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평균 - 영어 뜻 - 영어 번역
According to Bloomberg the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MACD) for the Bloomberg Galaxy Digital Index is currently in positive divergence territory.
So we need a chart with the M5 timeframe and two exponential moving averages- with a period of 50 and 20.
The indicator is added the ability to analyze the intersection of two moving averages(signal number 3).
One way to solve the problem is to use the simple moving average of the RSI index itself as an indicator.
RSI signals took place a little later than the intersection of MACD 매매 신호 (발산) moving averages(points 2 and 6 versus 1 and 5).
RSI signals occurred a little later than the intersections of moving averages(points 2 and 6 against 1 and 5).
they also form the basis for other technical indicators such as the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MACD).
Although there are different variations of moving averages their underlying purpose is to drive clarity in trading charts.
Therefore we retain our buy recommendation on Ripple at $0.22 on a breakout above the moving averages.
한국어 - 영어
영어 - 한국어
and required to achieve the purposes illustrated in the cookie policy. If you want to know more or withdraw your consent to all or some of the cookies, please refer to the cookie policy .
By closing this banner, scrolling this page, clicking a link or continuing to browse otherwise,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Opt-Out of the sale of personal information
We won't sell your personal information to inform the ads you see. You may still see interest-based ads if your information is sold by other companies or was sold previously. Opt-Out Dismiss
MACD 매매 신호 (발산)
주식 패턴 매매 기법 알아 보기
1. 패턴 매매 기법의 기본 지식
1) 패턴매매기법은 상승추세가 확연한 종목 중에서 가격1만 원 이상, 일평 거래량 30만주 이상의 업종대표주 및 우량주를 하락조정시 저점 매수해 오래 보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2) 추세는 한 번 정해지면 계속 그 방향을 지속하려는 관성의 법칙이 작용한다.
상승추세에서는 상승은 강하고 조정은 약하기 때문에 조정시마다 저점매수를 해야한다.
3) 손절매는 주식투자의 기본이자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아무리 좋은 종목을 추천하고 좋은 매매기법을 알고 있어도 손절매를 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
4) 이평선은 단기보다 중기, 중기보다 장기 이평선이 지지와 저항의 힘이 강하다.
또한 2개의 이평선보다 3개의 이평선이 함께 모여 있을때 지지와 저항의 힘이 더 강하고, 3개보다 4개의 이평선이 모여 있을때 지지와 저항의 힘이 더 강하다.
5) 주가가 바닥에서 큰 폭으로 MACD 매매 신호 (발산) 상승하면 고점을 찍고 다시 하락 조정을 받게 되는데, 이때 형성된 고점을 '전고점'이라 한다.
주가가 전고점 아래에 있으면 저항 역할, 주가가 전고점을 돌파하면 지지 역할을 한다. 전고점과 이평선이 서로 맞물리면 아주 좋은 매수타이밍이다. 전고점이 여러 개일수록, 기간이 길수록, 봉우리가 클수록 지지와 저항의 힘이 강하다.
6) 갭(Gap)이란 전일보다 주가가 급등하거나 급락하면서 발생하는 차트상의 빈 공간으로,크기가 클수록,강력한 지지선이나 저항선을 돌파할수록 강하다. 수일안에 채워지는 보통 갭은 주가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갭이 강할수록 채워지는 기간이 오래 걸리거나 아예 채워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아일랜드 갭'이 발생하면 시세가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7) 의미있는 가격대와 전고점, 또는 의미있는 가격대와 이평선이 맞물리면 지지와 저항은 더욱 강하다.
의미있는 가격대가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는 이유는 투자자들의 심리때문이다.
8) 이평선, 전고점, 의미있는 가격대 등과 같은 지지선과 피보나치수열을 함께 적용하면 저점매수 확률이 높아진다.
피보나치수열은 깊은 가격 조정인 패턴2에서 매우 유용하다.
9) 패턴매매기법에서는 15, 33, 75, 150 이평선을 사용한다.
이 이평선들은 개수가 많지 않고 각각의 이평선이 2배 정도의 비율이기 때문에 상· 하위 차트 연계분석에 효과적이다.
어떤 이평선을 사용하든, 자신이 사용하는 이평선을 제대로 파악해 수익을 꾸준히 올리면 그 이동평균선이 최고라 할 수 있다.
10) 단기 이평선이 중기 혹은 장기 이평선을 아래에서 위로 교차하는 것을 '골든크로스' , 위에서 아래로 교차하는 것을 '데드크로스'라 한다. 골든크로스는 매수신호, 데드크로스는 매도신호로 사용한다.
그러나 패턴매매기법에서는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매매시점으로 이용하지 않는데, 가장 빠른 15일 이평선도 주가의흐름을 빨리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만 장기 이평선의 지지를 받는 상승추세에서 단기이평선이 중기이평선을 데드크로스시키는 시점은 매수시점이 될 수 있고, 장기이평선의 저항을 받는 하락추세에서 단기이평선이 중기이평선을 골든크로스 시키는 시점은 매도시점이 될 수 있다.
11) 이평선은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므로, 주가가 어느 지점에서 지지를 받고 저항을 받을 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추세선, 전고점, 의미있는 가격대, 갭 등과 함께 분석하면 보다 정확한 매매타이밍을 포착할 수 있다.
12) 이격도는 주가와 특정 이평선 간의 이격이 어느 정도 비율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격이 확대돼 있을 경우 추격 매수는 삼가는 것이 좋다.
13) MACD는 이평선의 수렴과 발산을 나타내는 보조지표로 이평선과 서로 잘 어울리는 대표적인 추세지표이다.
5, 20, 5로 MACD 수치를 변경하면, 추세도 파악할 수 있고 스토캐스틱처럼 주가의 흐름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으며, 이격도와 같이 장. 단기 이평선의 이격 역시 쉽게 알 수 있다.
14) MACD 는 상승추세에서는 주로 0선 위에 위치하고, 하락추세에서는 주로 0선 아래에 위치한다.
따라서 MACD가 0선 위에 위치하는 종목만을 매매하도록 한다.
15) 디버젼스(divergence) 란 주가와 보조지표가 서로 다르게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매수 디버젼스란 주가의 저점은 낮아지는데 MACD의 저점은 같거나 높아지는 현상으로 상승 추세에서 매수타이밍을,
매도 디버젼스란 주가의 고점은 높아지는데 MACD의 고점은 같거나 낮아지는 현상으로 하락 추세에서 매도타이밍을 포착하는데 유용하다.
2. 패턴 매매 기법의 패턴 1
1) 상승추세에서 이평선이 수렴하면 기존 추세인 상승추세를 확장할 가능성이 높고, 하락추세에서 이평선이 수렴하면 기존추세인 하락추세를 확장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이평선의 특징을 이용해 만든 매매기법이 '패턴 1 '이다.
패턴 1 이란 15, 33, 75, 150 이평선 중에서 3개 이상이 한곳에 수렴하는 현상을 말한다.
주식투자는 일봉차트가 기준차트이기 때문에 분봉 패턴 1 로는 매매하지 않는다. 그러나 레버리지가 높은 선물옵션투자에서는 60분, 30분, 15분, 5분 패턴 1 로 진입 가능하다.
상승추세의 종목에서 깊은 가격 조정인 패턴 2 이후에 기간 조정인 패턴 1 이 발생하면 좋은 타이밍이다.
패턴 1 은 일봉으로 매수하기 때문에 손절매가 다소 깊지만 추세대로 상승할 시에 고수익을 안겨주는 장점이 있다.
2) 기간 조정인 패턴 1 은 대부분 깊은 가격 조정인 패턴 2 이후에 발생한다. 따라서 패턴 2에서 매수를 못했다면 그 종목에서 패턴 1 이 만들어지는지 매일 주시해야 한다.
하락추세에서 패턴 1 이 발생했다고 저점매수를 하면 큰 손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상승추세가 유효하고 주가가 장기 이평선의 보호를 받는 상황에서는 단기이평선이 중기이평선을 데드크로스 할 때가 저점매수 시점이다.
3) 패턴 1 을 예상하고 매수했는데 주가가 하락할 경우에는 손절매를 하는 것이 좋다. 손절매를 하면 다음에 이어지는 좋은 매수타이밍을 포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태극무늬 패턴 1'은 가격 조정을 받고서도 기간 조정없이 바로 상승 추세를 확장하는 경우로, 패턴2 + 패턴 1 + 패턴 3 으로이어지는 사례가 특히 많다.
기간 조정을 충분히 받은 수렴상태가 아닌 교차 상태를 띠는 패턴 1 이 발생하는데, 이것이 '크로스 패턴 1'이다. 이것은 패턴 1과는 달리 주가가 이평선 한참 위에 놓여 있기 때문에 매수하기가 쉽지 않다. 패턴 1 의 매수타이밍은 주가가 이평선을 강하게 돌파하는 시점인데 주가가 이평선보다 훨씬 위에 놓여 있기 때문에 매수도 어렵고 손절 가격을 지정하는 것도 어렵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다음기회를 노리는 것이 좋다.
5) '시세 초입단계 패턴 1'은 추세가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매수를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세가 완전히 상승추세로 전환된 이후 패턴 3 이나 패턴2 에서 매수하는 것이 안전하다.
6) 주봉과 일봉이 동시에 수렴하면, 일봉차트에서만 발생할 때보다 훨씬 더 강한 힘이 생기므로, 적극 매수해야 한다.
7) 패턴 1 은 15, 33, 75 이평선이 무조건 같이 모여 있어야 한다. 충분한 기간 조정을 거치고 이평선이 제대로 수렴해야 패턴 1의 파워가 강해진다. 또한 이평선 4개가 수렴하면 시세는 어디까지 튈지 모른다.
8) 주봉차트와 일봉차트를 함께 놓고 차트를 분석하는 것이 좋다. 특히 주봉차트에서의 패턴 1 과 패턴 2로 매수한 후 보유하면 큰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주식투자는 분봉차트에서의 패턴 1,2 3으로 매매하지 않는다. 분봉차트에서 패턴 1, 2, 3의 매매기법이 잘 들어맞는다고 해도리스크 대비 리턴이 적고, 잘못하면 데이트레이딩으로 빠질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선물과 옵션투자에서는 분봉차트의 패턴 1 이 아주 유용하다. 선물과 옵션이 주식에 비해 레버리지가 훨씬 높고 세금이 없으며, 한두 호가만 상승해도 수익이 생기기 때문이다. 선물 30분차트나 60분차트에서 투자전략을 세우고 하위 차트인 15분과 5분차트로 진입을 포착해야 한다. 5분차트에서의 패턴 1 은 선물보다는 옵션으로 베팅하는 것이 낫다. 선물옵션은 일봉에서 추세를 판단하고 30분차트에서 투자전략을 세우며 15분과 5분차트에서 진입한다.
9) 패턴 1 에서 매수타이밍을 놓쳤다면 15일 이평선 패턴 3에서 매수해야 한다.
패턴 1 로 발산한 이후 하락조정시 15일 이평선을 붕괴시키면 33일 이평선에서 다시 매수타이밍을 포착한다.
일봉에서 15일 이평선 지지가 예상된다면 60분차트에서는 75 이평선, 30분차트에서는 150 이평선에서 매수를 준비해야 한다. 60분차트에서 변곡점 1개로 75 이평선 지지시, 30분차트에서는 150 이평선을 지지하는 변곡점 2개의 매수 디버젼스가 나올 수 있다.
10) 패턴 1 일때 MACD가 패턴 3의 모습을 보이면 성공 확률이 높다.
이것은 패턴 1 이 발생하기 전에 주가가 먼저 상승해 이평선들의 매물을 소화한 이후 다시 이평선까지 하락하면서 패턴 1을 완성했기 때문이다.
11) 매수하기 이전에 어느 가격 아래로 주가가 하락하면 손절을 하겠다는 투자 전략을 명확히 수립하고, 매수와 동시에 바로 HTS상에 손절을 지정해야 한다. 단기 매매 투자자는 손절을 타이트하게 관리하고 이익 실현도 짧게 하는 것이 좋고, 장기 매매 투자자는 손절을 여유있게 관리하고 이익 실현도 느긋하게 하는 것이 좋다.
12) 기간 조정인 패턴 1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먼저 깊은 가격 조정인 패턴2가 발생하므로, 패턴 2에서 매수하면 자연스럽게 패턴 1과 패턴 3까지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패턴 2를 놓치면 패턴 1로, 패턴 1을 놓치면 패턴 3으로 언제든지 매수할 수 있어야 한다. 패턴 1은 패턴 2와 패턴 3에 비해 손절이 깊고 발생 빈도수가 적다는 단점이 있다.
3. 패턴 매매 기법의 패턴 2
1) 상승추세에서 MACD가 0선 아래까지 하락하다가 다시 상승추세를 확장하는 것을 '패턴 2'라 한다.
패턴 2는 발생 빈도수가 많고 저점매수할 수 있어서, 주식투자뿐만 아니라 선물옵션투자에도 아주 유용한 매매기법이다.
2) '매수 디버젼스 패턴 2'는 저점을 약간 붕괴시켜 투자자들의 손절매 물량을 매집해 주가를 상승시킨다. 그래서 매수 디버젼스 패턴 2가 좋은 매수타이밍이 될 수 있는 것이다.
3) '쌍바닥 패턴 2'는 MACD 매매 신호 (발산) 변곡점 1개의 패턴2와 달리 변곡점 2개로 주가의 바닥이 확인된 자리이기 때문에 안전한 매수타이밍이다
'N자형 패턴 2'가 발생하면 먼저 좌측 변곡점에서 매수가 가능하고 우측 변곡점에서 다시 한번 매수가 가능하다.
4) 상승추세에서 의미있는 저점을 서로 이은 선을 '상승 추세선'이라 하는데, 75일 이평선과 서로 일치하는 경우가 많고,이평 선과 추세선이 서로 맞물리면 지지의 강도가 훨씬 높다. '추세선 + 이평선 + 전고점(전저점) + 의미있는 가격대'등이 서로 맞물릴 수록 강도가 더욱 세진다.
5) 150일 이평선은 지지와 저항의 힘이 강해 상승 돌파하기도 힘들고 붕괴되기도 어려운데, 주가가 150일 이평선까지 하락하면 아주 깊은 가격조정을 받았다고 볼 수 있어, '150일 이평선 패턴 2'로 저점 매수에 성공했다면 큰 수익을 향유할 수 있다.
6) 주식투자시 주봉차트를 함께 참조해야 하는 이유는 보다 큰 추세를 파악할 수 있고, 일봉차트에서 보이지 않는 지지선과 저항선을 찾을 수 있으며, 여유있는 마음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7) 코스피선물이나 국채선물과 같은 국내선물의 경우에는, 30분 차트에서 투자전략을 수립하고 15분 차트와 5분 차트에서 구체적인 MACD 매매 신호 (발산) 매매타이밍을 포착한다. 그러나 추세는 30분 차트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일봉 차트로 판단한다. 통화선물에서 60분 차트 패턴 2는 쪽집게 도사이다.
8) 패턴 2는 깊은 가격 조정이므로 매수세보다 매도세가 강하고, 아직 바닥이 확인되지 않은 구간이다. 이런 상황에서 저점매수를 노리는 기법이기 때문에 자주 손절될 가능성이 있다.
9) 패턴 2에서, MACD만 놓고 보면 0선 아래 깊이 있어서 하락추세로 판단할 수도 있지만, 주가와 이평선을 볼 때 주가는 계속 저점과 고점을 높이고 있고 장기 이평선인 75주, 150주 이평선의 방향이 여전히 우상향일 때가 있다. 이 때에는 MACD에 현혹되지 말고 조정이 마무리되면 다시 기존 추세가 확장될 거라는 믿음을 갖고 매수에 임해야 한다.
10)일봉차트에서 150일 이평선을 모두 붕괴시켰지만 주봉차트에서 패턴 2가 예상되고 시나리오가 양호하면, 저점매수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위차트는 하위차트를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이고, 하위차트는 상위차트의 선행지표이다. 그래서 주봉차트와 일봉차트를 함께 분석하는 습관만으로도 경쟁력이 생긴다.
11)패턴 2와 패턴 3은 일봉차트에서 투자전략을 수립하고 60분 차트에서 구체적인 저가 매수타이밍을 포착한다. 그러나 저가매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정확한 신호를 확인하고 매수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매수 후 한 번 손절됐다고 해서 포기하지 말고, 시나리오가 유효하면 다시 시도해야 한다. 패턴매매의 특징은 여러 차례 손절되더라도 한두 번의 매매로 자산을 플러스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12)일봉차트와 60분차트에서 동시에 매수 디버젼스가 발생하는 패턴은, 발생 빈도수가 적지만 성공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적극 매수해야 한다.
양방 매수 디버젼스 MACD 매매 신호 (발산) 패턴 2는 주봉차트와 일봉차트에서 모두 이평선이 수렴하는 패턴 1과 결코 다르지 않다.
13)패턴 2는 깊은 하락조정을 받고 있는 가운데 어디에서 지지할 것인지를 예측하고 매수하는 기법이다. 그래서 아무때나 매수하지 않고 매수하더라도 손절을 반드시 지정해야 한다. 지지의 요소에는 추세선, 이평선, 전고점(전저점), 갭, 의미있는 가격대 등이 있다. 패턴이 예상되는 종목에 지지요소가 많으면 많을수록 지지 가능성은 높아진다.
14)피보나치수열은 기술적 분석의 조미료 역할을 한다.
피보나치수열은 얕은 조정인 패턴 3보다 깊은 가격 조정인 패턴 2에서 진가를 더 발휘한다.
1)상승추세에서의 '패턴 3' 이란 MACD가 0선 위에서 다시 0선 근처까지 견조한 조정을 받고 기존 추세를 확장하는 것을 말한다.
패턴 3은 추세에 순응해 얕은 가격 MACD 매매 신호 (발산) MACD 매매 신호 (발산) 조정시 저점매수하는 기법이기 때문에 성공 확률도 높고 안전하다.
대부분 패턴 3은 33일 이평선을 지지하고 상승하는 것을 말한다.
2)추세가 완전히 전환됐다고 판단되기 전까지는 계속 기존 추세에 순응하며 매매하는 것이 현명한 투자방법이다.
투자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바로 추세에 대한 믿음이다.
3)'변곡점 1개 패턴 3' 은 순식간에 패턴이 완성되기 때문에 한눈팔면 놓치기 쉽다.
패턴 3은 패턴 2와 같이 60분 차트를 활용해 매매타이밍을 포착하는데, '변곡점 1개 패턴 3'은 60분 차트에서 변곡점 2개가 아닌 변곡점 1개로 상승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매수타이밍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놓치기 쉽다.
4)주가가 급등하면 주가와 이평선간의 이격이 확대되고 차익을 실현하고자 하는 매물은 증가하게 되어 이격을 줄이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가격 조정과 기간 조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쌍바닥 패턴 3'가 형성된다.
'쌍바닥 패턴 3'은 매수타이밍을 포착하고 손절가격을 지정하기가 수월하며 성공 확률도 높다. 일봉차트에서 투자전략을
수립하고 60분 차트에서 MACD를 이용해 매수타이밍을 잡아야 한다.
5)'쌍바닥 패턴3'보다 매수세가 매도세를 압도하면 'N자형 패턴 3'가 발생하는데, 이는 아주 좋은 매수타이밍이다.
'전고점 지지 패턴3'은 하락하는 주가가 어디에서 멈출지 미리 예측해 준비할 수 있다.
패턴 1을 완성하고 강하게 발산한 이후의 눌림목과 주가가 전고점을 돌파한 이후의 눌림목에서는 '15일선 패턴3'으로 공략이 가능하다.
오실레이터 뜻, RSI 매매기법
차트를 분석하는 주식 투자자, 선물 투자자, 코인 투자자는 오실레이터를 활용합니다.
그렇다면 오실레이터란 무엇일까요?
오실레이터의 뜻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오실레이터인 RSI의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SI,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 뜻
오실레이터는 영어로 oscillator입니다.
이를 동사로 변환하면 oscillate입니다.
이는 진동하다라는 뜻입니다.
오실레이터는 위 아래로 진동하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오실레이터는 5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상대강도지수(RSI), 스토캐스틱(stochastic), 이동평군수렴확산지수(MACD), 모멘텀, 변화율(ROC)
용어는 다소 어려워 보이나, 5개 모두 비슷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오실레이터와 모멘텀
오실레이터의 공식은 꽤나 복잡하다.
하지만 오실레이터 공식들은 모두 '모멘텀' 공식으로부터 비롯된다.
주식투자할 때 가장 많이 듣는 용어는 모멘텀(momentum)이다.
모멘텀은 '가격 변동 비율(혹은 속도)이다.
쉽게 말해,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할때의 비율이다.
2,000원 짜리 새우깡의 가격이 다음 날 MACD 매매 신호 (발산) 3,000원이 되었다.
2,000원 짜리 새우강의 가격이 다음 날 500원이 되었다.
둘 중 어떤 상황이 더 강력한 모멘텀일까?
바로 500원이 되었을 때다.
3,000원이 되었을 경우 + 1,000원 만큼의 모멘텀이 발생한 것이다.
반면, 500원이 되었을 경우 -1500원 만큼의 모멘텀이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500원이 되었을 때의 모멘텀이 더 강력하다고 할 수 있다.
새우깡을 삼성전자라고 생각하면, 주식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래서 오실레이터는 어떻게 활용하는 것일까?
오실레이터 매매기법
모멘텀 지표는 과매수 or 과매도 상태를 표현한다.
시장이 현재 극단적으로 매수하는 단계인지 매도하는 단계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극단적으로 매수하는 단계라면, 내가 가진 주식/선물/코인 포지션의 청산 혹은 축소를 고려할 수 있다.
극단적으로 매도하는 단계라면, 포지션 진입 혹은 현재 포지션 확대를 고려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오실레이터를 통해 추세의 전환을 포착할 수 있다.
그렇다면 대표적인 오실레이터는 어떤 것이 있을까?
RSI 매매기법 (relative strength index :: 상대강도지수)
해당 포스팅 서두에 언급한 것처럼, 오실리테이터의 종류는 5가지가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오실레이터가 바로 RSI이다.
한국말로 상대강도지수라고 한다.
RS공식은 복잡하지만, 활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현재 추세의 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언제 주가 추세가 전환될 것인가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웰레스 윌더(Welles Wilder)가 개발했다. RSI는 시장가격 변동폭 중에서 시장가격의 상승폭이
모멘텀 공식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지수를 거쳐, RSI가 가장 최근에 정립된 공식이다.
모멘텀, MACD, 변화율(ROC) 등은 비표준화된 지표이다.
다시 말해, 고점 혹은 저점에 대한 제한이 없는 지표이기 때문에 매번 상대적 고점과 저점을 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RSI 고점과 저점 판단
RSI 보는법은 다음과 같다.
RSI지표는 표준화된 지표이다. 상/하한선이 정해져있기 때문이다.
RSI는 0~100 사이의 숫자로 표현된다.
RSI매매법은 30 부근일 경우 과매도로 판단하며, RSI가 70 부근일 경우 과매수로 판단한다.
과매도일 경우 매수를 고려하며, 과매수일 경우 매도를 고려한다.
주식 차트에서 설정을 클릭하면, 현재 주가와 함께 RSI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미래에셋대우 RSI 설정방법
발산(divergence)
발산(divergence)란 말 그대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흩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발산에는 상승 장에서의 발산과 하락 장에서의 발산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주가의 고점은 점차 높아지지만, RSI의 고점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하락발산'이라고 한다.
이는 가격 하락의 징조(RSI 다이버전스)이며, 매도 포지션을 취해야 한다.
상승장 발산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RSI를 활용한 매수/매도법을 '역추세 접근법'이라고 한다.
하락할 때 매수하고, 상승할 때 매도하는 방법이다.
다만, 위의 차트는 상승장에서의 하락발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위의 차트에서는 하락발산을 하고 있지만, 지속적으로 MACD 매매 신호 (발산) MACD 매매 신호 (발산) 주가는 상승해왔다.
이를 잘못된 발산신호라고 한다.
이처럼, RSI를 활용한 매수/매도 법은 상승/하락 장에서는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박스권'에서 매수 타이밍을 결정할 때 유용한 방법이다.
지금까지 오실레이터의 뜻과 RSI(상대강도지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RSI지수는 상대적 고점과 저점을 판단하기에 적합하다.
하지만 주식차트보는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 만큼, 보조 지표로써 활용해야한다.
차트는 현재 주가 흐름 상 어떤 확률로 상승/하락할 가능성이 있는지 판단하기 좋은 지표라고 생각한다.
또한 RSI지표는 사람들의 심리를 파악하기 용이하다.
사람들의 매수세가 강하면 RSI가 높아지고, 사람들의 매도세가 강하면 RSI가 낮아진다.
이를 활용하여, 매수/매도 타이밍을 스스로 잡는 방법을 연습해보시길 바랍니다.
QQQ ETF, 매년 20% 이상 수익내는 게으른 투자방법
QQQ ETF는 매년 20% 이상의 수익을 내는 ETF이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투자를 고민 중이신 가장 많은 ETF QQQ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QQQ는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나스닥 100지수를 추종하는 E
채권금리 미국채권금리 기준금리 한번에 이해하기
채권금리, 미국채권금리, 기준금 리 한번에 이ㅊ해하는 방법 채권금리 미국채권금리 테이퍼링 등 완벽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달러 물어오는 썰매견, 달러허스키입니다. 오늘은 채권금리에 대해
저평가우량주 10선, 모건스탠리 선정 2021~2023
저평가 우량주 10선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달러허스키입니다 오늘은 모건스탠리에서 발표한 저평가우량주 10선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주황색으로 칠해진 기업들의 경우, 여
비트코인 보조지표 MACD 보는 방법 : 오실레이터(Oscillator)
기본적으로 MACD 보조지표의 기준이 되는 것은 이동평균선이다. 그렇다. 이동평균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주가의 움직임을 나타내며, 이는 곧 추세의 진행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평균선은 MA라고 한다. Moving Average라는 말로, 이를 해석하면 이동 평균이 된다. 이러한 값을 선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이동평균선이다.
비트코인 보조지표 : 머니 플로우 인덱스(MFI)
머니 플로우 인덱스(MFI) 머니 플로우 인덱스란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바이낸스 기준으로 보조지표에서 MFI로 검색을 하면 머니 플로우(Money Flow)를 활용할 수 있다. 머니 플
눈치가 빠르다면 MACD에서 MA가 이동평균선을 의미한다는 것을 바로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CD는 무엇일까? 수렴이라는 의미를 가진 Covergence와 발산이라는 의미를 가진 Divergence의 줄임말을 합친 것이다. 즉, 수렴과 발산을 의미한다.
MACD는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발산을 나타낸 보조지표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MACD에서 기본적으로 숏과 롱을 알아야 하는데, 숏은 일반적으로 12, 롱은 일반적으로 26의 이동평균선으로 기본값을 설정한다.
MACD에 의한 수식 방식은 이와 같이 MACD = SHORT - LONG = 이동평균선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MACD를 통해서 오실레이터의 이동평균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보조지표가 항상 완벽한 결과를 만들어주진 않는다.
오실레이터(Oscillator)
지표 분석 방법 MACD 매매 신호 (발산) 중 하나로 횡보장세에서의 전환점(turning point)을 포착하는 데는 적합하지만 추세가 시작된 이후에는 너무 빨리 나타나 매매에 위험한 신호를 제공한다.
오실레이터(oscillator)란 넓은 의미로는 가격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모든 지수를 일컫는 말이고 좁은 의미로는 최근의 가격에서 과거 일정 시점의 가격을 빼서 산출된 결과로 나타난 플러스(+), 마이너스(-) 값을 현재 시점에서 그래프로 나타내어 분석하는 방법이다.
MACD 보조지표 설정 세팅방법
: MACD 보조지표 설정 세팅방법 이동평균 수렴 확산지수(MACD) 보조지표는 트레이딩을 할 때 롱 또는 숏 포지션 전환점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죠. 시장이 완전히 하
오실레이터를 이용한 분석은 추세분석이나 패턴 분석이 보합 국면, 즉 가격의 변동 폭이 미미할 때 분석하기 어려운 점을 보완해 주며 추세가 뚜렷하지 않을 때 유용하게 이용된다.
MACD가 시그널선을 뚫고 내려가면 매수 구간이고, 반대로 뚫고 올라가면 매도 구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MACD 보조지표를 보면 이와 같은 값 외에도 히스토그램으로 구현된 값이 있습니다. 이를 오실레이터 지표라고 합니다.
오실레이터 지표
이렇게 오실레이터 지표가 있는 이유는 MACD와 시그널 선이 후행성 지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매수와 매도 구간의 반응을 늦게 할 수밖에 없게 된다. 즉, 후행 지표는 과거 데이터를 분석해서 그에 대한 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당연히 느릴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오실레이터를 같이 보며 보조지표를 해석한다.
비트코인 보조지표 MACD 보는 방법과 오실레이터(Oscillator)
MACD란 무엇일까? 기본적으로 MACD 보조지표의 기준이 되는 것은 이동평균선이다. 그렇다. 이동평균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주가의 움직임을 나타내며, 이는 곧 추세의 진행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MACD 오실레이터는 MACD와 시그널의 이격차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지표다.
즉, 오실레이터와 MACD 보조지표에 부합되는 위치에서 매수, 매도 구간을 잡게 되면 꽤 좋은 위치에서 진입과 이탈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보조지표가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시장에는 어떤 변수가 발생할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다.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맥 (Part 2 - 05. 세력이 만드는 보조지표) - 민경인
차트의 맥 Part 2 두번째 요약입니다. 이전 요약본을 못 보신 분들을 위해 Link 첨부드립니다.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맥 (Part 2 - 01. 세력이 만드는 캔들의 비밀) - 민경인 https://causinvestment.tistory.com..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맥 (Part 2 - 03. 이동평균선의 특급 비밀) - 민경인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맥 (Part 2 - 03. 이동평균선의 특급 비밀) - 민경인
차트의 맥 Part 2 세번째 요약입니다. 이전 요약본을 못 보신 분들을 위해 Link 첨부드립니다.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맥 (Part 2 - 01. 세력이 만드는 캔들의 비밀) - 민경인 https://causinvestment.tistory.co..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맥 (Part 2 - 04. 세력이 만드는 추세와 패턴의 비밀) - 민경인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맥 (Part 2 - 04. 세력이 만드는 추세와 패턴의 비밀) - 민경인
차트의 맥 Part 2 네번째 요약입니다. 이전 요약본을 못 보신 분들을 위해 Link 첨부드립니다.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맥 (Part 2 - 01. 세력이 만드는 캔들의 비밀) - 민경인 https://causinvestment.tistory.co..
앞선 글에서와 마찬가지로 당부드리고자 하는 것은 .
글의 내용은 공식처럼 암기를 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글에서 설명하는 것들이 왜 그런 지 스스로 이해를 해보려고 노력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고, 그런 학습 법이 실전에 도움됩니다. 그 이유는 실전에서는 이 책에서 본 내용과 실제 상황이 반드시 1:1로 mapping이 되는 것이 아닐 수 있고, 상황을 파악하는데는 "이해"로 무장된 머리가 필요하지, 단순 "이론"으로 무장된 눈이 필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후자는 오히려 위험한 결과를 낳기도 합니다. 그리고 예측보다는 해석과 대응에 이 책의 내용을 활용하시면 꼭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Part 2 - 05. 세력이 만드는 보조지표
주가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은 거래량입니다.
주가의 흐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캔들과 이동평균선입니다.
거래량 + 캔들 + 이평선 = 차트
보조지표는 거래량과 캔들 모양과 이평선을 동시에 참조해야만 어느 정도 신뢰를 갖는 투자지표가 됩니다. -> 보조지표 하나만으로는 절대 매매기준이 되지 못합니다.
시장가격과 지표 움직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타나는 것: 다이버전시
대체로 바닥권에서 다이버전시 현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조만간 추세전환이 이루어진다는 신호입니다.
보조지표에서 다이버전시 현상은 단기보다는 중장기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단기적으로 보조지표는 어느 정도 신뢰를 갖는 반면에 중장기적으로는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개 이상의 각기 다른 성질의 보조지표를 서로 비교 분석해서 매매에 참조하도록 합니다.
1. OBV (On Balance Volume): 대표적인 거래량 지표
가격 변화에 대한 거래량을 관련시킨 대표적인 모멘텀 지표로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하는 것을 전제로 그랜빌에 의해 고안되었습니다.
OBV 지표는 특히 시장이 매집상태인지 분산상태인지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주가가 상승추세에서는 거래량이 증가하며, 따라서 OBV 고점이 이전보다 높아집니다. 하락추세에서는 거래량이 줄면서 OBV 저점이 낮아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반적으로 주가가 횡보하는 상태에서 OBV 상승은 누군가 주식을 저점에서 매집하고 있는 상태로 해석됩니다.
-> 일반적으로 OBV가 하락세에서 상승세로 돌아서면 주가 또한 상승반전됩니다. OBV 바닥을 지나 전고점 상향돌파 시점에서 매수 가능합니다.
OBV 지표는 거래량이 주가를 결정한다는 논리하에 탄생한 거래량지표입니다.
주가 횡보나 상승시 세력의 매집여부를 MACD 매매 신호 (발산) 참조할 수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신뢰도가 높은 만큼 데이트레이더에게 매우 유용하게 쓰입니다.
OBV 다이버전시
OBV 지표는 주가 횡보나 하락시 매집 세력의 의도를 파악하는데 하나의 참고 역할을 합니다. 실전에서 신뢰도는 큰편은 아니지만, 일단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과정에서 OBV 지표는 오히려 횡보를 하거나, 상승하는 다이버전시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매수세가 지속적으로 버티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보통 OBV 다이버전시 현상이 일어나면 누군가 꾸준히 매집을 한 상태로 판단하기 때문에 조만간 큰 폭의 상승을 예상해볼 수도 있습니다.
주가가 20일선 지지와 함께 5일선 변곡점 탄생: 상승세인 5일선이 주춤하며 하락하다 상승 중인 20일 선을 만나 다시 반등함. -> OBV 지표가 본격적인 상승세로 돌아섭니다.
OBV의 한계
OBV 지표의 한계는 단순히 거래량만으로 계산한다는데 있습니다. 무엇보다 적은 금액으로도 거래량을 늘릴 수 있는 중소형주에서는 특히 OBV 지표 하나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OBV는 한단계씩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주가는 오히려 하락추세를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주가가 하락하는 과정에서도 단순히 거래량만 늘면 OBV가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바닥권에서 거래량만 증가한다고 모두 좋은 것은 아닙니다. 소형주일수록 거래량 변화와 함께 여러가지 지표를 동시에 참조해야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OBV를 통한 거래량 분석은 반드시 이평선과 함께 분석해야합니다. 즉, OBV가 바닥권에서 거래량 증가를 보여주더라도 반드시 이평선 지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2. 시세의 강약을 분석하는 VR
VR 지표는 주가변화보다 통상 1-2일 전에 추세변화가 나타나는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바닥권에서 추세확인매수, 상투권에서도 추세확인매도가 바람직합니다. VR이 300이상은 대부분 상투권에 속합니다.
VR 지표는 OBV와 함께 대표적인 거래량 지표로 일정기간동안의 주가 상승일의 거래량을 하락일의 거래량과 비교해 시세의 강약을 분석해 줍니다. 보통 OBV가 기준일의 선택방법에 따라 수치상 오차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만들어낸 지표입니다.
기준선인 VR 100%인 경우는 일정기간 동안 주가 상승시의 거래량이 주가 하락시의 거래량과 동일함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200이상은 과열권(매도), 80이하는 침체권(매수)를 나타냅니다.
VR 바닥권에서 추세반등시 매수합니다. -> 일반적으로 VR이 70이하는 매수시점이라고 얘기하지만, 실전에서 70이하는 극도의 침체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에 오히려 섣부른 매수는 추가 급락의 위험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매매포지션을 잡기 위해서 OBV와 VR을 동시에 활용하는 방법도 유용합니다. -> 주가는 OBV와 함께 상승추세를 이어가는데 VR 지표가 급락하는 경우에는(주가는 단기 하락) 대부분 눌림목 구간입니다. 매수시점은 VR 지표가 단기 바닥을 찍고 상승전환할 때를 잡습니다.
3. MACD: 대표적인 이동 평균선 지표
보조지표 중 신뢰도가 높은 MACD는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차이 즉, 두 이동평균선 간에 좁아지는 것 (수렴)과 넓어지는 것 (발산)을 활용해 매매시점을 찾도록 해줍니다.
기본적으로 MACD 곡선이 Signal 곡선을 상향돌파할 때 매수를, 하향이탈할 때는 매도하는 관점으로 매매포지션을 취합니다. 그 외에 비교적 안전한 방법으로는 MACD 곡선이 기준선을 상향돌파할 때는 매수시점으로, 하향이탈할 때는(이때는 다소 매도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도시점으로 잡습니다.
봉 길이가 길어지면서 5일선을 이탈: 매도
5일 변곡점 탄생과 더불어 짧은 단봉과 함께 이전 고점을 지지합니다. (매수)
MACD 골든크로스 + 기준선 돌파 = 매수
· MACD 곡선 = 단기 이동평균 - 장기 이동평균
· 시그널(Signal) 곡선 = n일의 MACD 이동평균
MACD 추세선 활용
하락추세에서 MACD 저점이 높아지면서 MACD 골든 크로스가 출현하면 강한 상승 반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주가 하락 추세 돌파 + 5일 변곡점 + 20일선 지지 = 매수
60일선을 지지선으로 5일 변곡점이 탄생하고, 이어서 3일간 저점을 높입니다.
MACD 기준선 부근에서 골든 크로스가 나타나면, 적극 매수시점입니다.
· MACD 매수: MACD가 시그널을 상향돌파할 때
· MACD 매도: MACD가 시그널을 하향이탈할 때
MACD 다이버전시
주가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는데, MACD 지표는 저점을 높이며 상승하고 있다면, 조만간 추세반전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MACD 다이버전시라 부르며,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5일 변곡점이 탄생하는 순간이 절호의 매수시점이 됩니다. 거래량만으로 계산하는 OBV 다이버전시와 달리 MACD 다이버전시는 이평선을 근거로 하기 때문에(역배열상태에서 상승폭이 큽니다.) OBV보다 신뢰도가 높은 편입니다.
마찬가지로 거래량과 이평선 등을 함께 참조해야 그 이상의 값어치가 있습니다.
MACD 골든 크로스와 함께 주가의 5일변곡점 탄생: 적극매수
이동평균선이든 추세선이든 보조지표든 일단 바닥권에서 3번 저점을 확인하면 상승추세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MACD 오실레이터
MACD를 한단계 발전시킨 모형. MACD값에서 Signal의 값을 빼서 산출한 결과를 막대그래프 형태로 표시합니다.
MACD 오실레이터는 시장가격의 움직임을 미리 선도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어제의 MACD 오실레이터 움직임과 반대로 당일 MACD가 움직이면 매매신호로 인식하도록 합니다.
일반적으로 MACD 오실레이터가 기준선을 상향돌파하는 경우는 상승추세, 하향이탈하는 경우는 하락추세로 전환하는 시점입니다.
주가 고점에서 MACD 오실레이터가 상승폭이 둔화되면 매도관점입니다. 반면에 바닥권에서 하락폭을 줄이면 매수관점입니다.
MACD와 MACD 오실레이터로 확률을 높여라
초보자에게 권장하는 대표적인 지표
한가지 주의할 것은, 이동평균선 기간이 짧을 수록 가격변동이 크기 때문에 잦은 속임수 유형이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중기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안정적인 주가 흐름을 취하는 종목 위주로 MACD 오실레이터 지표 활용도가 높습니다.
4. 스토캐스틱으로 신뢰도를 높여라
스토캐스틱 (Stochastics)은 주가의 움직임을 가장 잘 나타내는 보조지표로, 백분율 %K와 %D를 이용하여 가격변동을 예측할 때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K의 값이 80 이상일 때 과매수 상태로 매도신호, %K의 값이 20 미만일 때는 과매도 상태로 매수신호로 해석합니다. 그리고 과매도 상태에서 %K 선이 %D선을 상향돌파할 때는 매수, 과매수 상태에서 하향이탈할 때는 매도시점입니다.
스토캐스틱은 대표적인 주가 탄력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현시점이 과도하게 매수한 상태인지(매도관점), 아니면 과도하게 매도한 상태인지(매수관점)를 나타냅니다.
실전에서 활용도가 높은 만큼 MACD와 OBV 지표를 동시에 활용하면 그만큼 신뢰도가 높습니다.
Slow, Fast 스토캐스틱 활용하기
일반적으로 Fast 스토캐스틱이 한템포 앞서 주가의 추세 전환을 예고하며, 이어서 Slow 스토캐스틱이 주가추세의 강도를 표시합니다.
스토캐스틱은 하락추세나 횡보권에서는 신빙성이 높은 편은 아닙니다. 그러나 주가가 추세 전환을 시도할 때는 이평선 지지 여부와 함께 매우 큰 힘을 발휘하는 보조지표입니다.
Fast 선이 먼저 상향돌파하고, 주가는 저점을 높이고 5일선에 안착하면 절호의 매수급소입니다.
눌림목 매매에서도 Fast 스토캐스틱은 매매시점을 빨리 가져가게 해줍니다.
보조지표도 하락추세에서는 무용지물이다.
하락추세에서는 그나마 신뢰도가 높다는 보조지표들 모두가 힘 한번 쓰지 못하고 무용지물로 끝나버립니다. 그만큼 수익내기가 무척 어렵다는 얘기입니다. 이를테면 하락추세 중 일시적 주가 횡보 기간이 발생한 상태에서 스토캐스틱 매수시점이 포착된들 큰 주가 변동을 기대하기는 거의 불가능 합니다.
다시 한번 강조!! 주식매매는 어떠한 경우이든 추세전환을 반드시 확인한 다음 매매에 임해야합니다. (반드시 매수 전에 전고점 돌파나 추세전환 등 확인할 것)
급등주에서도 스토캐스틱은 고가놀이 패턴으로 진행
스토캐스틱 선이 80이상이면 과매수권이라고 판단해 매도 포지션을 취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급등주에서는 비록 과매수권이라고 해도 1차 눌림목과 2차 눌림목까지 주면서 주가가 고공행진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고가권에서 스토캐스틱은 80 이상에서 고가놀이로 진행됩니다. 즉, 고가권에서도 저점과 고점을 높이면서 추가유입되는 매수세의 힘이 얼마나 강한지를 나타내 줍니다.
주식 시장의 펀드멘탈이 개선되어야 추가상승을 위한 모멘텀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5. RSI (추세강도지수)
기술적 분석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추세가 전환되는 시점을 예측하는 것입니다.
과도한 하락추세에서는 손절매가 아닌 매수 관점으로 접근하고, 과도한 상승추세에서는 매도관점으로 접근해야 하는데, 이러한 추세 국면을 예측하는데 RSI(추세강도지수) 지표가 활용됩니다. RSI는 현재의 주가추세가 얼마나 강한 상승추세인지 혹은 하락추세라면 얼마나 강한 하락추세인지를 백분율로 나타내줍니다.
보통 70% 이상은 강세(과매수상태 - 매도관점), 30% 이하는 약세(과매도상태 - 매수관점: 하락추세 상향돌파시 매수관점).
RSI 다이버전시가 발생한 다음, 이전 저점을 지지한다면 추세는 상승전환될 확률이 높습니다.
RSI는 MACD와 함께 데이트레이더가 주로 활용하는 보조지표에 속합니다.
n일 기간의 지수이동평균을 3차례에 걸쳐 부드러운 상태로 다시 지수이동평균하여 그 변화율을 나타낸 지표입니다. 스토캐스틱보다 매매시점이 다소 늦다는 단점이 있지만, 3차례나 평활한 만큼 곡선이 부드럽고 매끄럽기 때문에 그만큼 추세의 힘을 보다 정확히 알아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른 지표와 유사하게 바닥권에서의 골든 크로스와 기준선 상향돌파 등이 매수시점입니다.
TRIX는 바닥권에서 추세의 신뢰도가 높습니다.
7. 일목균형표 (Ichimoku Clouds)
선행스팬 1, 2 사이를 구름대라고 부르는데, 이 구름대를 돌파하는 시점에 따라 추세의 방향이 결정됩니다.
일목균형표를 활용한 일반적 매수신호
1. 전환선이 기준선 위에 위치하면 매수관점입니다.
2. 기준선이 봉차트 아래에 위치하면 지지선 역할을 합니다.
3. 후행스팬이 26일 전 주가를 상향돌파하고 기준선 방향이 위쪽이면 상승추세입니다.
4. 봉차트가 구름대를 상향돌파하면 상승국면입니다.
*참고로 기술적 분석 관련 다른 도서와 동영상 Link 올립니다.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 of the financial markets)- 존 J. 머피(John J. Murphy)
투자도서요약: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 of the financial markets)- 존 J. 머피(John J. Murphy)
주식 투자를 하다보면 크게 기업 가치에 대한 기본적 분석을 바탕으로 가치투자를 지향하는 사람과 주가 움직임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통한 매매 (trading)을 지향하는 사람을 만나게 됩니다. 그
차트의 기술 - 김정환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기술 - 김정환
요즘 한참 Trading 하기 좋은 시장이라는 글을 시황 분석에서 올려드린 적이 있습니다. 혹시, 기술적 분석에 대해 교과서적인 책을 찾으시는 분이 있으시면, 한번쯤 고려해보실 만한 책 하나 추천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2. 분석편 - 박경철
투자도서요약: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2. 분석편 - 박경철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1편에 이어 2편인 분석편입니다. 우선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모두 분석의 내용에 포함 시켰다는 것이 눈에 띄입니다. 어느 쪽에 치우치지 않음은 느낄 수
시골의사의 다시 쓰는 기술적 분석 동영상 Link입니다. (기술적 분석 학습용)
시골의사의 다시 쓰는 기술적 분석 동영상 Link입니다. (기술적 분석 학습용)
방금 투자도서요약으로 시골의사 박경철님이 쓰신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2편을 올려드렸습니다. 2편에 소개된 분석 중 기술적 분석과 관련해서 시골의사님이 직접 강의한 것이 있어서 참고로
주식 차트 보고 트레이딩 하려는 분들께 도움이 될만한 유투브 (창원개미TV)
주식 차트 보고 트레이딩 하려는 분들께 도움이 될만한 유투브 (창원개미TV)
투자 도서 요약을 해서 블로그에 올리난 뒤에 보니, 주식 차트 관련한 책에 대한 조회수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차트만 보고 하는 투자는 적극 말리는 입장이지만, 상승장, 특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