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I 지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1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상승 다이버전스

RSI 보조지표 보는법, 투자에 적용하기

RSI 보조지표 보는법을 알아봐요. 저는 차트매매를 주로 하고 있는데 자주 참고하는 TOP 3 지표안에 꼭 드는 것이 RSI 지표에요. 차트에 설정할 수 있는 보조지표의 수는 많지만 RSI 보조지표만큼 매수 매도 시점을 명확히 보여주는 것은 드물어요. 차트의 모양에 따라서 적용 해야되는 조건이 있는 지표들이 많고 잘못 사용했을 때는 수익은 커녕 손절까지 고민해야 해요. 그런데 RSI 보조지표 보는법을 알고 있다면 조건과 상관없이 굉장히 높은 확률로 들어맞기 때문에 항상 챙겨보게 된답니다.

RSI의 핵심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과매수와 과매도 순간을 포착해낼 수 있다는 것이에요. 주식은 언제나 적절한 가격이 아닌 극과극인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쉽게 말하자면 너무 싸거나, 너무 높은 순간이 많다는 것이에요. 어려운 가치투자에서 활용되는 개념이기도 한데 차트 투자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답니다. RSI 보조지표 보는법은 바로 이러한 시점에 대한 매매를 할 수 있는데 적절한 가격이란 평균적인 가격변동 흐름을 기준으로 따지게 되요. 평균적에 비해서 최근 급격한 상승, 하락이 나왔다는 것을 알려주며 과매수에서는 매도를 과매도에서는 RSI 지표 매수로 수익을 내는 기법이라고 할 수 있어요.

저는 주식투자를 1년정도 했을 때 깨닫게 된 부분은 [주식은 언제나 이상하리만큼 가격변동이 나오지만 결국에는 회귀하게 된다]라는 것이에요. 이것을 정확하게 표현해주는 RSI 지표를 이용해서 투자를 하면 안정적인 수익을 얻으실 수 있을꺼에요.

RSI 보조지표란 무엇인가요?

RSI 지표란: 차트가 사용되는 모든 곳 (주식,선물,옵션)에서 기술적 분석으로 사용되며 RSI의 값은 상품 가격의 상승과 하락의 상대적 강도를 보여줍니다. 1978년 미국의 월레스 와일더가 개발하였는데 현재까지도 꾸준히 사용되고 있는 차트매매 지표입니다.RSI 지표

일정 기간간 평균 주가가 전날의 가격과 비교해서 상승하거나 하락한 변화량의 평균값을 구하고 하락세가 높을수록 RSI 값도 하락, 상승세가 높을수록 RSI 값은 상승합니다. 과매수, 과매도 신호로 쉽게 매매할 수 있습니다.

▶ 주가흐름을 예상하는 RSI 보조지표 보는법 ◀

1. RSI 값은 50을 기준으로 낮을수록 하락세를 의미합니다.

2. RSI 값은 50을 기준으로 높을수록 상승세를 의미합니다.

3. RSI 값이 30 이하일 때는 과매도 신호, RSI 값이 70 이상일 때는 과매수 신호 입니다.

RSI 값을 계산하는 방법

▶ ① RSI 지표 계산 공식 = RS ÷ (1 + RS) ◀

▶ ② RSI 지표 계산 공식 = AU ÷ (AU RSI 지표 + AD) ◀

1. 주식의 가격이 전일보다 오늘 상승했다면 상승한 양은 U 값이 됩니다.

2. 주식의 가격이 전일보다 오늘 하락했다면 하락한 양은 D 값이 됩니다.

3. U와 D의 평균값을 구해서 AU, AD라고 칭합니다.

4. AU ÷ AD = RS 값이라고 합니다.

▶ RS가 작다면 정해진 기간동한 상승보다 하락한 양이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RS가 크다면 정해진 기간동한 하락보다 상승한 양이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계산 공식을 보면 상승폭이 최대치가 100, 최하가 0이 되는데 어떤 주식도 최대값과 최소값까지 상승, 하락하는 경우는 없어요. 그래서 오랜 기간 이 지표를 통해서 사용해보니 [대다수가 RSI가 70선에서는 매도를 했어야하는 고점이였더라], [대다수가 RSI가 30선에서는 매수를 했어야하는 저점이였더라]라는 통계치를 알게 되었답니다. 주식의 성질은 어떤 종목이더라도 동일하기 때문에 그대로 차트투자에 적용을 해도 무리가 없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에요.

RSI 지표로 차트 매매하는 방법

RSI 지표 매매 전략

▶ 과매수, 과매도 판단 ◀

① RSI 지표가 30 이하라면 과매도로 매수를 해야 합니다.

②RSI 지표가 70 이상이라면 과매수로 매도를 해야 합니다.

▶ 상승추세, 하락추세 판단 ◀

①RSI 지표가 50 이상을 상승 돌파하였다면 상승추세로 전환되며 매수 시점입니다.

② RSI 지표가 50 이하로 하락 돌파하였다면 하락추세로 전환되며 매도 시점입니다.

▶ 매수 매도 시점 신호 ◀

매수를 해야 할 때: RSI 지표가 30, 50 이하 돌파

매도를 해야 할 때: RSI 지표가 50, 70 이상 돌파

RSI 지표 보는법은 이렇게 정해진 값이 있기 때문에 매수와 매도가 어렵지 않아요. 평균 가격변동량을 보고 판단하기 때문에 RSI가 낮은 순간에 매수를 한다면 하락할 확률보다는 상승할 확률이 높아요. 그래서 손절을 하더라도 손해가 적고 상승시 수익을 커지게 된답니다. 지표 RSI 지표 적용이 너무 어렵게 느껴지셨다면 RSI 지표만이라도 사용하신다면 좋은 성과를 기대 해볼 수 있답니다.

RSI 지표 차트 적용 방법과 매매 복기하기

1. 증권사 MTS 어플리케이션에서 차트를 눌러주세요.

2. 왼쪽 상단에 있는 지표 탭을 클릭합니다.

3. RSI 지표를 체크해서 적용합니다.

4. 신호검색 탭에서 RSI과매도, RSI과매수도 함께 체크해주세요.

RSI 지표뿐만 아니라 과매도와 과매수 신호를 함께 설정하시면 매매를 더 쉽게 하실 수 있어요. 단 지표의 값이 30과 70까지 도달하지 않는다면 신호가 뜨지 않기 때문에 신호에만 의존하시면 안되고 RSI 값을 살펴보시면서 매매를 하셔야 해요. 이 부분은 아래의 매매 복기에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RSI 과매도 신호에서 매수를 하고 RSI과매수 신호에서 매도를 하시면 차트처럼 차익 수익을 얻을 수 있었어요. 아래에 RSI값을 보아도 30이하, 70 이상이였기 때문에 위에서 알아본 매매 방법이 그대로 적용된답니다. 또 RSI 값이 50을 돌파했기 때문에 상승추세가 지속되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이 차트를 보시면 저점으로 보이는 부분에서 RSI 과매도 신호가 보이지 않아요. 그래서 저점 매수기회를 놓칠 수 있기 때문에 RSI 값도 함께 확인하시는게 좋아요. 30을 하락 돌파하지는 않았지만 충분히 하락한 상황에서 RSI 값이 다시 상승으로 꺽이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충분히 매수를 고려해볼 RSI 지표 수 있는 시점이라고 생각해요. 그 이후에는 적절한 분할매도로 RSI 70 상승 돌파에서 팔아주시면 된답니다.

이번에는 횡보 차트 상황이에요. RSI 보조지표 보는법의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히는 것이 상승과 하락추세가 정해지지 않은 횡보에서는 큰 효과를 볼 수 없다는 것인데 이것은 50값을 기준으로 매매를 하시면 해결할 수 있답니다. RSI 50값을 상승 돌파할 때 매수하고 50값을 하락 돌파할 때 매도를 하면서 짧은 단타를 해보세요. 차트에 그어진 노란선을 기준으로 매수와 매도를 가늠해보시길 바래요.

하지만 RSI의 한계적으로 계속해서 RSI 지표 약하게 하락하는 횡보에서는 약한 모습을 보여요. 이 때에는 RSI 50을 돌파하였을 때 매수를 하였더라도 분단위, 시간단위로 다시 50 아래로 내려올 수 있어요. 그래서 기계적으로 RSI 지표 손해를 보고 있더라도 50 하락 돌파를 하였다면 손절을 하는 것이 좋아요. RSI는 일정기간의 평균 가격변동을 알려주기 때문에 약하게 하락하면서 기간값이 늘어나게 되면 RSI상 과매도로 판단하지 않게 되고 지속적으로 가격이 하락할 수 있어요.

[기준에 맞게 손절과 매도는 빠르게 한다]를 알고 계셔야 해요. 그래도 RSI 보조지표 보는법은 다른 지표들과 다르게 어떤 곳에서든 사용해도 큰 손실도 피할 수 있고 안정적인 단타를 할 수 있답니다. 되도록이면 가격상승폭이 큰 종목을 고르시는 것이 좋고 장기 보유를 하고 싶으시더라도 정해진 기준의 신호가 나온다면 일부 매수,매도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RSI 지표

1.온체인 분석가 매튜 하이랜드: 이번 비트코인 3일 상대강도지수(RSI)는 지난 5년 동안 있었던 가장 큰 3번의 폭락 직후 반등 당시와 유사한 흐름입니다. 아래 이미지를 보면 폭락 당시 RSI 추세선에 맞춰서 반등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번의 폭락 시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만약 추후 반등이 나온다면 이번에도 RSI 추세선을 지킨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Bitcoin 3-Day RSI is continuing to bounce off the significant historical trendline that has been touched during all 3 of the biggest crashes over the last 5 years.

✅December 2018
✅March 2020
✅May-July 2021

If BTC continues to rally, this will be the 4th time it has held! pic.twitter.com/gvGNkwgesT

— Matthew Hyland (@Parabolic_Matt) December 23, 2021

RSI란? 상대강도지수라고 부르며, 비트코인 가격의 변화(크기)와 속도를 바탕으로 과매수·과매도 구간을 수치화한 지표예요.

2.대체불가능토큰(NFT) 프로젝트 BAYC: BAYC와 MAYC는 약 4주 후(2022년 1분기)에 모바일 게임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Hey apes, we're still working on things with Apple - the BAYC x MAYC mobile game should be up and running in about four weeks. In the meantime, happy holidays to you all and your families. Q1 is going to be insane.
☠️⛵

— Bored Ape Yacht Club (@BoredApeYC) December 23, 2021

기자 코멘트: 13일(현지시간) BAYC의 크리에이터 유가 랩스는 게임 퍼블리셔 애니모카와 함께 P2E(Play to Earn) 게임을 출시한다고 밝혔습니다.

BAYC란? 'Bored Ape Yacht Club'의 줄임말로, '지루한 원숭이들의 요트클럽'이라는 NFT 프로젝트를 말하는 거예요.

MAYC란? 'Mutant Ape Yacht Club'의 줄임말로, ''돌연변이 원숭이들의 요트클럽'이라는 NFT 프로젝트를 말하는 거예요.

(코인) 차트에 관하여- 6. RSI 지표에 관하여

이번 주 부터 신규 가입자가 생긴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의 시세 자체가 회복할 기미가 아직 안보이는 것으로 보아 조금 더 하락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신규 진입하시는 분들은 아직 여유를 가지시고 매수하셔도 될것 같고, 코인을 보유중이신 분들은 힘드시겠지만 같이 버텨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아직 암호화폐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확실하지 않은 상태이니까요.

오늘 소개시켜드릴 보조지표는 RSI 지표입니다. RSI는 일정기간 개별종목과 종합 주가지수의 주가변화율을 대비해보고, 상대강도지수를 표현한 지표로 투자 심리선을 발전시킨 지표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RSI 보조지표는 값이 100에 근접할수록 해당 종목의 가격이 상승강도가 크다는 것을 나타내고, 0에 가까울수록 하락강도가 크다는것을 나타냅니다. 보통 30을 하한 경계선, 70을 상한 경계선으로 보며 하한 경계선을 넘어서 하락강도가 커진다면 과매도 상태 상한 경계선을 넘어서 상승강도가 커진다면 과매수 상태라고 봅니다. 하지만 이 역시 상대적인 강도이기 때문에 강세장에서는 40/80을 보는 것이 좋으며 약세장에서는 20/60정도로 RSI 지표 RSI 지표 보는것이 좋습니다.

과매수 상태란 종목의 가치에 비하여 매수세가 강하여 종목의 가격이 가치에 비하여 높은 상황을 뜻하고 반대로 과매도 상태는 종목의 가치에 비하여 매도세가 강하여 종목의 가격이 가치에 비하여 낮은 상황을 뜻합니다. 보통 과매수 상태에서는 매도하는 것이 좋으며 과매도 상태에서는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BTC/KRW 차트를 늦게 가져왔네요, 같이 보시면서 얘기해보죠!

기본적인 RSI 지표는 14일을 기준으로 이뤄지며 위의 모양과 같습니다. 앞서 설명드린 대로, RSI 값이 과매수상태일때 매도를 했다면, 이익을 남기고 더 이상 손해를 보지 RSI 지표 않았을 수 있습니다. 제 기준선은 20-80입니다. 비트코인이 한창 강세장일때 90도 넘긴적이 있는 것을 보면 확실히 과열된 매수세가 존재했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만 보고 매수와 매도를 진행하기에는 무언가 살짝 부족합니다. 이때는 다이버전스를 활용하면 더 효과적인 보조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다이버전스란 사전의 뜻과는 조금 다르게 차트분석에서는 '다르게 움직이는 현상'을 뜻합니다. 풀어서 얘기하면, 추세의 진행 가속도가 줄어든다는 뜻입니다. 종목의 가격이 이전 고점에 대비하여 올랐는데 보조지표가 그만큼 반응하지 않았다면 매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전 저점에 비하여 내렸는데 그만큼 보조지표가 내려가지 않았다면 매수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다이버전스를 활용하면 RSI 지표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 고점인 2800만원에 도달하였을때를 살펴보면, 2500만원에 도달하였을 때인 12월 초에 비하여 RSI 값이 낮은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때 매도를 하였다면 좋았겠죠! RSI의 설명은 여기서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보조지표는 한 가지만 보고 RSI 지표 판단하기 보다는 여러가지 자신에게 맞는 보조지표를 활용하여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RSI와 볼린저밴드를 주로 활용하고 있구요. 하지만 이러한 보조지표는 항상 옳지는 않습니다. 보조지표를 뛰어넘는 호재, 수급은 언제나 존재한다는점 유의하셔서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RSI 지표

오늘은 RSI 지표를 이용한 다이버전스 매매법에 대해

RSI지표는 현재 가격이 과매수 상태인지 과매도 상태인지

체크 할 때 참고하는 보조지표라고 보면 됩니다

RSI 지표를 활용하여 추세가 반전되는 변곡점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며 다이버전스가 발생하면 보다 신뢰도가 올라간다고

여기서 간단하게 RSI와 다이버전스가 뭔지부터 간략하게

RSI(Relative strengtg index) 상대강도지수

가격의 상승 압력과 하강 압력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말합니다

수식은 RSI=RS/(1+RS)로 계산한다고 하며

*RS=N 일간의 상승폭의 평균 / N 일간의 하락폭의 평균이며

RSI는 천장과 바닥을 찾기에 용이한 지표입니다

RSI는 보통 백분율로 표시 되며 70%이상일 때는 초과매수 국면이라 하고

30% 이상일 시에는 초과매도 국면이라고 일반적으로 얘기합니다

30% 이하인 주식을 매수하고 70% 이상이 되면 매도하는 방법으로

가격은 상승하여 신고가를 갱신하였지만 (RSI) 지표는

전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는 현상

다이버전스는 RSI 외에 오실레이터 계열의 투자지표에서는

항상 존재하는 개념이며 다른 지표에 비해서 RSI의 다이버전스는

다시 돌아와서 다이버전스는 크게 4가지로 분류 될 수 있습니다

가장 핵심적인 개념은 상승캔들과 RSI 지표의 하단 부분을 기준으로

잡는다는 것이고 하락은 캔들과 RSI 지표의 상단 부분을 기준으로

잡는다는 것을 기억하시면 됩니다

상승 다이버전스

위 차트를 보면 캔들은 저점을 낮추면서 하락하고 있는 반면

RSI 지표는 저점을 반대로 올리면서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 상황을 상승 다이버전스라고 합니다

하락하던 주가가 상승 반전 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하락 다이버전스

상승 다이버전스와는 정 반대뢔 캔들은 고점을 높여가고 있는 반면

RSI지표는 고점을 낮춰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를 하락 다이버전스라고 부르며 상승하던 주가가 반대로

하락 할 수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는 상승 다이버전스와 같이 캔들과 RSI 지표의

저점을 기준으로 파악하지만 캔들은 저점을 높여가면서

상승하고 있으며 RSI 지표는 저점을 낮춰가면서 하락형태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런 그림을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의 전조증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는 캔들은 고점을 낮추며 하락하고 있는 지표이며

RSI 지표는 고점을 높여가면서 RSI 지표 상승하는 형태를 볼 수 있습니다

위 표를 보면 어떤 다이버전스인지 정확히 알지 않더라도

주가의 흐름과 RSI 지표의 흐름이 반대로 흘러간다고 감지되면

앞으로 반전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편하게 이해 할 수 있을꺼라 생각합니다

비트코인 일봉차트

위 비트코인 일봉차트를 보게 되면

일봉 고점 부분에서 모두 다이버전스가 발생된 것을

다이버전스를 알고 있었다면 익절 or 추가적인 매수진입을

하지 않는 판단을 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다이버전스는 보조지표로 활용할 뿐

이걸 토대로 100% 신뢰하여 매매하는것은

RSI 지표를 활용하더라도 보조지표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요소 중 하나라고 생각 하시길 바랍니다

비트코인 선물을 할 땐 1분,3분,5분,15분.1시간,4시간,하루 등

전반적인 지표를 다 보고 방향성을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물거래 혹은 현물거래를 위해 여러가지

차트공부를 하고 있지만 항상 잃기만 한다면

이 내용을 꼭 한번 읽어보실 바랍니다

투자는 쉽지만 돈버는 방법은 모르는 사람들이 경제적 자유 얻는 방법

나는 비트코인을 17년도에 알게 되었습니다. 그 당시 비트코인이 한창 올라 2700만원까지 올라갔을 시기였죠. 회사 생활로 벌 수 있는 돈은 한계가 있었고 당시 내가 쓸 수 있는 돈은 약 300만원 남

비트코인 일 3% 단타 복리의 효과는?

비트코인은 높은 변동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투자에 대한 결정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코인 및 주식 같튼 유동자산에 투자를 하여 이득을 보는 사람 보다 잃는 사람들이 더 많은게 시장의

선물거래 1천만원으로 5천만원 만드는 방법 (20일 걸림)

안녕하세요 오늘은 선물거래를 할 때 사람들이 가장 많이 실수하는 것에 대해 몇가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또한 저희 방에서 천만원으로 5000만원까지 20일만에 만드신 사례도 있어서 함께 알려

주식 RSI 지표 계산 및 활용 방법 완벽정리

블로그 이미지

주식 투자에 있어서 여러 가지 다양한 지표를 얼마나 RSI 지표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가 투자자의 능력이고 투자의 성패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국토부 실거래가 조회 1분만에 확인하기

아파트 거래를 위해서는 실제로 해당 아파트가 어떠한 가격에 거래되는지를 시장의 시세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오늘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국토부 실거

오늘은 가격의 상승과 하락의 압력의 상대적 강도를 나타내는 주식의 기술적 지표인 상대강도지수 (Relative Strength Index, RSI 지표/지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SI 지표/지수, 상대강도지수

RSI 지표/지수 (상대강도지수)란 가격 상승과 가격 하락의 압력의 상대적인 강도를 표현하는 기술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가의 과매수와 과매도의 국면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는 중요한 지표 중 한 가지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상대강도지수는 영어로는 Relative Strength Index라고 표현합니다.

"현재 매수세가 더 강한지 매도세가 더 강한지를 알려주는 지표"

가격의 추세전환을 포착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분석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것은 아마도 RSI 지표 언제 가격의 추세가 전화되는가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즉, 현재의 추세 강도를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지표가 있다면 과도한 상승 추세 시 매입을 자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반대로 매도에 나설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 이라는 이유에서 RSI 지수가 개발되었습니다.

RSI 지수는 1978년 월레스 윌드 (Wells Wilder)가 개발한 지표로, 현재 추세의 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언제 주가 추세가 전환될 것인가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RSI 지수는 시장 가격 변동폭 중에서 시장 가격의 상승폭이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주가가 상승 추세일 경우 얼마나 강한 상승세인지, 하락세라면 얼마나 강한 하락세인지를 퍼센트 (%)로 나타내게 됩니다.

RSI 지표/지수 계산 방법

다음으로 상대강도지수, RSI 지표/지수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SI 지수는 N일간의 주가 상승폭과 하락폭의 합계를 연산하여 계산되게 되고, 그 값은 아래 공식에 의해서 계산해 낼 수 있습니다.

* RSI = A / (A+B) x 100

- A : N일간의 주가 상승폭의 합계

- B : N일간의 주가 하락폭의 합계

위의 공식에 의하면 RSI 값은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지게 됩니다.

하락이 지속되고 상승이 없다면 RSI 값은 '0'이 되고, 상승만 있고 하락이 없다면 RSI 값은 '100'의 값을 가지게 됩니다.

주가 상승폭의 합계가 분모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가 상승폭이 클수록 RSI의 값도 크게 됩니다. 또한, 주가 하락폭의 합계가 분모에 있기 때문에 주가 하락폭이 클수록 RSI의 값은 작게 됩니다.

정리하면, 상승폭이 클수록 RSI의 값도 증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4일간 A 종목의 상승폭의 합계가 100이고 하락폭의 합계가 0이라면 RSI는 100이 되고, 반대로 14일간 A 종목의 상승폭의 합계가 0이고 하락폭의 합계가 100이라면 RSI는 0이 됩니다.

RSI 지표/지수 활용 방법

이러한 RSI 값을 어떻게 사용하여 어떠한 투자 전략을 수립할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통상적으로 RSI 값이 '30' 이하이면 침체 구간 (과매도 시점)으로 매수 RSI 지표 시점으로 판단하고, RSI 값이 '50' 이면 보통 구간으로, RSI 값이 '70' 이상이면 과열 구간 (과매수 시점)으로 매도 시점으로 추정하게 됩니다.

- RSI < 30 : 침체 구간, 매수 시점
- RSI = 50 : 보통 구간
- RSI > 70 : 과열 구간, 매도 시점

참고로 RSI 값이 50 보다 높다면 매수세가 많다는 의미이고 반대로 50 보다 아래라면 매도세가 많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

시간 내어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더 좋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RSI지표/지수 계산 및 활용 방법 썸네일

@jontyson, unsplash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