을 보조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개발 - 전체 개발이 아닌 유저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개발된 모델을 적용하여 결과를 보여주는 페이지/기능에 대한 개발 주요 기능 : - input 데이터 수치 입력 후 모델 결과 산출 산출물 : - 디자인 원본 파일 - 개발 원본 소스코드 기타 참고 사항/유의 사항 : - 연구 목적이 아닌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인허가를 위한 제품임을 염두에 두고 진행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웹사이트 리뉴얼(1건) 및 신규제작(1건) + 유지보수
- 예상비용 : 10,000,000 원
- 진행일자 : 3개월 미만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하셔서 견적 부탁드립니다. 일정은 총 20일 정도 생각하고 있으며 디자인은 저희쪽에서 완성하여 전달 드릴 예정이니, 개발 및 유지보수(22년 12월까지) 건에 대한 견적만 요청 드립니다.
클라우드 매니지먼트 플랫폼 UI/UX 구축 및 API 연동 포탈 개발
- 예상비용 : 160,000,000 원
- 진행일자 : 6개월 미만
1. 개요 : 글로벌 클라우드 매니지먼트 플랫폼(CMP) 솔루션을 활용하기 위한 서비스 소개 웹사이트 UI/UX 구축 및 API 연동 포탈 개발 2. 구축범위 맞춤형 거래 플랫폼 ① 서비스 소개 웹사이트 구축 : 약 30페이지 이상, 모바일 대응, 인터렉티브 영상 포함으로 세부적인 구축범위는 협의 진행 ② 사용자 Console Web 개발(솔루션과 API 연동 개발) : CMP솔루션과 API 연동을 통한 포탈 개발로 클라우드서비스 신청, 네트워크/보안 관리 등 개발 구축 ※구축 개발은 1차/2차로 개발범위를 나뉘어 진행 3. 일정 : 약 4개월 예상 3. 기타사항 : 세부 구축 범위 및 요구조건에 대해서는 별도 안내
개발된 안드로이드 앱을 아이폰 iOS 앱으로도 개발
- 예상비용 : 40,000,000 원
- 진행일자 : 6개월 미만
헬스케어 앱을 저희가 안드로이드로 개발해놓은 상태입니다. 자체적으로 개발된 안드로이드 앱, API서버는 이미 보유중입니다. 여기서 몇몇 기능을 추가하여 iOS용 앱을 외뢰하고 싶습니다.
- 예상비용 : 20,000,000 원
- 진행일자 : 3개월 미만
[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 소개 : 메타 쇼핑 모바일 앱 타겟 유저 : 일본 2030 여성 외주 인력 : 기획, 디자인, 개발 참고 앱 : 지그재그, 에이블리, 브랜디 산출물 : 기획 문서, 디자인 파일, 개발 소스코드 MVP 화면 흐름도 아래 링크 참고 https://www.figma.com/file/5GP5V8mbGp8pXs8TmmbE2g/%EB%A9%94%ED%83%80-%EC%87%BC%ED%95%91-%EC%84%9C%EB%B9%84%EC%8A%A4?node-id=3%3A9 [ 프로젝트 진행 계획 ] 당사는 쇼핑몰 통합 재고관리 솔루션을 서비스하는 개발 회사입니다. 신규 서비스를 위해 외주 개발사를 찾고 있으며, MVP 개발 이후 당사에서 인계받아 직접 수정, 운영할 계획입니다. 제시된 화면 흐름도에 담긴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상세 기획 및 디자인, 개발까지 전부 외주를 의뢰하고자 합니다. 프로젝트 참여 지원 회사와 온/오프라인 미팅을 진행하고 계약 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작업 중에 진척도 확인을 위해 온/오프라인 미팅이 가능해야 합니다. 상품, 재고, 배송 데이터는 당사에서 API로 제공합니다. [ 개발 범위 ] 상품 리스팅, 상품 찜 쇼핑몰 리스팅, 쇼핑몰 찜 앱 로그인 - 이메일, SNS (구글, 페이스북, 라인) 배송 현황 조회 배송 상태 변경시 이메일 알림, 푸시 알림 언어 번역(한국어, 일본어) - 번역본 당사 제공 * 앱 결제, 후기는 미포함입니다. 카페24 쇼핑몰을 웹뷰로 호출(최소 50개 이상, 더 늘어 날 수 있음) 하므로 앱에서는 구현하지 않습니다. *스토어에 등록은 직접 하신다고 하고. 앱 자체에 문제가 있어 반려시 해당 부분은 파트너가 수정 해야 합니다. *관리자 페이지 들어 갈 시 협의 가능 함. [ 기술 스택 ] Mobile Application : Flutter DB : MySQL (상용 서비스 AWS Aurora MySQL 사용 예정) Back-end : FastAPI (python) 선호. 기술스택 협의 가능. Admin web page Front-end : Vue.js - 웹 관리자페이지는 당사에서 구현이 가능하므로 선택 사항입니다. - 앱 개발이 강점인 외주사를 우선하여 찾습니다.
자사 플랫폼에 인플루언서와 상품간의 지능형 매칭이 가능한 모델을 도입 하려 합니다.
- 예상비용 : 100,000,000 원
- 진행일자 : 1년 미만
서비스 소개: 셀럽션(celebtion.com) 유통 및 제조사가 등록한 상품으로 인플루언서와 공유하고 판매를 연결할 수 있는 인플루언서 전용 서비스입니다. 인플루언서와 판매대행사, 유통 및 공급사를 잇고 판매까지 연결되는 중개 플랫폼입니다. 판매자, 공급사, 인플루언서로 구성되며 인플루언서는 판매자들에게 가입되어 해당 판매자의 상품을 홍보하며 판매로 이어질 경우 판매자로 부터 수수료를 지급받습니다. 공급사는 제조 및 유통사로 자신의 상품을 셀럽션 플랫폼에 등록하고 판매자를 통해 상품을 판매합니다. 요구사항 1. 상품 카테고리 추천 판매자, 공급사가 상품을 등록할 때, 상품에 대한 카테고리 추천. 현재 카테고리는 약 4000개(depth : 4)가 설정되어있으며 네이버 쇼핑 기준입니다. 상품명을 기반으로 키워드를 추출하여 카테고리가 추천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가능하다면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2. 인플루언서와 판매자간의 상호 추천 인플루언서가 셀럽션 플랫폼에 최초 자신의 성향(관심 카테고리)을 등록하면 추천시스템에서 비슷한 성향(카테고리)의 상품을 파는 판매자 추천. 자신과 비슷한 성향의 인플루언서들이 선택한 판매자도 추천. 상황에 맞는 판매자 추천 (현재가 여름이면 여름 상품을 많이 판매하는 판매자 추천) 3. 판매자와 공급사 상품간 추천 판매자에게 자신의 성향과 비슷한 공급사가 등록한 상품 추천. 상황에 맞는 상품 추천 (현재가 여름이고 판매자 성향이 여성옷이라면 여름 여성용 옷 상품을 추천) 4. 별도의 서버에 추천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존 서비스들과는 AP 를 통하여 통신. 5. 인플루언서 SNS(인스타그램)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향분석하여 가입된 유사 인플루언서와의 유사도 추출 입력 된 인스타그램 아이디로 인스타그램 페이지를 분석 하여 성향(카테고리) 분석. 분석 된 성향으로 유사 인플루언서 선별.
- 예상비용 : 5,000,000 원
- 진행일자 : 6개월 미만
다음 지도를 활용하여 도로 위에 맨홀의 위치를 표기하고 위치를 클릭시 맨홀의 정보 (이름, 주소)가 출력 안드로이드 , IOS , 하이브리드앱 지도의 기능 - 확대 및 축소 가능 - GPS 이용해 현재 맞춤형 거래 플랫폼 위치와 방향 확인가능 - 로드뷰, 스카이뷰 모두 사용가능 - 캡쳐 버튼 삽입 - 맨홀이름과 주소 검색 기능 관리자 기능 - 정보(좌표, 주소, 이름) 입력 및 수정, 삭제
이 기사는 2022년 04월 15일 10:3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애드테크 기업 모티브인텔리전스가 맞춤형 광고로 국내·외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간 구축해온 프로그래머틱 광고 플랫폼 덕분에 광고업계의 변수인 '쿠키리스(Cookie-less)' 환경에서도 회사 경쟁력은 더 높아질 전망이다. 이를 바탕으로 모티브인텔리전스는 2023년 기업공개(IPO)에 나선다.
애드테크 기업 모티브인텔리전스의 누적투자금액은 175억원 규모다. 한국투자파트너스, 우리은행, 비전에쿼티파트너스 IBK투자증권, 보광창업투자, 비하이인베스트먼트, 마그나인베스트먼트,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에버그린투자파트너스 등이 투자했다.
주요 재무적투자자(FI)들이 모티브인텔리전스에 자금을 투입한 이유는 무엇일까. 기술 진입 장벽을 쌓아 모든 광고 서비스를 커버할 수 있는 유일한 애드테크 기업이기 때문이다.
◇DSP 크로스타깃 출발, TV 프로그래머틱 개척
2014년 설립된 모티브 인텔리전스는 프로그래머틱 기반 애드테크 기업이다. 프로그래머틱은 매체와 광고주를 연결하는 경매 기반의 실시간 자동화 기술 프로그램이다.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가 사이트에서 접속하면서 생긴 방문기록(쿠키)으로 소비행태를 예측해 '맞춤형 광고'를 선택해 보여주는 방식이다. 광고 구매자와 판매자를 자동으로 연결해 디지털 광고를 거래한다.
회사를 창업한 양준모 대표는 한솔텔레콤, SK텔레콤, KT 등 통신사 플랫폼 서비스를 만들어온 SI(시스템통합) 전문가다. 이용자의 웹페이지 방문 이력을 분석해 구글 애드아이디와 매칭해 앱에 타깃하자는 아이디어로 시작했다. 특히 국내에는 앱 중심 DSP(광고주 플랫폼)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애드테크 맞춤형 거래 플랫폼 회사를 창업했다.
설립부터 회사는 PC부터 모바일, TV까지 기업 광고 마케팅 전 과정의 자동화할 수 있는 애드테크 플랫폼을 구축했다. PC와 모바일에만 한정됐던 프로그래머틱 광고 영역을 TV까지 확장해 2018년 국내 최초 IPTV기반 프로그래머틱 광고 플랫폼을 출시했다.
프로그래머틱 광고에는 4가지 플랫폼이 있다. 광고주가 비교적 맞춤형 거래 플랫폼 적은 예산으로 원하는 타깃층에 광고를 송출할 수 있는 DSP(광고주 플랫폼·Demand Side Platform), 광고지면을 보유한 온라인 매체가 광고를 판매할 수 있는 SSP(공급자 플랫폼·Supply Side Platform), 수요·공급 측을 연결해주는 경매 방식의 광고 거래 플랫폼 ADX(AD Exchange), 고객의 비실명 행동 데이터를 수집해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를 돕는 DMP(Data Management Platform) 등이다.
모티브인텔리전스는 이 플랫폼 라인업을 순차적으로 개발해 상용화했다. 특히 2017년 모바일에 나타난 개별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TV에 맞춤형 광고를 노출하는 TV전용 프로그래머틱 상품 개발에 성공했고 그 결과 연매출 누적성장률 70%를 돌파했다. CTV(커넥티드TV), DSP, ADX까지 모든 광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쿠키리스 광고시장 재편, 플랫폼 라인업 경쟁력
광고 시장 환경도 변화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타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2년 전세계 온라인 광고 시장 규모는 5155억달러다. 국내 온라인 시장 규모는 7조원을 넘어섰고 2019년부터 온라인 광고가 오프라인 광고 규모를 넘었다.
변수도 등장했다. 애플과 구글이 개인정보보호정책을 개편해 모바일 앱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적할 때는 이제 반드시 동의를 얻어야한다. 개인정보 동의 절차에서 동의 표시를 한 사용자의 정보만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옵트인(OPT-IN)방식으로 바뀌었다. 구글도 안드로이드 이용자 데이터를 앱 개발사, 광고회사인 제 3자와 더 이상 공유하지 않는다.
때문에 자체 고객 데이터가 충분히 확보된 기업들은 고객관계관리(CRM) 플랫폼을 CDP(Customer Data Platform)의 형태로 발전시키고 있다. 자체 고객 데이터에 DSP를 연동해 고객 맞춤형 광고를 직접 운영하거나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하다.
DSP를 비롯해 플랫폼을 완비한 모티브인텔리전스는 안정적인 기술력과 운영 노하우도 갖췄다. 이를 통해 기업들이 자체 DSP를 구축할 수 있도록 화이트라벨링(white labeling) 서비스를 제공한다. 롯데멤버스는 모티브인텔리전스와 업무협약을 통해 ‘딥애드(DeepAD)’ DSP를 출시,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했고 맞춤형 광고를 성공적으로 집행했다.
또 다른 회사의 경쟁력의 CTV(Connected TV)다. 작년 국내 애드테크사 중 최초로 CTV광고 상품을 출시해 국내 뿐 아니라 글로벌 CTV 광고를 집행하는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인터넷을 연결해 동영상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CTV이용자가 북미를 중심으로 급격하게 늘고 있다. 북미에서만 이미 5500만 가구가 CTV의 콘텐츠를 소비한다.
회사는 100여개 글로벌 파트너와 연동해 광고를 노출시킨 덕분에 매출은 증가 곡선을 그려가고 있다. IFRS 기준 매출은 2019년 26억원, 2020년 45억원 규모다. 2020년 하반기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500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2021년 매출은 114억원을 기록했다.
양준모 모티브인텔리전스 대표는 "쿠키 기반의 맞춤형 광고 시장과 기업 마케팅 양상의 변화는 예고됐다"라며 "모티브인텔리전스는 모바일, TV 광고 시장에 프로그래머틱 광고가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급변하는 시장에서 기업과 고객 모두 만족하는 광고 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 뉴딜 핵심 프로젝트인 ‘데이터댐’의 일환으로 구축한 농식품 빅데이터 플랫폼이 이달 25일 온라인 개소식과 함께 서비스를 정식 개시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농·산업계 유관기관과 거래소 구축에 참여한 14개 민간기업 관계자와 농식품 데이터 거래에 관심 있는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유튜브 실시간 방송을 통해 개소식을 진행했다.
지난해 9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데이터 플랫폼과 네트워크 구축사업의 농식품 부문 사업자로 aT와 7개의 데이터센터, 7개의 플랫폼 참여기업 등 총 15개 사업체가 구성한 컨소시엄이 선정돼 사업을 추진한 결과 농식품 빅데이터 거래소(KADX)를 출범하게 됐다.
농식품 빅데이터 거래소는 국내 농식품 분야의 빅데이터 생태계 조성과 데이터 유통 활성화를 목표로 농산물의 생산·저장·유통, 축산 생육정보 등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생산하는 다양한 데이터가 플랫폼을 통해 활발하게 거래될 수 있도록 시장조성자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빅데이터간 융복합·데이터 가공을 통해 농산물 출하자 추천서비스 등 수요자 맞춤형 고품질 데이터 분석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이원기 aT 디지털혁신단장은 “농식품 빅데이터 거래소에는 5개 분야 188종의 데이터가 유동되며 전국 도매시장 가격 비교와 품목별 출하지 추천, 농산물 물류정보 서비스 등 거래소만의 고유한 정보 분석 서비스도 제공한다”며 “앞으로 거래소가 크게 성장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격려를 부탁한다”고 밝혔다.
맞춤형 거래 플랫폼
우리은행, 고객행동정보 AI로 분석해 맞춤형 상품 추천하는 '개인화 마케팅' 도입
신한은행, AI금융 플랫폼 구축…금융서비스와 '삶의 질' 연계 맞춤형 서비스 예정
빅테크 금융업 진출 대응하고 경쟁우위 확보…"AI 발전으로 1:1 마케팅 현실화"
우리은행은 고객행동정보를 AI로 분석해 고객별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객행동 기반 개인화 마케팅'을 도입했다.ⓒ픽사베이
개인의 취향에 맞춰 최적의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넷플릭스처럼 은행권도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힘입어 올해를 기점으로 맞춤형 금융서비스를 대폭 확대할 전망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고객행동정보를 AI로 맞춤형 거래 플랫폼 분석해 고객별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객행동 기반 개인화 마케팅'을 올 초 도입했다.
기존에 활용했던 고객 인적정보와 거래정보 등 정형데이터와 상담내역(음성), 입출금내역(텍스트), 인터넷·스마트뱅킹 이용내역(로그) 등 모든 채널의 비정형 고객행동정보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개인별 최적화된 맞춤형 상품을 추천한다. 고객은 영업점 방문 시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평소에 관심을 갖고 있던 금융 상품을 추천받을 수 있다.
우리은행은 고객별 최적의 상품을 추천하는 AI 마케팅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마케팅 시스템과 연계해 실적 집계, 모델 성능평가, 모델 재훈련까지 자동으로 이뤄지는 통합 마케팅 체계를 구축해 모든 채널에 반영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앞으로는 실시간으로 고객행동정보를 통해 금융 니즈를 파악하고 최적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시대"라고 했다.
신한은행은 AI금융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착수했다. 초개인화에 초점을 맞췄다. 올 상반기 재무관리 등 금융서비스와 '삶의 질' 증진을 연계한 맞춤형 서비스를 출시하고, 하반기에는 음성·텍스트 등 고객이 사용하는 언어에 최적화된 상담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AI를 활용해 고객에게 적합한 대출·투자상품 등 복잡한 상품 가입을 돕는다.
앞서 신한은행은 지난해 말 'IDC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어워드'에서 고객의 접촉, 거래 형태정보를 감지해 고객별 맞춤 상품 및 서비스를 추천해주는 시스템으로 '올해의 프로젝트'를 수상한 바 있다. 진옥동 신한은행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맞추기 위해 마케팅 기능을 강화하고 개인화된 상담 지원에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NH농협은행은 SK㈜ C&C와 손잡고 개인종합자산관리(PFM) 플랫폼 'NH자산플러스'를 최근 출시했다. 전 금융기관의 자산과 부채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빅데이터 기반의 '고객 자산관리 및 고객별 맞춤형 상품 추천 서비스'를 추가 구현할 예정이다. 생활 패턴에 맞는 예적금∙대출∙보험∙투자, 자산정보 기반 상품추천 등 맞춤형 상품 추천 서비스를 개발한다.
특정 분야에 특화한 맞춤형 금융서비스들도 안착하고 있다. 자영업자와 맞춤형 거래 플랫폼 중소기업에 맞는 정책자금을 자동으로 찾아주는 KB국민은행의 'KB브릿지'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누적 다운로드 10만건 이상, 평점 5점 만점에 4.1점으로 호평받고 있다. 하나은행은 하나원큐 앱을 통해 고객에게 딱 맞는 아파트를 찾아주는 '부동산 리치고' 제휴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은행들은 대고객 일대일 마케팅을 통해 디지털 기술로 무장한 빅테크(대형 IT기업)의 금융업 진출에 적극 대응하고 경쟁력을 확보하려고 한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은행이 맞춤형 서비스로 자산이 1000억 달러 증가할 때마다 3억 달러의 매출 성장이 가능하고, 이를 통한 경쟁 우위 확보에 5년이 소요된다고 예측한 바 있다.
오영선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AI 기술의 발전으로 손님 행동 예측 모델은 정교화되고 1:1 마케팅이 현실화되는 추세"라며 "은행은 맞춤형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기술 투자뿐만 아니라 조직 내 데이터 활용과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구조와 문화 구축도 필요하다"고 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