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의경제] 1. 다음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이동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의 맞음 또는 틀림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연관된 다른 재화의 가격 변화는 수요 곡선을 이동시킨다. 2. 다음은 수요곡선 시장의 균형에 대한 설명이다. 3. 다음은 신문 기사의 일부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 연관된 다른 재화의 가격 변화는 수요 곡선을 이동시킨다.
- 생산 요소의 가격 변화는 수요 곡선을 이동시킨다.
- 상품에 대한 기호의 변화는 공급 곡선을 이동시킨다.
- 생산 기술의 변화는 공급 곡선을 이동시킨다.
-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직일 때, 수요 곡선이 이동하면 균형 거래량은 변화하지 않고 균형 가격만 변화한다.
-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직일 때, 수요 곡선이 이동하면 균형 거래량과 균형가격 모두 변화하지 않는다.
-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평일 때, 수요가 증가하면(수요 곡선의 오른쪽 이동) 균형 거래량이 증가한다.
-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평일 때, 수요가 증가하면(수요 곡선의 오른쪽 이동) 균형 가격이 높아진다.
- 수급이 안정화된 이후, 공적 마스크의 가격을 1,500원으로 유지한 것은 가격 상한제와 가격 하한제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수급이 안정화된 이후, 공적 마스크의 가격을 1,500원으로 유지함으로써 재고가 쌓인 이유를 설명하시오.
-정부의 역할에 대한 경제학적 설명에 따라 공적 마스크의 가격 설정을 평가하시오.
▣ 생활속의경제
1. 다음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이동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의 맞음 또는 틀림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2. 다음은 시장의 균형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의 맞음 또는 틀림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3. 다음은 신문 기사의 일부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 2021년 2학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속의경제 참고자료입니다.
▣ 참고문헌을 명시하였습니다.
▣ 주제와 관련없는 내용으로 채워진 자료를 유의하세요.
▣ 자세한 내용은 목차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여러가지 참고자료를 활용하여 설득력 있게 작성하였습니다.
위 내용 심혈을 기울여 작성하였습니다. 방통대, 방송대 생활속의경제 관련자료 작성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생활속의경제 1. 다음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이동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의 맞음 또는 틀림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a) 연관된 다른 재화의 가격 변화는 수요 곡선을 이동시킨다.
(b) 생산 요소의 가격 변화는 수요 곡선을 이동시킨다.
(c) 상품에 대한 기호의 변화는 공급 곡선을 이동시킨다.
(d) 생산 기술의 변화는 공급 곡선을 이동시킨다.생활속의경제
생활속의경제 2. 다음은 시장의 균형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의 맞음 또는 틀림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a)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직일 때, 수요 곡선이 이동하면 균형 거래량은 변화하지 않고 균형 가격만 변화한다.
(b)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직일 때, 수요 곡선이 이동하면 균형 거래량과 균형가격 모두 변화하지 않는다.
(c)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평일 때, 수요가 수요곡선 증가하면(수요 곡선의 오른쪽 이동) 균형 거래량이 증가한다.
(d)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평일 때, 수요가 증가하면(수요 곡선의 오른쪽 이동) 균형 가격이 높아진다.
생활속의경제 3. 다음은 신문 기사의 일부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 이제는 수급이 안정화되면서 줄이 사라진 것은 물론 심지어 공적 마스크 재고가 쌓인다고 하죠. . 그런데 참 이상하게도, 대형마트는 여전히 마스크를 사려는 엄마들로 붐비고 있어요. . 공적 마스크는 1개당 1,500원에 판매하고 있어요. 반면 이마트 창고형 매장인 트레이더스는 최근 KF94 마스크의 개당 가격을 공적 마스크보다 저렴한 1,300원으로 책정해 판매했 어요. (윤한 슬,“약국엔 마스크 남는데··· 마트엔 왜 마스크 사러 줄 설까”, 한국일보 2020.5.28.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 *************35290)”
(a) 수급이 안정화된 이후, 공적 마스크의 가격을 1,500원으로 유지한 것은 가격 상한제와 가격 하한제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b) 수급이 안정화된 이후, 공적 마스크의 가격을 1,500원으로 유지함으로써 재고가 쌓인 이유를 설명하시오.
(c) 정부의 역할에 대한 경제학적 설명에 따라 공적 마스크의 가격 설정을 평가하시오.
생활속의경제 1. 다음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이동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의 맞음 또는 틀림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a) 연관된 다른 재화의 가격 변화는 수요 곡선을 이동시킨다.
서로 유사한 효용을 얻을 수 있어 서로 대체 가능한 재화를 대체재라고 하고, 두 개 이상의 재화가 함께 소비될 때 효용이 발생하는 재화를 보완재라고 한다. 대체제의 대표적인 예로, 버터와 마가린을 들 수 있다. 버터와 마가린은 대체제이기 때문에 마가린 가격이 상승하면 버터의 수요가 상승함에 따라 수요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균형가격과 균형량이 생긴다. 반대로 마가린 가격이 하락하면 버터의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수요 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새로운 균형가격과 균형량이 생긴다.
2. 다음은 시장의 균형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의 맞음 또는 틀림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a)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직일 때, 수요 곡선이 이동하면 균형 거래량은 변화하지 않고 균형 가격만 변화한다.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직일 때, 수요가 증가하는 경우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균형거래량은 불변한다. 그리고 수요가 감소하는 경우에는 균형가격이 하락하고 균형거래량은 불변한다. 즉,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고 공급 곡선이 수직일 때, 수요 곡선이 이동하면 균형 거래량은 변화하지 않고 균형 가격만 변화하는 것이다.
3. 다음은 신문 기사의 일부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a) 수급이 안정화된 이후, 공적 마스크의 가격을 1,500원으로 유지한 것은 가격 상한제와 가격 하한제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 가격 상한제는 정부가 시장가격보다 낮은 수준으로 가격 통제를 해서 그 이상의 가격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제도로, 최고 가격제라고도 한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규제, 소비자 보호 등을 목적으로 이러한 정책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최고 가격제는 초과수요를 불러일으키는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수요와 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읽기 전 시장 구분에 대한 간략한 의미를 먼저 아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경제학] 수요공급이론 - 완전경쟁시장, 불완전경쟁, 독점, 과점, 독점적 경쟁
안녕하세요! 다과랜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요공급이론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고, 다음글에서 수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시장(market): 특
수요량(quantity demanded): 소비자들이 값을 치르고 구입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재화의 양
수요의 법칙(law of demand): 다른 조건이 불변일 때 어떤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 재화의 수요량이 감소하는 법칙
유량(flow): 일정기간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양
저량(stock): 어느 시점에서 측정되는 양
참고로, 수요량은 유량입니다.
수요함수(demand function): 재화의 수요량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간의 관계를 표현한 함수
수요함수는 단순히 여러 관계를 하나의 식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현상을 식으로 표현했을 뿐, 개념적으로 다를게 없습니다. 무서워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Q_D = D(P, P_1, … , P_n, Y) $$
여기서 함수 D가 존재합니다. 함수 이름이 D입니다.
P들은 수요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입니다.
예를 들어서 사탕의 수요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에는 가격,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염려 등이 존재하겠죠.
이것들을 \( P_n \) 이라는 알파벳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위에서 표현한 함수 식에 의해서 ‘수요 곡선(demand curve)’ 이 그려집니다.
식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다만, 여기에 조건이 있습니다. "Ceteris Paribus"입니다.
이는 라틴어 문장인데요, 'other things being equal,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면'이라는 뜻입니다.
수요곡선은 이러한 가정 아래에서 수요함수로부터 도출합니다.
시장수요: 시장에 있는 모든 수요자의 수요를 합한 수요량
그래프 상에서는 개인의 개별적 수요를 수량축을 따라 수평으로 합한 곡선이 시장 수요곡선입니다.
어려워보이지만, 이해하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아래를 한번 살펴봅시다.
한가지 예를 들어봅시다. 시장에 A와 B가 있다고 해봅시다.
A는 사탕이 500원일 때 5개를 원하고, B는 500원일 때 3개를 원한다고 해봅시다.
이때 A와 B가 있는 시장수요는 이 5개와 3개를 합한 8개가 됩니다. (500원일 때)
여기서 그래프에서 수평합이라 함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장 수요는 개별 수요의 수평합
위의 3개 그래프를 보시면, 500원일 때 A가 원하는 사탕의 개수는 5개, B는 3개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시장 수요는 5와 3을 더한 8개 입니다. 이는 500원 일 때 입니다.
이처럼 모든 가격에 대해서 시장 수요를 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 3개를 봐주세요. 여기서 볼 수 있듯이 초록색 ‘수평선’이 각 가격의 위치를 알려줍니다.
초록색 선 위에 위치한 두 개의 점의 합이 빨간색 그래프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수평적으로 더한다해서 ‘수평합’인 것입니다.
다시 말해 하나의 가격에서 수요들을 다 더한 것이 그 가격에서의 시장 수요입니다.
수요 이동
이번에는 수요곡선상의 이동 과 수요곡선의 이동 을 다뤄보겠습니다.
많이들 아시겠지만, 수요곡선은 이동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구별해야하는 점은 1) 수요곡선 ‘위에서’ 이동하는 것과 2) ‘수요곡선 자체가’ 이동하는 것입니다.
1) 수요곡선 상에서 이동하는 것은 ‘수요량의 변화’이며, 이는 한 재화의 가격 변동에 따른 수요량의 변동입니다.
수요량 자체가 변화하는 것입니다.
2) 수요곡선 자체가 이동하는 것은 ‘수요의 변화’이며, 이는 한 재화의 가격이 아닌 다른 변수에 의해 발생합니다. 가격이 아닌 다른 변수에 의한 수요량의 변화는 수요곡선 자체를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이동시킵니다.
다른 변수들로는 소비자 소득의 변화, 관련재화의 가격 변동, 선호&유행의 변화, 미래가격에 대한 예측(투기 등), 수요자 수의 변화 등이 있습니다.
즉, 오직 ‘가격’이라는 변수만 ‘수요곡선상의 이동’이고, 다른 변수들은 ‘수요곡선 자체’를 이동시킵니다.
소득에 따른 수요곡선 이동
수요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정상재(normal good)의 수요는 증가하고, 열등재(inferior good)의 수요는 감소합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돈을 많이 벌수록 비싼 핸드폰의 수요는 증가하지만, 소형차의 수요는 감소합니다.
연관재의 가격 변동에 따른 수요곡선 이동
연관된 재화 등의 가격이 변동되는 경우입니다.
대체제(substitutes)의 경우에는 한 재화 가격이 하락하면 다른 재화 수요가 감소합니다.
예를 들어, 커피와 차가 있습니다. 커피가격이 하락하면 차의 대한 수요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커피가 차를 대신할 수 있기 때문이죠.
보완재(complements)의 경우는 한 재화 가격이 하락하면 다른 재화의 수요가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커피와 설탕이 있습니다. 설탕은 커피를 보완하는 보완재입니다. 커피의 가격이 하락하면 커피의 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설탕의 수요 또한 증가합니다.
공급량(quantity supplied): 판매자가 팔 의사와 능력이 있는 수량
공급의 법칙(law of suppy): 다른 조건이 불변일 때, 어느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 재화의 공급량이 증가하는 법칙
공급함수: 재화의 공급량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
$$ Q_s = S(P, r_1, …, r_m) $$
위의 수요함수와 마찬가지로 여러 변수들을 식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함수의 이름이 S입니다. \( Q_s \) 는 공급량을 의미하죠.
공급곡선: 어느 재화의 가격과 공급량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공급도 수요와 비슷한 양상을 가집니다.
시장공급은 개별공급의 수평합니다.
즉, 그래프 상에서 개별 공급을 수량 축을 따라 수평으로 합한 곡선이 시장공급 곡선입니다.
위의 수요곡선과 동일하죠?
시장공급은 개별 공급의 수평합
공급곡선에서도 수요곡선과 마찬가지로 1) ‘공급곡선 상의 이동’과 2) ‘공급곡선 자체의 이동’이 있습니다.
1) 공급곡선 상의 이동은 재화의 가격 변동에 따른 공급량의 변화입니다.
반면, 2) 곡선 자체가 이동하는데는 가격 외 변수들이 영향을 미칩니다.
가격 외 변수로는 요소가격의 변동, 기술의 변화, 가격변화에 대한 예측, 공급자 수의 변화 등이 있습니다.
요소가격의 변동 으로는 하나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여러 재료들의 가격 변동에 의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매번 식당에 갈 때마다 음식의 가격이 오르죠. 식자재의 가격 상승이 하나의 원인입니다.
기술의 발전 으로 공급곡선이 이동합니다.
예를 들어 1분에 100개의 사탕을 생산할 수 있는 기계가 있었는데, 기술의 발전으로 1분에 1000개를 만들 수 있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같은 시간동안 더 많이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이 늘어나겠죠.
시장균형(market equilibrium):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해서 소비자와 생산자가 자신의 행동을 바꾸지 않는 수요곡선 상태
균형가격(equilibrium price):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는 가격
균형거래량(equilibrium quantity): 균형가격에서의 수요량과 공급량
시장 균형
초과 공급, 수요
초과 공급: 가격이 균형가격보다 높아서 - 공급량이 수요량을 초과하는 상태
이 경우, 공급자들은 가격을 낮춰 판매량을 늘리려 합니다.
그 결과, 가격이 균형가격에 수렴하죠.
초과 수요: 가격이 균형가격보다 낮아서 - 수요량이 공급량을 초과하는 상태
이 경우, 공급자들은 가격을 인상하여 수요를 조절하려 합니다.
그 결과, 가격이 균형가격에 수렴하죠.
수요공급의 수요곡선 법칙: 시장에서 가격이 변동하여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도록 조정이 이루어짐
여기서는 경쟁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제4장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지금까지 시장수요곡선이 우하향한다는 사실, 즉 어떤 재화의 가격이 하락하면 그 재화에 대한 수요량은 증가하고, 반대로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은 감소하는 현상인 ‘어떤 방향’으로 변화하는가를 고찰 이제는 재화의 가격이 변화할 경우 수요량이 ‘얼마나’ 변화하는가의 문제가 탄력성의 개념 → 가격이 변화할 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화할 것인가의 민감도 탄력성(elasticity)이란 독립변수의 변화에 대한 종속변수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써 종속변수(수요량)의 변화율을 독립변수(가격)의 변화율로 나누어 구한다. 제1절 수요의 탄력성(elasticity of demand) 1. 수요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of demand) 수요의 가격탄력성이란 독립변수인 재화의 가격이 변화할 때 종속변수인 재화의 수요량이 변화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 ■ 재화의 가격단위가 크게 다른 재화들의 경우 그 가격변화의 절대치만으로는 수요량의 변 화 정도를 정확히 나타낼 수 없다. → 따라서 수요곡선 가격변화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 정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하여는 변화율(%) 을 기준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그 개념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부(-)의 값을 가진다. - 수요의 법칙이 작용하기 때문(재화가격 ↑ → 수요량 ↓, 재화가격 ↓ → 수요량 ↑) - 일반적으로 부(-)의 기호 무시, 절대치만을 중시 - 일반적으로 수요에 재화의 가격이 수요량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수요의 탄력성’이 라 할 때에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의미 2. 탄력성의 측정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그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호탄력성(arc elasticity)과 점탄력성(point elasticity)으로 구분 1) 호탄력성 : (대문자; Δ) 수요의 호탄력성은 수요곡선상의 두 점 사이의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 ☞ 호탄력성은 출발점을 알 수 있는 경우에는 계산이 쉽다. 그러나 출발점을 모르는 경우, 호탄력성의 값은 수요곡선상의 어느 점을 출발점으로 하느냐에 따라 값이 다르게 나타남. ☞ 두 값의 차이는 두 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심하고, 가까울수록 유사해진다.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발점을 모르는 경우에는 수요곡선상의 두 점의 평균을 기준으로 변화율을 계산 [그림] 호탄력성의 측정 ΔQ ΔP D P1 P2 가격 0 수요량 Q1 Q2 a b 2) 점탄력성 : (소문자; d) 수요의 점탄력성은 수요곡선상의 한 점에서의 가격변화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 ☞ 점탄력성은 수요곡선상의 두 점간 거리를 무한히 가깝게 잡고 측정한 호탄력성을 의미 ⇒에서 ΔP가 무한히 0에 가까워지면 가 된다. [그림] 점탄력성의 측정 (A) 수요곡선이 직선인 경우 (B) 수요곡선이 곡선인 경우 수요량 수요량 가격 C B 0 M T A C B 가격 0 M T A D 분모 분모 분자 분자 [그림] (A)에서와 같이 수요곡선이 직선이면, ① (기울기의 역수) = ② P (재화가격) = AM ③ Q (수요량) = OM ⇒ A점에서의 점탄력성은 그러므로 수요곡선이 직선일 경우 A점에서의 점탄력성은 (∵ 삼각형 COT와 CBA, 그리고 AMT는 닮은 꼴) [그림] (B)에서와 같이 수요곡선이 곡선이면, 수요곡선의 A점에 접선을 그렸을 때 A점에서의 점탄력성은 가 된다. 또한 (B)를 보면 A점에서의 점탄력성은 3. 탄력성의 범위 : ‘0’에서 ‘무한대(∞)’까지 1) 완전비탄력적(perfectly inelastic) : 재화의 가격이 변화하여도 수요량이 전혀 변화하지 않는 경우 2) 비탄력적(inelastic) : 가격의 변화율보다 수요량의 변화율이 작은 경우 3) 단위탄력적(unitary inelastic) : 가격의 변화율과 수요량의 변화율이 같은 경우 4) 탄력적(elastic) : 가격의 변화율보다 수요량의 변화율이 큰 경우 5) 완전탄력적(perfectly elastic) : 재화가격이 미세한 변화에 대하여 수요량의 변화율이 크게 변하는 경우 [그림] 선형 수요곡선상에서의 점탄력성의 크기 0 Q1 C B P1 가격 A 수요량 [그림] 수요곡선의 기울기에 따른 탄력성의 크기 (A) 완전비탄력적 수요곡선 - 수직형태의 수요곡선 (B) 완전탄력적 수요곡선 - 수평형태의 수요곡선 (C) 단위탄력적 수요곡선 - 직각쌍곡선형태의 수요곡선 ※ 직각쌍곡선(rectangular hyperbola) : 각 점에서 만들어내는 아래 면적이 항상 같은 곡선을 말함. (C) (B) 0 Q1 Q2 P2 P1 가격 A 수요량 (A) 4. 수요의 탄력성의 결정요인 1) 대체재의 존재여부와 다소 : 한 재화의 수요탄력성 크기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대체재의 존재여부(공급) - 어떤 재화의 대체재가 존재한다면 그 재화의 수요탄력성은 매우 크다. 어떤 재화의 대체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재화의 수요탄력성은 매우 작다. - 어떤 재화의 대체재의 종류가 많으면 그 재화의 수요탄력성은 매우 크다. 어떤 재화의 대체재의 종류가 적으면 그 재화의 수요탄력성은 매우 작다. (예 : 대학가 식당들 → 탄력성 크다 / 전기, 가스, 석유 등 → 탄력성 작다) 2) 재화의 가격이 가계소득에서 차지하는(소비자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 한 재화 구입액이 소비자의 예산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 재화의 수요탄력성에 영향 - 재화의 구입액이 소비자 예산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면 수요탄력성은 크다. (예 : 자동차, 장롱, 컴퓨터 등) - 재화의 구입액이 소비자 예산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으면 수요탄력성은 작다. (예 : 책, 볼펜, 소금, 치약 등) 3) 재화의 생활필수품 여부 : 재화가 생활필수품인가, 사치품인가에 따라 수요탄력성의 크기가 다르다. - 어떤 재화가 생활필수품이면 탄력성이 작다. (예 : 쌀, 전기, 가스, 전화 등) - 어떤 재화가 사치품이면 탄력성이 크다. (예 : 다이아몬드반지 등) 4) 소비자의 습관에 대한 적응기간 : - 소비자가 재화의 새로운 가격에 적응하기에 시간이 필요한 수요곡선 재화, 즉 소비습관의 조 정이나 다른 보조적 내구재의 조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재화의 수요는 비탄력적이다. (예 : 애연가의 담배, 난방용 기름 → 탄력성이 작다) - 소비자가 재화의 새로운 가격에 적응하기에 시간이 필요없는 재화의 수요는 탄력적 이다. (예 : 비누, 샴푸 등 일상용품 → 탄력성이 크다) 5. 수요의 소득탄력성과 교차탄력성 1) 수요의 소득탄력성 : 소득이 변화할 때 재화의 수요량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 - 대부분 소득이 증가하면 수요량이 증가 → 따라서 소득탄력성은 정(+)의 값을 가짐. ① 정상재 :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정(+)의 값을 갖는 재화 ② 열등재 :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부(-)의 값을 갖는 재화 -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부호(+, -)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① 사치품 : 소득탄력성이 ‘+’값일 뿐만 아니라, 탄력성이 비교적 크다. ② 생활필수품(식품, 의복 등) : 소득탄력성이 작고, 경우에 따라 ‘-’값을 갖는다. → 동일 소비자에게도 소득증가에 따라 동일 재화가 정상재에서 열등재로 변할 수 있다. (예 : 돼지고기, 소주 등) 2) 수요의 교차탄력성 : 연관 재화의 가격변화에 따라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 - 수요의 교차탄력성은 부호(+, -)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① 대체관계 : 수요의 교차탄력성이 정(+)의 값을 갖는 재화 (예 : 버스 / 지하철) ② 보완관계 : 수요의 교차탄력성이 부(-)의 값을 갖는 재화 (예 : 커피 / 설탕) ③ 독립관계 : 수요의 교차탄력성이 ‘0’의 값을 갖는 재화 (예 : 버스 / 설탕) 제2절 공급의 탄력성 지금까지 시장공급곡선이 우상향한다는 사실, 즉 어떤 재화의 가격이 하락하면 그 재화에 대한 공급량은 감소하고, 반대로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은 증가하는 현상인 ‘어떤 방향’으로 변화하는가를 고찰 이제는 재화의 가격이 변화할 경우 공급량이 ‘얼마나’ 변화하는가의 문제가 탄력성의 개념 → 가격이 변화할 때 공급량이 얼마나 변화할 것인가의 민감도 탄력성(elasticity)이란 독립변수의 변화에 대한 종속변수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써 종속변수(공급량)수요곡선 의 변화율을 독립변수(가격)의 변화율로 나누어 구한다. 1. 공급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of supply) - 공급의 가격탄력성이란 독립변수인 재화의 가격이 변화할 때 종속변수인 재화의 공급 량이 변화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 ■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그 개념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정(+)의 값을 가진다. - 공급의 법칙이 작용하기 때문(재화가격 ↑ → 공급량 ↑, 재화가격 ↓ → 공급량 ↓) 2. 탄력성의 측정 -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그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호탄력성(arc elasticity)과 점탄력성 (point elasticity)으로 구분 1) 호탄력성 : (대문자; Δ) 공급의 호탄력성은 공급곡선상의 두 점 사이의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율 2) 점탄력성 : (소문자; d) 공급의 수요곡선 점탄력성은 공급곡선상의 한 점에서의 가격변화율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율 ⇒에서 ΔP가 무한히 0에 가까워지면 가 된다. [그림] 탄력적인 공급곡선 가격 C A 0 B M 공급곡선 공급량 [그림]에서와 같이 공급곡선의 연장선을 그어 ① (기울기의 역수) = ② P (재화가격) = MC ③ Q (수요량) = OM ⇒ 점에서의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1) [그림]에서 공급곡선이 종축을 자를 때에는 AM의 길이가 OM의 길이보다 크므로 공급탄력성은 1보다 크다. 그리고 점에서 점으로 접근할수록 공급탄력성은 커진다. > 1 [그림] 비탄력적인 공급곡선 가격 C A 0 M 공급곡선 공급량 2) [그림]과 같이 공급곡선이 횡축을 자를 때는 공급탄력성은 1보다 작다. < 1 [그림] 탄력성이 1인 공급곡선 가격 C 0 M 공급곡선 공급량 3) [그림]과 같이 공급곡선이 원점을 지날 때는 공급탄력성은 항상 ‘1’이다. = 1 [그림] 공급곡선의 기울기와 탄력성 (B) 0 Q0 P0 가격 공급량 (A) [그림] 비선형(=곡선형) 공급곡선의 탄력성 가격 E1 S2 0 S1 E2 공급곡선 공급량 [그림]에서와 같이 공급곡선이 비선형(곡선)이면, 공급곡선의 점에 접선을 그렸을 때, 점에서의 탄력성을 구할 수 있다. 3. 탄력성의 범위 : 수요의 탄력성과 마찬가지로 ‘0’에서 ‘무한대(∞)’까지 -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그림] 탄력적인 공급곡선에서와 같이점에서점으로 접근할수 록 탄력성은 커지고 멀어질수록 탄력성이 ‘1’에 가까워진다. -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공급곡선의 기울기에 따라 크기가 다르다. ① 공급곡선의 기울기가 가파르면 탄력성은 작아진다. ② 공급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하면 탄력성은 커진다. 1) 완전비탄력적(perfectly inelastic) : 재화의 가격이 변화하여도 공급량이 전혀 변화하지 않는 경우 (예 : 고미술품, 골동품, 토지 등) 2) 비탄력적(inelastic) : 가격의 변화율보다 공급량의 변화율이 작은 경우 3) 단위탄력적(unitary inelastic) : 가격의 변화율과 공급량의 변화율이 같은 경우 4) 탄력적(elastic) : 가격의 변화율보다 공급량의 변화율이 큰 경우 5) 완전탄력적(perfectly elastic) : 재화가격이 미세한 변화에 대하여 공급량의 변화율이 크게 변화하는 경우 가격이이하일 때 전혀 공급하지 않고,이상일 때 무한 공급 4. 공급탄력성의 결정요인 1) 생산요소의 수요․공급 : - 가격변화에 따라 생산량을 변화시킬 때 생산요소의 수급이 용이하면 탄력성은 크다. - 가격변화에 따라 생산량을 변화시킬 때 생산요소의 수급이 불리하면 탄력성은 작다. 2) 생산비의 변화 : - 어떤 재화의 공급에 따른 생산비가 하락하면 그 재화의 공급탄력성은 크다. - 어떤 재화의 공급에 따른 생산비가 상승하면 그 재화의 공급탄력성은 작다. 3) 공급량의 조절기간 : - 가격에 대응하여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간이 짧은 재화는 공급이 탄력적이다. (예 : 식당의 음식 → 탄력성이 크다) - 가격에 대응하여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간이 긴 재화는 공급이 비탄력적이다. (예 : 철강제품, 농산물 → 탄력성이 작다) 4) 생산기간의 장․단기 : - 장기에 있어서는 생산설비의 확장을 통해 공급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공급탄력성 은 단기보다 크다(단기의 탄력성 < 장기의 탄력성). 5. 탄력성의 경제적 의미 - 소비자가 어떤 재화를 구입하는데 지불되는 돈은 판매자 입장에서는 수입 (소비자 총지출 = 판매자 총수입) 기업의 총수입(=소비자 총지출) = 가격×수요량 ; - 총수입과 수요의 가격탄력성 사이에는 중요한 관계가 있음. [그림] 탄력성과 총수입의 변화 수요량 0 가격 탄력적 단위탄력적 비탄력적 탄력적 비탄력적 단위탄력적 가격 0 총수입(=총지출) 1) 비탄력적인 경우 : 재화의 가격변화율에 비해 수요량의 변화율이 작다. - 재화의 가격 하락율 >수요량 증가율 → 기업의 총수입 감소 - 재화의 가격 상승율 > 수요량 감소율 → 기업의 총수입 증가 ※ 완전비탄력적인 경우 재화가격 하락은 수요량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총수입 크게 감소 2) 단위탄력적인 경우 : 재화의 가격변화율과 수요량의 변화율이 같다(탄력성 = ‘1’). - 재화의 가격이 변해도 기업의 총수입은 변동하지 않음. 3) 탄력적인 경우 : 재화의 가격변화율에 비해 수요량의 변화율이 크다. - 재화의 가격 하락율 < 수요량 증가율 → 기업의 총수입 증가 - 재화의 가격 상승율 < 수요량 감소율 → 기업의 총수입 감소 ※ 완전탄력적인 경우 가격하락은 수요량이 크게(∞) 변하기 때문에 총수입 크게(∞) 증가 <표>수요탄력성과 기업의 총수입의 변화 탄력성의 크기 재화의 가격 기업의 총수입 비탄력적인 경우 상 승 (↑) 하 락 (↓) 증 가 (↑) 감 소 (↓) 단위탄력적인 경우 상 승 (↑) 하 락 (↓) 불 변 (―) 불 변 (―) 탄력적인 경우 상 승 (↑) 하 락 (↓) 감 소 (↓) 증 가 (↑)표>
수요곡선이 - 영어 뜻 - 영어 번역
if we think about this demand curve being perfectly flat then basically the producer can't charge any more for their good.
We see that this cheap car right here had the unusual property that when the incomes went up the demand curve shifted to the left.
this means that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price will correspond to a smaller percentage decrease in the quantity demanded of coffee.
한국어 - 영어
영어 - 한국어
and required to achieve the purposes illustrated in the cookie policy. If you want to know more or withdraw your consent to all or some of the cookies, please refer to the cookie policy .
By closing this banner, scrolling this page, clicking a link or continuing to browse otherwise,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Opt-Out of the sale of personal information
We won't sell your personal information to inform the ads you see. You may still see interest-based ads if your information is sold by other companies or was sold previously. Opt-Out Dismiss
꽃 수요 증가의 영향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상승하고, 공급이 증가하면 가격이 하락해.
4 시장 가격은 어떻게 달라질까?
한 송이당 1,000원에 거래되는 꽃을 예로 들어 수요가 변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졸업식이 있는 날, 어버이날, 스승의 날에는 꽃에 대한 수요가 매우 증가하여 수요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수요가 증가했음에도 꽃 가격이 그대로 1,000원이라면 수요량이 공급량보다 많은 현상이 일어난다. 이에 따라 꽃 가격이 올라간다. 꽃 가격이 1,200원이 되면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여 새 시장 가격에 도달한다. 이처럼 수요가 증가하면 수요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공급 곡선과 만나는 점에서 새로운 시장 가격이 형성된다. 더 높은 수준에서 형성된 새 균형 가격에서는 거래량이 이전보다 증가한다.
이번에는 공급이 변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날씨가 좋으면 농수산물의 공급이 증가하며, 생산 기술이 발달하면 공산품의 공급이 증가한다. 그 결과 공급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이전에 비해 낮은 수준에서 균형 가격이 형성되고 거래량이 증가한다.
수요 증가와 새 균형 가격
공급 증가와 새 균형 가격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