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환매
최근 원장님들로부터 가장 많이 받고 있는 질문은 4분기 들어 주식시장이 1700선에서 다시 1650선으로 조정을 받고 있다보니 불안하신 마음에서 그리고 동안 손실보았던 펀드가 원금이상으로 회복되자 그냥 두어야 할지 아님 환매를 해야할지 고민이 많다는 내용입니다.
환매 해야할까 말아야할까. 장기로 묶혀둘 자금이 아니라면 적절한 타이밍에서 환매하는 것이 수익창출의 중요한 요소인건 분명한데 문제는 환매시기에 대한 정답에 없다는데 있습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급하게 자금이 필요하지 않다면 환매를 적극 권유하지 않습니다. 원금회복이나 수익률에만 의존하는 투자는 시장을 따라가기에 급급한 후행적 주식 환매 투자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손실입은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이런 논리가 귀에 잘 들어오지 않습니다. 투자할때 가장 중요한것은 뭐니뭐니 해도 수익률이기 때문입니다.
환매역시 적절한 타이밍만 안다면 손해를 만회하고 새로운 기회도 발굴할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펀드 현명하게 환매하는 몇가지 방법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자신이 가입한 펀드 종류를 따져야 합니다. 적립식펀드는 계약기간 이전이라면 환매수수료 가 발생합니다. 펀드가 여러 개라면 적립식보다는 거치식의 환매를, 절세형보다는 세제혜택이 없는 펀드의 환매를 우선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적립식펀드는 주가하락후 상승때 효과가 큰 상품이므로 장기투자에 유리하고 세제혜택 주식 환매 상품은 중도해지시 기존에 발생한 세금혜택부분까지도 환급해야 하므로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다음은 투자자 스스로 감내할수 있는 위험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실은 나지만 위험을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 분할매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환매시 안전한 방법은 매도기간은 길게 , 금액은 최대한 나누어 매도하는 것이 좋기때문입니다.
이제 수익률인데요 투자자들이 범하게 쉬운 오류가 성과가 우수한 펀드부터 환매한다는 겁니다. 원금회복에 급급해 성과가 나쁜 펀드에 집착하는 경우 투자자 입장에선 더 큰 수익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자산배분과 과거 행적을 따져 좋은 펀드를 가지고 있는 것이 더 현명한 방법입니다.
환매는 펀드 옥석가리기와 포트폴리오 재조정에 도움이 됩니다. 차익실현에만 주식 환매 급급해 하지 마시고 환매를 통해 너무나 많은 펀드수를 가지고 있거나 한쪽에 너무 편중된 투자를 하고 있었다면 매도후 분산할 좋은 기회 입니다.
해외펀드가 전체 포트폴리오의 절반이 넘는다면 재조정 할것을 권유해드립니다. 올해말 비과세 혜택이 끝나기 때문에 수익을 확보하셨다면 고려대상이 될수 있습니다. 국내와 해외의 비중은 분산측면에서 국내7: 해외3 또는 8:2의 비중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정리해보면 펀드 환매의 노하우는 급하게 필요한 자금이 아니라면 환매는 신중히, 성과가 나쁜 펀드부터, 환매해야 한다면 거치식과 세제혜택이 없는 펀드부터, 그리고 손실이 있지만 감내가 주식 환매 가능하다면 분할매도를 고려하는 것이 적절하다 할수 있습니다.
풍부한 현금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이 자금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그래서 이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주식환매 즉 , 자사주 매입이다 . 주식환매란 회사가 자신의 주식을 감자 , 인수 , 우리사주 몫으로 되사는 것을 말한다 . 규모가 큰 M&A 를 단행하기 위한 실탄을 마련하기 위해서 혹은 자사주를 우호세력에게 매도함으로써 적대적 M&A 시도로부터의 방어 수단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 또한 미래의 경영전망과 관련해 회사의 대외 신인도를 제고하거나 , 자산을 풀어 주식 거래량을 조절함으로써 저평가된 주가를 부양하기 위한 판단에서 단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 높은 투자회수율을 기대할 수 있을 때 주주들의 투자수익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이용되기도 한다 .
상법에서는 원칙적으로 자사주 취득을 금지하나 주식을 매입한 뒤 소각 , 합병 , 주주들의 매입 청구가 있는 경우 등 일부 예외적인 경우에만 허용한다 . 자사주 매입으로 일단 사들인 주식은 상여금 등으로 임직원에 주식 환매 주는 것을 제외하고 6 개월 이내에 팔 수 없으며 자사주에 대한 의결권은 인정되지 않는다 . 또한 중소기업의 투자유치와 자금회수를 유연하게 하기 위해 비상장기업도 가능하도록 법이 개정되었지만 실제로 중소기업이 활용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 비상장기업의 투자유치 보다는 증여세 줄이기에 활용되어 세금폭탄을 맞는 경우도 있다 . 특수관계자들끼리 액면가로 거래하는 경우가 많아 적법한 절차를 따른 것 인지에 대한 조사를 하기도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
한편 , 2014 년에는 정부의 배당확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더해져 유가 증권시장 상장기업들의 자사주 매입 규모가 3 년만에 최대 수준을 주식 환매 기록할 전망이다 . 올해 1 월부터 11 월 중순까지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중 자사주를 가장 많이 매입한 기업은 SK 로 7955 억 원에 달했다 . 내년부터 정부의 배당확대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때문에 자사주 매입 추세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
** 취득 :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결정하고 상장사는 거래소를 통해 매입한다 .
- 법률에 의거한 주식 환매 주식 평가 : 시가 또는 상속증여세법에 따라 평가한 금액 ,
상법 제 341 조의 자기주식 취득 요건 충족
① 회사는 다음의 방법에 따라 자기의 명의와 계산으로 자기의 주식을 취득할 수 있다 .
1. 거래소 시세가 있는 주식의 경우에는 거래소에서 취득하는 방법
2. 종류주식의 경우 외에 각 주주가 가진 주식 수에 따라 균등한 조건으로 취득하는 것 ( 대통령령으로 정함
** 처분 : 주식의 종류와 수 , 처분할 상대방 및 처분방법 등을 정관에 따라 이사회 결의로 처분 .
자본시장 및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 시행령 제 176 조의 2 제 2 항 제 6 호 ) 에 따라 취득 ( 신탁계약의 체결 포함 ) 후 6 개월간은 원칙적으로 처분 불가 .
☞ 국내외 기업에 대한 M&A 전략의 실행 및 기업성장전략에 대한 종합컨설팅 상담은 ㈜프론티어 M&A(Tel : 02-2052-2100) 또는 E-mail : [email protected] 로 문의하세요 .
주식 환매
Copyright © Coster. All rights reserved.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선도하는 IoT/ICT 기업으로서 국내외 모바일 간편결제 시장의 선두 주자로 발돋움해 나가겠습니다.
조건부 주식환매 집행 안내문
페이지 정보
조건부 주식환매 집행 안내문
주식회사 코스터 대표이사 장인석 입니다 .
그 동안 당사를 아낌없이 성원해 주신 주주님께 감사 인사 드리오며 ,
조건부 주식환매 집행을 다음과 같이 진행하고자 하오니 업무협조 당부 드립니다 .
1. 환매 대상 : “ 조건부 주식환매 계약서 ” 체결한 주주 본인
2. 환매 일자 : 2017 년 12 월 15 일 ( 금 ) 14 : 00 ~
3. 환매 장소 : 부산시 부산진구 범천동 856-1( 부산은행 범내골지점 2 층 )
4. 서류 준비물 : 조건부 주식환매 계약서 ( 정본 ), 신분증 , 도장
- 이전글 ㈜코스터 이사회 개최 공고 17.12.29
- 다음글 조건부 주식환매 매수 안내문 17.11.13
개인정보취급방침
목적 | 항목 | 보유기간 |
이용자 식별 및 본인여부 확인 | 아이디, 이름, 비밀번호 | 회원 탈퇴 시까지 |
고객서비스 이용에 관한 통지, CS대응을 위한 이용자 식별 | 연락처 (이메일, 휴대전화번호) | 회원 탈퇴 시까지 |
주식회사 코스터
대표 장인석 사업자등록번호 119-86-75167
본점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6. 3층 308,309호 TEL 1566-5016 FAX 02-785-5016
본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6. 3층 308,309호 TEL 1566-5016 FAX 02-2638-5387
--> 지점 : 경기 안양시 동안구 벌말로 66 하이필드지식산업센터 A동 1001호 TEL 1566-5016 FAX 031-596-2590
주식이 환불이 된다고!? 주식 환매청구권(redemption claim)
따블 + 상한가 합쳐져 만들어진 주식 용어입니다.
신규 상장 종목이 첫 거래일에 공모가 대비 두배로 시초가가 형성된 뒤 가격 제한 폭까지 올라간 다음 마감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 경우 주가는 하루에 공모가 대비 160%가 오르게 됩니다.
모두의 예상대로 빅히트의 주식은 상장 첫날! 공모가인 13만 5천 원의 두배에서 시작하여 35만 1천 원까지 올라갑니다
공모주 청약이 안된 개미투자자들이 주식 상장 후 내일은 더 오를 거야~ 더 오른다고 했어~ 하며
코로나로 인해 접은 가게 보증금..
죄다 끌어모아 빅히트 주식을 사버립니다..
하지만 바로 하락하기 시작하여 현재 기준으로는 공모가보다는 조금 높은 17만 9천 원까지 하락했죠
이렇게 거센 하락세로 인해 실제로 인터넷 검색창에 '빅히트'만 쳐도
이 주를 이룰 정도로 화제가 되었습니다.
심지어 여기저기 카페 및 게시판은
"주식 처음 했는데 환불 가능하지 않을까요?"
"주식 처음인데 실수한 거라고 치고 환불해주면 안돼요?"
"주식 처음 산거 취소 안돼요?"
"이 정도면 빅히트 대표가 어느 정도는 도의적인 책임을 지고 본인 사비로 환불을 해 주던지 얼마씩 위로금을 줘야 하는 거 아닐까요?"
라는 질문들이 마구 올라왔다고 합니다.
주식의 'ㅈ'도 몰랐던 시절에만 해도 주식이라는 건 물건을 사고파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환불이 되지 않는 거라고는 알고 있었는데.
본인 스스로의 판단 하에 결정을 내린 것인데.
성인이 되어서 본인의 의사결정에 대해 책임을 질 생각도 하지 않고
무조건 어린아이처럼 환불 해줘어~~~.
주식이 환불이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환매청구권(redemption claim)
저도 이번에 빅히트 덕분에 처음 알게 되었어요
이렇게 새로운 정보를 또 하나 알아갑니다.ㅎㅎ
그렇다면 주식 환매청구권이란!?
공모주 청약 및 상장 후 주가가 공모가보다 하락하게 되면
공모주 청약에 주식 환매 참여한 투자자들에 한해서
공모주 청약을 주관했던 증권사에 주식을 매도할 수 있는 권리 라고 합니다.
주식 상장 이후 시장에서 주식을 매수한 경우에는 환매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말입니다.
또한 공모주들의 환매청구권 행사 시에도
공모가의 90%만 환불 받을 수 있습니다.
빅히트는 현재 공모가인 13만 5천 원보다는 높은 가격에 형성이 되어 있어
빅히트 공모주들이 환매청구권을 행사하고 싶다면
공모가인 13만5천원보다 더 하락이 되어야지 그나마 90% 금액을 환불받을 수 있는데요
그런데 여기서 또 큰 문제가 생겼습니다.
빅히트 청약투자설명서
지난주 20억달러 이상의 대규모 매매손실을 기록한 JP 모건체이스 은행의 제이미 다이먼 대표가 21일 자본기준 충족을 위해 주식환매 프로그램을 일단 중단한다고 밝히면서 은행 주가가 전주 종가 대비 3%(98센트)나 급락한 32.51달러에 마감했다. JP 모건체이스는 파생상품인 신용부도 스와프(CDS) 투자를 잘못해 대규모 손실이 발생하면서 연방 정부의 조사에 직면해 있고 지난주에는 국세신용평가사 피치로부터 신용등급이‘AA-’에서‘A+’로 한 단계 강등 당했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
3731 Wilshire Blvd., 10th Floor, Los Angeles, CA 90010
Tel.(323)692-2000
Copyright©The Korea Times All rights reserved.
0 개 댓글